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Ketone ester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모과의 휘발성 Flavor 성분에 관한 연구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Quince Fruits, Chaenomeles sinensis koehne)

  • 정태영;조대선;송재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6-187
    • /
    • 1988
  • 모과의 휘발성 flavor 성분은 상압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서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휘발성 flavor 성분은 중성, 염기성, 약산성 및 산성구분으로 분획되었다. 분획된 4구분중 산성 구분은 carboxylic acid를 동정하기 위하여 diazomethane법에 의해서 methyl ester화 시켰다. 각 구분중에 함유되어 있는 휘발성 flavor 성분은 fused silica capillary column을 장치한 고분해능 GC 및 GC-MS에 의해서 분리 동정하였다. 모과의 수증기 증류유출액으로부터 얻어진 휘발성 flavor 농축액 중에서 총 145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지방족 탄화수소 3성분, 환상 탄화수소 1성분, 방향족 탄화수소 4성분, terpene 탄화수소 9성분, alcohol 17성분, terpenealcohol 3성분 phenol 6성분, aldehyde 21성분, ketone 7성분, ester 28성분, 산 27성분 furan 3성분, thiazole 2성분 acetal 2성분 lactone 3성분 및 기타 9성분이었다. Carboxylic acid를 제외한 나머지 휘발성 flavor 성분의 대부분은 중성구분으로부터 동정되었다. 중성구분은 다른 구분보다 상당히 높은 수득량을 나타내었으며, 관능검사의 결과에서도 중성 구분은 모과의 방향성을 재현시키기 위해서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나타나다. 관능검사용 GC에 의해서 얻어진 결과에 의하면 1-hexanal, cis-3-hexanal, trans-2-hexanal, 2-methyl-2-hepten-6-one, 1-hexanol, cis-3-hexanol, trans, trans-2, 4-hexadienal 및 trans-2-hexanol은 풋 냄새의 주성분으로 생각된다. 한편으로, ester 화합물은 모과의 과일 냄새의 주성분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연결기가 반 유연성 액정중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kage Groups on the Properties of Semi-flexible Liquid Crystalline Polymers)

  • 박종률;윤두수;방문수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45-451
    • /
    • 2015
  • 주사슬에 메소젠기와 유연격자로써 옥타메틸렌기를 포함하고 있는 반 유연성 액정중합체가 용액 중축합반응에 의하여 합성되었다. 중합체의 메소젠기는 에스터와 케톤, 에터, 설파이드, 메틸렌, 설폰, 또는 아이소프로필리덴기들에 의해 결합된 4개의 방향족고리로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소젠기의 가운데 연결기가 중합체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합성된 중합체의 구조와 성질은 $^1H$-NMR, FT-IR, DSC, TGA, XRD, POM에 의하여 조사되었으며, 그 결과에 의하면, 굽은 구조의 연결기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들은 낮은 열전이온도, 좁은 액정상 온도구간, 약한 액정성, 그리고 유기용매에 대한 좋은 용해성을 보여 주었고, 벌크한 연결기를 갖는 중합체들은 무정형 중합체로서 높은 유리전이온도($T_g$)를 나타내었다.

참마의 휘발성 풍미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Dioscorea japonica)

  • 이미순;최향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8-73
    • /
    • 1994
  • 야생식용식물인 참마뿌리의 성숙도에 따른 휘발성 풍미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SDE 방법으로 정유성분을 분리한 다음 GC 및 GC-MS를 이용하여 성분을 확인하였다. 어린 참마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35종, 알데히드류 5종, 케톤류 1종, 알콜류 9종, 에스테르류 2종, 유기산류 3종 및 기타 4종이 확인되었고, 성숙한 참마뿌리에서는 탄화수소류 23종, 알데히드류 2종, 알콜류 7종, 에스테르류 1종, 유기산류 8종 및 기타 1종이 확인되었다. 어린 참마에서 탄화수소류, 알데히드류, 알콜류 및 에스테르류의 함량이 더 많았고 풋풋한 내음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숙한 참마에서는 고급 지방산의 함량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피(Zanthoxylum piperitum DC)의 과피와 잎의 방향성분 (Flavor Components of the Fruit Peel and Leaf Oil from Zanthoxylum piperitum DC)

