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nematic Surve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41초

Study of Environmental Impact on the Galaxy Evolution in the Virgo Cluster

  • Lee, Woong;Rey, Soo-Chang;Kim, Suk;Chung, Jiwon;Lee, Youngdae;Chung, Aeree;Yoon, Hyein
    • 천문학회보
    • /
    • 제40권2호
    • /
    • pp.47.3-48
    • /
    • 2015
  • We present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galaxy evolution in the Virgo cluster focusing on intracluster medium - interstellar medium (ICM-ISM) interactions and gravitational interactions. We identify signatures of these environmental effects for 21 massive late-type galaxies based on the visual inspection of high resolution HI data from VLA Imaging of Virgo spirals in Atomic gas (VIVA) survey comparing with multi-wavelength data. We classify galaxies into three subgroups showing different environmental effects. First and second groups includes galaxies influenced by ongoing/active and past ram pressure stripping effect, respectively. Third group consists of galaxies undergoing gravitational interactions. Additionally, we define neighbor galaxies for each VIVA galaxies utilizing kinematic data from Extended Virgo Cluster Catalog. Assuming that neighbor galaxies share similar levels of environmental effects with host VIVA galaxies, we investigate environmental effects on galaxy properties in different subgroups using SDSS optical and GALEX ultraviolet photometric data. We find that dwarf neighbor galaxies in first and second groups show rapid quenching of their star formation (SF), while massive counterparts are still in SF activity. On the other hand, most third group galaxies show hints of SF activity regardless of their mass. We conclude that SF and evolution of galaxy in the cluster environment is closely linked to ICM-ISM interactions and dwarf galaxies seem to be more sensitive to this effect compared to massive counterparts.

  • PDF

A Hyper Suprime-Cam View of the Interacting Galaxies of the M81 Group - Structures and Stellar Populations

  • Arimoto, Nobuo;Okamoto, Sakurak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39.2-39.2
    • /
    • 2017
  • Over the last decade, deep studies of nearby galaxies have led to the discovery of vast stellar envelopes that are often rich in substructure. These components are naturally predicted in models of hierarchical galaxy assembly, and their observed properties place important constraints on the amount, nature, and history of satellite accretion.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of mapping the peripheral regions of galaxies is through resolved star studies. Using wide-field cameras equipped to 8 m class telescopes, it has recently become possible to extend these studies to systems beyond the Local Group. Located at a distance of 3.6 Mpc, M81 is a prime target for wide-field mapping of its resolved stellar content. In this talk, we present the detailed results from our deep wide-field imaging survey of the M81 group with the Hyper Suprime-Cam (HSC), on the Subaru Telescope. We report on the analysis of the structures, stellar populations, and metallicities of old dwarf galaxies such as NGC3077, IKN, KDG061, as well as young stellar systems such as Arp's Loop and Holmberg IX. Several candidates for yet-undiscovered faint dwarf galaxies and young stellar clumps in the M81 group will also be introduced. The peculiar galaxy NGC3077 has been classified as the irregular galaxy. Okamoto et al. (2015, ApJ 809, L1) discovered an extended halo structure with S-shape elongated tails, obvious feature of tidal interaction. With a help of numerical simulation by Penarrubia et al. (2009, ApJ 698, 222), we will demonstrate that this tidal feature was formed during the latest close encounters between M81, M82, and NGC 3077, which induced star formation in tidally stripped gas far from the main bodies of galaxie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latest tidal interaction was the first close encounters of three galaxies. If NGC3077 is still surrounded by the dark matter halo, it implies that NGC3077 has undergone the first tidal stripping by larger companions. Kinematic studies of inter galactic globular clusters and planetary nebulae would tell us the past history of tidal interaction in this group of galaxies.

