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_{cat}/K_m$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38초

Opuntia ficus-indica 다당 A-1의 특성 및 알코올유도 간 산화스트레스의 보호 효과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and it's protection effect on alcoholic induced hepatic oxidative stress)

  • 류일환;권지웅;이어진;윤용갑;권태오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74
    • /
    • 2009
  • Reactive oxygen species(ROS) can induce hepatotoxicity and trigger apoptosis in the liv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ulfated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against alcoholic oxidative stress in human liver Hep G2 cell. An antioxidant substance A-1 obtained from the enzymatic extract of Opuntia ficus-indica fruit was purified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and sephadex G-100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purification yield and molecular weight were 14.3% and 1.8 KDa, respectively. The A-1 predominately contained arabinose, galactose, rhamnose and also sulfate group. The structure of A-1 was investigated by periodate oxidation, FT-IR spectroscopy, $^1H$-NMR spectroscopy. The A-1 mainly composed of alternating unit of ${\rightarrow}4$)-$\alpha$-L- Rapp-2-$SO_3^-$-$\alpha$-L-Galp-($1{\rightarrow}$ and branched linkage of $\beta$-D-Arbp- ($5{\rightarrow}$. The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SOD, CAT activity and GSH assay,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Nrf2 protein was analyzed by western blotting. The viable cell count analyzed by autofluorescence.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thanol(1 M) were dramatically reduced by A-1 treatment. A-1 also prevented cell death induced by oxidative stress. It also increased expression Nrf2 protein level. We concluded that sulfated polysaccharide A-1 from Opuntia ficus-indica effectively protect Hep G2 liver cell from alcoholic oxidative stress.

  • PDF

Monascus sp. CS-2가 생산하는 황색색소에 관한 연구 (제3보) 황색색소의 안전성 시험 (Studies on the Yellow Pigment Produced by Monascus sp. CS-2 (Part 3) Safety Test of Yellow Pigment)

  • 김현수;장욱;손충홍;배종찬;유주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7-121
    • /
    • 1981
  • 분리 정제한 황색색소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vo 및 in vitro 시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Mouse를 이용한 안정성 시험은 경구 투여시 LSD$_{50}$은 체중 20g당 0.13245g이었다. 2. 본 색소를 이용한 발열성물질 시험결과 발열 한도량은 체내투여시 kg 당 5 mg이었다. 3. 본 색소를 이용한 histamin 물질 시험은 혈압강하물질 표준품으로 비교할 때 시험동물 당 10 mg까지 안정하였다. 4. 본 색소의 병원성균에 대한 감수성 시험결과 500 mcg/$m\ell$ 농도에서 Bacillus subtilis(ATCC 6633), Sarcina lutea (ATCC 8341) 및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P)에 대하여 미량의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Antimicrobial Efficacy of Penicillium amestolkiae elv609 Extract Treated Cotton Fabric for Diabetic Wound Care

  • Rozman, Nur Amiera Syuhada Binti;Hamin, Nurhanis Syafiqah Binti Mohd Nor;Ring, Leong Chean;Nee, Tan Wen;Mustapha, Mahfuzah Binti;Yenn, Tong Woei
    • Mycobiology
    • /
    • 제45권3호
    • /
    • pp.178-183
    • /
    • 2017
  • Diabetes mellitus is a chronic disorder which affects millions of population worldwide. Global estimates published in 2010 reported the world diabetic prevalence as 6.4%, affecting 285 million adults. Foot ulceration and wound infection are major forms of disabilities arising from diabetic diseases.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natural antimicrobial finishing on medical grade textile that meets American Association of Textiles Chemists and Colorists (AATCC) standard. The textile samples were finished with the ethanolic extract of Penicillium amestolkiae elv609, an endophytic fungus isolated from Orthosiphon stamineus Benth (common name: cat's whiskers). Endophyte is defined as microorganism that reside in the living plant tissue, without causing apparent disease symptom to the host. The antimicrobial efficacy of the ethanolic extract of P. minioluteum was tested on clinical pathogens isolated from diabetic wound. The extract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4 bacteria and 1 yeast with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ranged from 6.25 to 12.5 mg/mL. The results indicate different susceptibility levels of the test microorganism to the ethanolic extract. However, the killing activity of the extract was concentration-dependent. The finished medical textile showed excellent antimicrobial efficacy on AATCC test assays. All the microbial cultures treated with the textile sample displayed a growth reduction of 99.9% on Hoheinstein Challenge Test. The wash durability of the finished textile was found good even after 50 washes with commercial detergent. Besides, the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analysis showed that 6-octadecenoic acid and diethyl phthalate were the main bioactive constituents of the extract. In conclusion, the developed medical textile showed good antimicrobial efficacy on laboratory tests. This work can be extended to in vivo trials for developing healthcare textile products for antimicrobial applications.