  • 김정한;이경석;오원택;김경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62-568
    • /
    • 1989
  • 9월 중에 채취한 성숙한 초피 (Zanthoxylum piperitum DC)의 과피와 잎성분의 변성을 고려한 방법인 gas co-distillation으로 추출하고, GC/MS와 함께 workstation BASIC program들을 사용하여 극성이 다른 두 column(FFAP, HP-1)에 대한 authentic standard들의 retention index(RI) 값들을 구하여 HP-1 및 FFAP, RI reference library를 만든 후 초피의 정유성분들의 두 column library 탐색을 병행하여 분석함으로써, 과피에서 myrcene외 14 hydrocarbon들, linalool외 8 alcohol들, citronellal외 3 aldethyde들, carvone외 2 ketone들, methyl salicylate외 7 ester들 그리고 1,8-cineol 외 3 oxide를 확인하였고, 잎에서 limonene외 7 hydrocarbon들, citronellol외 7 alcohol들, cumin aldehyde외 1 aldehyde, carvone, 그리고 estragole외 1 oxide를 확인하였다. 과피에서는 1,8-cineol(25.47%), limonene(11.9%), geranylacetate(9.01%), myrcene(6.15%), geraniol(2.88%), citronellal(2.25%)등이 주성분이었고, 잎에서는 citronellal(23.11%), 1,8-cineol(18.38%), citronellol(6.04%), methyl cinnamate(4.08%)등이 주성분이었다.

  • PDF

선복화(旋覆花)의 휘발성(揮發性)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volatile components of Inulae flos(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REGEL))

  • 선우선;김형섭;변근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4호
    • /
    • pp.312-317
    • /
    • 1991
  • 선복화(旋覆花)의 휘발성(揮發性) 성분(成分)을 동정(同定)하기 위하여 국내산(國內産) 및 중국산(中國産)을 시료(試料)로 사용(使用)하였다. 휘발성(揮發性) 성분(成分) 포집(捕集)은 SDE 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건조(乾燥)된 시료(試料) 100g중 국내산(國內産) 155.3 mg 중국산(中國産) 101.6 mg을 얻었다. 포집(捕集)된 휘발성(揮發性) 성분(成分)을 GC 및 GC/MS를 이용(利用)하여 hydrocarbon 류(類) 10, aldehyde 류(類) 7, alcohol 류(類) 18, ketone 류(類) 3, ester 류(類) 5, acid 류(類) 13 및 miscellaneous compounds 6 성분(成分)으로 모두 62 성분(成分)을 동정(同定)하였다. 또한, 이들 성분(成分)을 좀 더 세밀(細密)히 검토(檢討)코자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용출용매(溶出溶媒)의 극성(極性)을 변화(變化)시킴으로 성분조성(成分組成)을 세분(細分)하였다. 그 결과(結果) 국내산(國內産) 선복화(旋覆花)의 휘발성(揮發成) 성분중(成分中) 탄화수소(炭化水素) 화합물(化合物) 분획(分劃)이 16.85% 함산소화합물(含酸素化合物) 분획(分劃)이 83.15%이며, 중국산(中國産) 선복화(旋覆花)는 탄화수소(炭化水素) 화합물(化合物) 분획(分劃)이 23.46% 함산소화합물(含酸素化合物) 분획(分劃)이 76.53%를 함유(含有)하고 있다.