  • PDF

DATUM PROBLEM OF NETWORK-BASED RTK-GPS POSITIONING IN TAIWAN

  • Yeh, Ta-Kang;Hu, Yu-Sheng;Chang, Ming-Han;Lee, Zu-Yu;Liou, Yuei-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7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7
    • /
    • pp.90-94
    • /
    • 2007
  • The conventional single-reference station positioning is affected by systematic errors such as ionospheric and tropospheric delay, so that the rover must be located within 10 km from the reference station in order to acquire centimeter-level accuracy. The medium-range real-time kinematic has been proven feasible and can be used for high precision applications. However, the longer of the baseline, the more of the time for resolving the integral ambiguity is requir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systematic errors can not be eliminated effectively by double-differencing. Recently, network approaches have been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ingle-reference station positioning. The real-time systematic error modeling can be achieved with the use of GPS network. For expanding the effective range and decreasing the density of the reference stations, Land Survey Bureau, Ministry of the Interior in Taiwan set up a national GPS network. In order to obtain the high precision positioning and provide the multi-goals services, a GPS network including 66 stations already been constructed in Taiwan. The users can download the corrections from the data center via the wireless internet and obtain the centimeter-level accuracy positioning. The service is very useful for surveyors and the high precision coordinates can be obtained real time.

  • PDF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에 의한 이동 측량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Kinematic Surveying Method Using the Digital Video Recorder)

  • 함창학;김원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29-23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촬영하고 이로부터 대상물의 3차원 위치정보 및 영상복원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비디오 리코더에 의한 측량결과의 정확도를 분석함으로서 그 정도에 따른 활용성을 평가하는 한편, 실제 대상물에 적용시켜 3차원 복원을 수치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비디오 리코더의 렌즈왜곡은 없고 모든 광속은 렌즈의 투영중심을 정확하게 지나가는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표정을 위한 영상의 크기는 CCD 칩의 크기와 영상소수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디지털 비디오 리코더로부터 취득된 정보와 1초독 데오돌라이트를 이용하여 삼각측량한 성과를 비교한 결과 평균제곱근 오차가 평면오차 0.0173m로 나타났다. 또한 정확한 렌즈왜곡 정보나 투영중심의 좌표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대상물을 촬영하고 복원하는데 있어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카메라의 종류만 알면 대상물의 3차원 디지털복원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The Technical Benefits of Future GNSS for Taiwan

  • Chiang, Kai-Wei;Yang, Ming;Tsai, Meng-Lun;Chang, Yao-Yun;Chu, Chi-Kua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2
    • /
    • pp.3-8
    • /
    • 2006
  • The next decade promises drastic improvements and additions to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Plans for GPS modernization include a civilian code measurement on the L2 frequency and a new L5 signal at 1176.45 MHz. Current speculations indicate that a fully operational constellation with these improvements could be available by 2013. Simultaneously, the Galileo Joint Undertaking is i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ages of introducing a parallel GNSS called Galileo. Galileo will also transmit freely available satellite navigation signals on three frequencies and is scheduled to be fully operational as early as 2008. In other words, a dual system receiver (e.g., GPS+GALILEO) for general users can access six civil frequencies transmitted by at least fifty eights navigation satellites in space. The advent of GALILEO and the modernization of GPS raise a lot of attention to the study of the compatibility and interoperability of the two systems. A number of performance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in a global scale with respect to availability, reliability, accuracy and integrity in different simulated scenarios (such as open sky and urban canyons) for the two systems individually and when integrated. Therefore, the scope of this article aims at providing the technical benefits analysis for Taiwan specifically in terms of the performance indices mentioned above in a local scale, especially in typical urban canyon scenarios. The conclusions gained by this study will be applied by the Land Survey Bureau of Taiwanese as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future GNSS tracking facilities and dual GNSS processing module for precise surveying applications in static and kinematic modes.

