PACS Import external image of the thread of the tasks and duties of hospital revenue and business efficiency falls over time. 500 beds or more medical imaging import work outside of the hospital, most hospitals use a PC, KIOSK, and was used in 15 hospitals where, CD Autoloader where use was the only one. Working hours compared to CD and DVD media to test the results of the Import target PC, KIOSK, CD Autoloader Import spent less time in the order, and also the greater capacity of CD Autoloader four times the PC, KIOSK 2 times Import could be implemented quickly. In addition, the waiting time of the patients was measured using the PC's time to Import, 2011 14.5 minutes and the average patient waiting time, KIOSK and later use CD Autoloader 2012 average patient wait time of 8.25 minutes, 43% of the existing average waiting time was 5.25 minutes to reduce. However, KIOSK case of a patient in a way that directly Import latency time was soon. Import of three ways: in terms of efficiency and excellent CD Autoloader way, the patient waiting time in terms of ease of use and KIOSK was excellent. In addi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CD Autoloader with KIOSK Joint of the items waiting time of patients and patient satisfaction rating is considered to be a major contribution.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과 인터넷 및 무선 네트워크의 발달로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개별 장치들이 보편화되어 있으며, 이들을 서로 유기적으로 엮은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비스의 한 종류로 U-Kiosk의 개념을 소개한다. U-Kiosk는 Kiosk 단말장치나 공용 PC를 사용자 개인의 PC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의 리소스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공용 PC에서 개인 PC의 바탕화면 설정을 포함해 모든 자원을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구현하고 설명을 하였으며, 인증 과정에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한으로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이를 위하여 초소형 보안 단말기인 PANDA를 사용하였으며, Zigbee 통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인증을 하도록 하는 Transient Authentication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두 컴퓨터 간의 원격 접속을 위해서는 VNC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사용자가 공용 PC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있을 경우, 자동으로 원격 접속이 이루어지고, 공용 PC로부터 멀어질 경우 자동으로 접속이 종료되도록 구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U-Kiosk의 개념에 맞는 테스트 베드를 구축 하였다. 이는 UFC Project$^{2)}$의 일부로서 차후 완벽한 인증 인프라를 구축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하기 편리한 U-Kiosk의 구현에 초석이 될 것이다.
The post-corona era is having a major impact on university campus life, and campus cultural life has undergone drastic chang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this change. The existing face-to-face learning method is converted to non-face-to-face learning, and kiosks representing campus self-service are increasingly used. Subsequently, in order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places such as university campuses and provide better self-service, there are no related studies considering UI design elements of kiosks and characteristics of kiosk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usability of university campus kiosks through user interface design elements in terms of design by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icon, typography, which are elements of kiosk interface design, and convenience, reliability, and usabilit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a kiosk. In this study, the design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manned self-service system kiosk UI used by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Korea and China were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and related documents were organized and surveyed in Korea and China. Case analysis and comparison method Through the kiosk usage characteristics of 4 universities were derived.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use the fiv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authority JacobNidsn.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use the five evaluation criteria suggested by the authority JacobNidsn.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is study were conducted for students who had experience using kiosks at two universities in China, and kiosk UI design elements were organized through survey and analysis of a total of 200 people.
Purpose - A work way of 'face to face' or a work way of 'unmanned' is very meaningful trend in contrast of robot as a worker. This paper explored some cases of unmanned terminal and kiosk which has been quickly adopted to fastfood industry in South Korea and researched whether any inconvenience or trouble exists in the level of 'the poor' and 'the aged' or not at the time of 'touching' screen in unmanned st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authors examined a few previous studies in keywords of AmazonGo, kiosk, digital divide, information gap, deregulation, and analyzed some cases of 'unmanned terminal' defines restrictively as all kinds of unmanned device, terminal and equipment including kiosk regardless of any place and type. Results - Promotion strategy of the unhandy and retailers needs to offer 'expansion of education and learning', readiness for the law aspect, reform of kiosk industry and priority of sufficient budge and politic assistance by government side. Conclusions - This paper presented some strategies of eliminating 'digital divide' both for a 'the poor', 'the aged', and for a retailer, so that the former may easily purchase goods on unmanned terminal, and the latter may easily sell the more goods at unmanned store.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ased on digital technology has made 'hyper connectivity' between different services a reality, and an example of this is the reinforcement of non-face-to-face services. The non-face-to-face service is a service provided by service providers and customers us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without direct contact. Recently, it has expanded to the hotel industry, which is highly dependent on human resources, centering on the restaurant busines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ase of the "R" hotel in the Gangwon region, which is introducing and operating a kiosk, and to confirm the matters to be considered, the system operation method, and expected effects, etc. for hotels that intend to operate it in the future. It is difficult to affirm that the introduction of KIOSK directly reduced labor costs or increased service efficiency, but it seems meaningful that it has improved the convenience of users. In future research, practical research is needed on the impact of the system on management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KIOSK.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블루투스 모듈과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키오스크를 개발하기 위해 PC와 Android 사이의 블루투스 통신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한다. 기존의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단일 키오스크에 대하여 단일 사용자가 점유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제안하는 키오스크는 단일 키오스크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키오스크는 주차장, 고속도로 등에서 드라이브 스루 시스템에 적용되어,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키오스크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키오스크 패널이 고정되어 있어 적절한 위치에 정차하지 못할 경우 패널 조작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키오스크 패널의 위치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머니퓰레이터를 개발 하였다. 제품의 저가화를 위하여 능동관절의 수를 최소화하였으며, 평행사변형 메커니즘과 수동관절을 구성하여 부족한 자유도를 보완하였다. 또한, 스프링과 캠 기반의 안전기구를 장착하여 키오스크 패널과 사용자 사이의 충돌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실험을 통해 머니퓰레이터의 위치제어 성능과 충돌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충돌대응 전략을 적용하여 안전하게 키오스크를 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 지원되고 있는 C/S 방식의 민원 서비스의 한계를 극보가여 인터넷으로 민원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웹 기반의 시스템 개발과 직인 또는 관인의 날인이 가능한 단말기의 지원, 그리고 관청 외부 설치에 따른 보안 문제의 해결 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사항들을 극복하도록 현행 민원서비스시스템을 키오스크를 통하여 민원 서비스, 지원을 함으로 관청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 어느 곳에서라도 민원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키오스크를 통하여 민원 신청을 하고 신청을 받은 민원서비스시스템은 본인 확인 절차와 지불 절차를 거처 민원서류를 발급한다. 이 시스템은 민원처리 과정에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전자지불과 현금 이용 등 다양한 결제수단을 동원하고 공인 인증과 정부 인증의 지원, 그리고 개인정보 및 행정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정부표준 보안 모듈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구현한 키오스크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민원처리 시스템이다.
본 논문은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바탕으로 키오스크의 사용성을 높여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키오스크 디자인 개선 방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키오스크 사용과 관련한 나이별 설문조사와 분석결과를 검증하는 추가 설문조사를 통해 필수 개선점을 도출하여 디자인 개선 방향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오스크 화면 배경과 디자인 요소 간 높은 대비, yellow 계열의 색상, 아웃라인화 한 디자인 요소의 사용으로 가독성을 높인다. 그리고 10pt를 기준으로 폰트의 축소와 확대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휠체어 탑승자를 고려하여 하단부 설계가 불가능한 영역과 키오스크가 낮추어져야 할 최소 높이를 도출하였다. 향후 키오스크 디자인 시에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키오스크의 기능이 다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과 시스템이 필요하며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중점을 두어 디자인해야 한다.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한정적이므로 다양한 표본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며 색상과 가독성에 관련한 검증 연구도 추후 진행할 계획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