  • PDF

Effects of Probiotic Fermented Fruit Juice-Based Biotransform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Saccharomyces boulardii CNCM I-745 on Anti-Salmonella and Antioxidative Properties

  • Laosee, Wanida;Kantachote, Duangporn;Chansuwan, Worrapanit;Sirinupong, Nualp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0호
    • /
    • pp.1315-1324
    • /
    • 2022
  • Fermentation is an effective process for providing various beneficial effects in functional beverages.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fermentation-based biotransformation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nutritional value and digestibility, including lactose intolerance reduction and control of infections. In this study, the probiotic fermented fruit juice (PFJ) wa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TISTR 1465, Lactobacillus salivarius TISTR 1112, and Saccharomyces boulardii CNCM I-745 while mixed fruit juice (MFJ) was used as the basic medium for microorganism growth. The potential function, the anti-salmonella activity of PFJ, was found to be effective at 250 mg/ml of MIC and 500 mg/ml of MBC. Biofilm inhibition was performed using the PFJ samples and showed at least 70% reduction in cell attachment at the MIC concentration of Salmonella Typhi DMST 22842.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FJ were determined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FSB.25 exhibited 78.40 ± 0.51 mM TE/ml by FRAP assay, while FPSB.25 exhibited 3.44 ± 0.10 mM TE/ml by DPPH assay. The volatile compounds of PFJ were characterized by GC-MS, which identified alcohol, aldehyde, acid, ester, ketone, phenol, and terpene.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and alcohol detected in PFJ were acetic acid and 2-phenylethanol, and the most represented terpene was β-damascenone. The sensory attributes showed scores higher than 7 on a 9-point hedonic scale for the FPB.25, illustrating that it was well accepted by panelist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howed that PFJ could meet current consumer demand regarding natural and functional, fruit-based fermented beverages.

숙성기간과 저장용기를 달리한 쌀 증류식 소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in rice-based distilled soju aged in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 김완근;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43-550
    • /
    • 2019
  • 숙성기간 및 저장용기에 따른 쌀 원료 증류식 소주의 향기성분의 변화를 파악하기위해, 스테인리스, 오크, 옹기로 각각 숙성 용기를 달리하여 18개월간 항온 및 실온조건에서 숙성한 시료를 분석하였다. GC-MS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에스터(ester) 35종, 알코올(alcohol) 15종, 케톤(ketone) 5종, 알데하이드(aldehyde) 3종, 기타(miscellaneous) 13종, 미확인물질(unknown) 14종으로 총 85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다. 에스터와 알코올이 주요 성분으로 분석되었으며, ethyl octanoate, ethyl decanoate, ethyl dodecanoate, isoamyl acetate, phenethyl acetate, ethyl hexanoate, isoamyl alcohol, phenethyl alcohol이 주요 향기 성분으로 나타났다. 그 외 오크 숙성 시료에서 4-ethylguaiacol, furfural, 1-decanal, 2-pentylfuran의 성분도 검출되었다. 주성분 분석 결과, 숙성 용기에 따라 PC1상에서 향기패턴의 큰 차이를 보였고, 숙성기간에 따라 오크와 옹기숙성 시료에서 향기성분이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인리스 스틸 숙성 시료의 경우 증류 직후와 비교해 향기성분의 변화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향후 오크와 옹기 숙성재를 다양화하여 향기성분의 변화를 파악하는 연구와 이를 실제 감각평가나 소비자 조사와 연계하여 고급 숙성 증류식 소주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매립장 침출수의 생물학적 난분해성물질 특성 규명 (Characteristic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in Landfill Leachate)