  • PDF

Comparison of soil erosion simulation between empirical and physics-based models

  • Yeon, Min Ho;Kim, Seong Won;Jung, Sung Ho;Lee, Gi Ha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72-172
    • /
    • 2020
  • In recent years, soil erosion has come to be regarded as an essential environmental problem in human life. Soil erosion causes various on- and off-site problems such as ecosystem destruction, decreased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riverbed deposition, and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streams. To solve these problems caused by soil erosion, it is necessary to quantify where, when, how much soil erosion occurs. Empirical erosion models such as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family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to make spatially distributed soil erosion vulnerability maps. Even if the models detect vulnerable sites relatively well by utilizing big data related to climate, geography, geology, land use, etc. within study domains, they do not adequately describe the physical process of soil erosion on the ground surface caused by rainfall or overland flow. In other words, such models remain powerful tools to distinguish erosion-prone areas at the macro scale but physics-based models are necessary to better analyze soil erosion and deposition and eroded particle transport. In this study, the physics-based Surface Soil Erosion Model (SSEM) was upgraded based on field survey information to produce sediment yield at the watershed scale. The modified model (hereafter MoSE) adopted new algorithms on rainfall kinematic energy and surface flow transport capacity to simulate soil erosion more reliably. For model validation, we applied the model to the Doam dam watershed in Gangwon-do and compared the simulation results with the USLE outpu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vised physics-based soil erosion model provided more improved and reliable simulation results than the USLE in term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oil erosion and deposition.

  • PDF

영덕단층 북부의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Northern Part of Yeongdeok Fault)

  • 김광연;하상민;이성준;임보성;김민철;손문
    • 광물과 암석
    • /
    • 제36권1호
    • /
    • pp.55-72
    • /
    • 2023
  • 이번 연구는 영덕단층 일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상세 지표지질조사에서 수집된 다양한 구조요소들의 기하와 운동학적 자료 그리고 단층암의 대자율이방성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영덕단층의 내부구조 그리고 기하와 운동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덕단층은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에서 울진군 매화면 길곡리와 기성면 방율리까지 연장되며, 4.6-5.0 km (평균 4.77 km)의 우수향 수평변위로 고원생대부터 중생대에 이르는 다양한 암종을 절단하거나 암상경계를 이룬다. 영덕단층은 4개의 기하학적 분절로 구분되며, 대부분 노두에서 남-북 내지 북북서 주향에 54° 이상 고각으로 동쪽으로 경사지고 있으나 북쪽으로 갈수록 서쪽으로 54°-82° 경사지는 노두가 증가한다. 영덕단층은 모암의 암종에 따라 0.3-15 m 범위의 다양한 폭을 가진 단층핵과 단층대 내부구조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모암의 연성도, 구성광물, 입자크기, 이방성과 같은 물성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한 고응력장 및 대자율이방성 분석 결과와 기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영덕단층은 (1) 백악기말~신생대초에 북서-남동 최대수평응력(σHmax)과 북동-남서 최소수평응력(σHmin) 하에서 좌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은 이후, (2) 신생대 고진기에 북동-남서 최대수평응력과 북서-남동 최소수평응력 하에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을 겪었음을 지시한다. 이중 고진기에 발생한 우수향 주향이동운동에 의한 변형이 가장 우세하였으며 이후 지각변형은 미미하였던 것으로 해석된다.

자동변속기유(ATF) 교환주기 모니터링 연구 (The Monitoring Study of Exchange Cycle of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 임영관;정충섭;이정민;한관욱;나병기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74-278
    • /
    • 2013
  • 자동변속기유(ATF)는 자동차의 자가변속 또는 자동변속에 사용되는 동력전달 유체로서 최근 자동차사에서는 무점검 무교환 또는 80000~100000 km를 주행한 뒤, 교체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석유관리원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많은 운전자들이 50000 km 이하에서 자동변속기유를 교환하고 있으며, 이는 차량유지비의 증가 및 폐유에 의한 환경오염으로까지 발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유와 실제 차량 주행 후 회수된 사용유(50000 km, 100000 km)에 대한 대표적 물성으로서 인화점, 동점도, 저온점도특성, 전산가, 윤활성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포성을 제외한 모든 물성이 신유규격에 적합하였으며, 50000 km와 100000 km 주행 후 회수된 자동변속기유의 물성차이는 크지 않았다. 따라서 자동차사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환주기(80000 km 이상)에서 자동변속기유를 교환하여도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로 인해 비용절감 및 환경오염 방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고지진학적 자료를 이용한 울산단층대 중부 말방지역에서의 단층운동 특성 해석 (Characterization of Fault Kinematics based on Paleoseismic Data in the Malbang area in the Central Part of the Ulsan Fault Zone)

  • 박기웅;정숙진;권오상;신현조;김영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51-164
    • /
    • 2022
  • 역사지진과 계기지진 기록에 따르면 한반도 남동부는 우리나라에서 지진활성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는 곳으로, 최근에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를 따라 제4기 단층이 다수 보고되어 고지진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울산단층대의 중부지역에 해당하는 경북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일원은 울산단층대 내에서 가장 많은 활성단층이 보고된 지역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 대한 고지진학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LiDAR 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지형 및 선형구조 분석을 실시하여 단층에 의한 기복으로 추정되는 지형인자를 확인하고, 야외답사와 물리탐사를 통해 단층을 추적하여 기 보고된 말방단층 지점에서 약 300 m 북서쪽에 위치한 곳에서 길이 20 m, 너비 5 m, 깊이 5 m의 굴착조사를 실시하였다. 굴착단면을 통해 분석된 제4기 퇴적층의 특징을 바탕으로 단층의 기하학적·운동학적 특성을 해석하여 고지진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번 굴착단면에서 확인된 역단층의 기하를 보이는 단층의 자세는 N26°W/33°NE로 울산단층대를 따라 분포하는 기 보고된 단층들과 유사하다. 약 40 cm의 단일 겉보기 변위가 인지되었으나 단층조선의 부재로 실변위는 산출할 수 없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극저온구조층의 연대결과 값을 토대로 단층의 최후기 운동시기는 후기 뷔름빙기 이전으로 추정하였다. 기 보고된 연구결과와 본 굴착단면에서 획득한 단층기하를 종합하여 이 지역에 발달하는 단층계를 인편상구조로 해석하였고, 단층특성을 반영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말방리 일원에서 수 회의 굴착조사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구체적인 단층변수에 대한 정보가 미진하고 각 지점들 간의 상관성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것은 역단층의 복잡한 운동학적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고지진학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된다면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종합적인 단층의 형태와 운동사가 규명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TCM-SSR 보정요소 기반 1주파 Multi-GNSS 실시간 측위의 효용성 평가 (Availability Assessment of Single Frequency Multi-GNSS Real Time Positioning with the RTCM-State Space Representation Parameters)

  • 이용창;오성종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107-123
    • /
    • 2020
  • 최근, Multi-GNSS 위성시스템 인프라 환경의 안정화와 이종 위성 조합 활용에 대한 효용성이 입증되면서 측위, 항법 및 시간 정보 관련 응용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실시간 Multi-GNSS 조합 활용의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장 수요층이 많은 저가형 1주파 GNSS 위성 수신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정적 및 동적 환경에서 4가지 Multi-GNSS 측량기법에 RTCM-SSR 보정류(streams)를 적용, Multi- GNSS 위성의 1주파 실시간 단독측위(SF-RT-PP)의 효용성을 평가하고 대응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SSR 보정류를 4가지 Multi-GNSS 측위 기법에 연계하여 정적 및 동적 시험장에 적용한 결과, CNES의 SSRa00CNE0 서비스가 2차원 좌표성분에서 다른 SSR 보정류에 비해 양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Multi-GNSS 위성의 Carrier를 활용한 SF-RT-PP 측위 결과, 공통적으로 고도성분에서 큰 편차가 발생되었는데 이에 대한 원인 규명 및 SF-RT-PPP 측위에서 비차감 비조합 전리층 지연보정과 이종 위성조합에 따른 신호 Bias 보정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Multi-GNSS 위성의 인프라 환경 향상으로 4종의 GNSS 위성 중, 1종 위성만으로도 SF-SPP 측위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GPS 위성의 1주파 신호만을 활용한 RT-SPP 측위에서 Code 기반 SF-RT-SPP 측위의 경우, 위성궤도/시계 보정관련 보통력과 SSR 보정 간 효과는 미소한 반면, 전리층 보정의 경우는 Klobuchar 모델에 비해 SBAS 보정 정보를 활용한 경우가 높이에서 약 2배 이상의 정확도 향상 효과를 공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2020년말 Galileo 및 BDS 위성 인프라가 완성되면서 Multi-GNSS 위성의 지역 특성이 반영된 실시간 전리층지연 및 기상특성을 반영한 SSR 조정 서비스가 진행될 경우, SF-RT-PPP 활용성 및 여러 산업부문의 다양한 수요 창출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