  • 임봉수;박혜숙;김흥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4-489
    • /
    • 2005
  • In order to determine the removal rate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and the change of their structural proper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an ozone-treatment experiment on leachate collected from the landfill area of D City in Chung chung nam-do and examined the change of the chemical propertie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The main elements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in landfill leachate were benzene, toluene, trichloroethane, trichloroethylene, xylene, etc. and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was 15.7 mg/L on the average, benzene 7.2 mg/L, trichloroethane 1.1 mg/L, trichloroethylene 0.75 mg/L and xylene 0.5 mg/L. When leachate was treated with ozone for 10 min, 30 min and 60 min, UV absorbance was reduced with the increase of reaction time, and the reduction rate was 38.6% at 60 min. TOC was removed by 13.2% at 60 min. The low reduction rate of TOC may be because TOC reacts indirectly with OH radical produced from reaction with ozone while UV absorbance usually relies on direct reaction between organic matters and ozone molecules. Color was removed by up to 97%, which suggests that ozonation is highly effective in removing coloring elements in leachate. Sixteen kinds of non-biodegradable compounds were found in the leachate and most of them had the characteristic of aromatic hydrocarbon. Among them dibutyl phthalate was identical with a substance included in the list of US EPA, which is classified as a mutagen that may cause the mutation of genes and disorders in chromosomes. In addition, 2,5-Cyclohexadiene-1,4-dione, 1,2-Benzenedicarboxylic acid and butyl octyl ester were found to be similar to substances listed by USEPA.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struct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ozonation using GC-MS, cyclic compounds and aromatic compounds were observed in the original water and aliphatic compounds were newly observed after ozonation. In addition, through ozonation, humic substances of high molecular weight were oxidized and decomposed and produced low-molecular compounds such as aldehyde, ketone and carboxyl acid and highly biodegradable aliphatic carbon, which suggests the bio-degradability of non-biodegradable substances.

편백잎추출수의 실내 가습시 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Humidifier with Using Hinoki Cypress Extracts)

  • 이민;박상범;이상민;이희영;길덕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47-757
    • /
    • 2014
  • 건축재료와 생활용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들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 속에 피톤치드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피톤치드를 다량 함유한 편백잎 증류추출수의 가습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방출특성을 GC-MS를 이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15종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화합물들은 aromatic compound, terpenoid, alkane, ketone, ester, aldehyde, alcohol, acid, miscellaneous compound류로 분류하였으며 aromatic compound류(13종, 38%)와 terpenoid류(23종, 33%) 화합물이 다른 화합물류에 비해 높은 비율로 검출되었다. Aromatic compoun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에 의한 추가 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아 그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terpenoid류 경우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10% 정도 증가하였고 7종의 화합물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편백잎추출수 가습시 방출된 terpenoid류 화합물들은 항균, 방충, 방부 효력뿐만 아니라 항고혈압성과 항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의 향기성분 및 기능성 (Func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Traditional Kyungsando Squid sikhe)

  • 최청;이희덕;최희진;손준호;김성;손규목;차원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5-352
    • /
    • 2001
  • 경상도 전통마른오징어 식해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보관하면서 GC와 GC-MS를 이용하여 향기성분의 원인 물질을 분석, 동정하였다. 식해에서 동정된 물질 중에서 ${\alpha}-zingibirene$이 19.73 mg/kg으로 전체상대 농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Z)-Di-2-propenyl disulfide, ${\alpha}-curcumene$, methyl alkyl disulfide, $(E-E)-{\alpha}-farnesene$, pentanol, z-citral, $3-ethyl-1,2-dithi-5-ene-{\beta}-elemene$, acetic acid 및 ${\beta}-phelland$ rene의 함량 순으로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식해의 주요성분으로 나타났다. 식해의 향기성분은 hydrocarbone류가 49종, 알데히드류가 15종, 알콜류가 33 종, 케톤류 및 에스테류 11 종을 포함하여 총 162 종을 동정하였다. 식해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 분획하여 얻은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200\;{\mu}m$ DPPH radical을 50% 환원시키는데 필요한 $SC_{50}$ 값이 헥산과 물층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thylacetate 층은 $310.64\;{\mu}g/mL$, butanol 층은 $1096.49\;{\mu}g/mL$으로 나타났다. 혈압상승 억제효과를 살펴본 결과 헥산과 물 분획물에서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며 ethylacetate층에서는 $IC_{50}$이 1.623 mg/mL, butanol 층에서는 1.303 mg/mL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에 대한 $IC_{50}$은 ethyl acetate 층은 3.591 mg/mL, butanol 층은 2.083 mg/mL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