한국인의 대장암 세포주에서 p53 돌연변이의 발견과 발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xpression and detection of the p53 mutation in Korean colon cancer cell lines)

  • 정지연;오상진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51-161
    • /
    • 2001
  • Background: Inactivation in p53 tumor suppressor gene through a point mutation and dele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genetic changes found in human cancer, with 50% of an incidence. This high rate of mutation mostly suggests that the gene plays a centr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ncer and the mutations detected so far were found in exons 5 to 8. Mutation of p53 locus produced accumulation of abnormal p53 protein, and negative regula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as a suppressor of transformation were lost. In addition, inhibition of its normal cellular function of wild-type by mutant is an important step in tumorigenesis. Method: 4 colon cancer cell lines (SNU C1, C2A, C4, C5) were examined for mutation in exons 5 to 8 of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by PCR-SSCP analysis and expression pattern by western blotting and immunoprecipitation. p53-mediated transactivation ability were examined by CAT assay and base substitution of p53 in SNU C2A cell were detected by DNA sequencing. Results: 1) SNU C2A cell and SNU C5 cell were detected mobility shifts each in exon 5 and exon 7 of p53 gene by the PCR-SSCP method, implicating being of p53 mutation. 2) 3 colon cancer cell lines (SNU C1, SNU C2A, SNU C5) expressed wild type and mutant type p53 protein. 3) In northern blot experiment, SNU C2A and SNU C5 cell expressed high level of p53 mRNA. 4) Results of p53-mediated transactivation in colon cancer cell lines by CAT assay represented only SNU C2A cell has transcriptional activity. 5) DNA sequencing in SNU C2A cell showed missense mutation in codon 179 of one allele, histidine to arginine and wild type p53 in the other allele. Conclusion: Colon cancer cell lines showed correlation with mutation in p53 gene and accumulation of abnormal p53 protein. Colon cancer cell SNU C2A retained p53-mediated transactivation as heterozygous p53 with one mutant allele in 179 codon and the other wild-type allele.

  • PDF

유산소 운동과 부추섭취가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효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Allium Tuberosum Intake on Blood Lipids, MDA and Antioxidant Enzyme in Rats)

  • 백영호;이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5-252
    • /
    • 2010
  • 실험동물은 생후 4주령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 30마리로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6마리), 유산소운동군(6마리), 부추섭취군(6마리), 대조군(6마리)으로 총 24마리로 구분하였다. 운동은 총 2주간 트레드밀로 실시하였으며, 유산소 운동은 주5회, 1일 25~30분 실시하였다. 부추는 5%를 첨가한 사료를 섭취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혈중지질에서 TC와 TG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LDL-C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 보다 낮았다. MDA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낮았다. 항산화 효소에서 SOD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군과 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CAT의 활성도는 유산소운동+부추섭취군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과 천연 항산화제인 부추섭취는 지질과산화물을 낮춤으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부추섭취와 관련하여 운동강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뽕잎 당단백질의 혈중지질 저하 효과 및 항산화 효과 (Glycoprotein Isolated from Morus indica Linne Enhances Detoxicant Enzyme Activities and Lowers Plasma Cholesterol in ICR Mice)

  • 심재웅;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91-695
    • /
    • 2008
  • 본 연구는 콜레스테롤 억제효과가 밝혀진 뽕잎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과산화지질 라디칼 억제능력 및 생쥐의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과 간 해독효소 활성의 개선효과를 평가하였다. In vivo에서 생쥐에게 뽕잎 당단백질을 20 mg/kg의 농도로 섭취시킨 후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알아보고, 한편, Triton WR-1339를 투여한 생쥐 그룹에서 혈액 및 간 조직을 적출하여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 변화 및 해독효소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20 mg/kg의 농도로 뽕잎 당단백질을 섭취시킨 생쥐그룹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수준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HDL의 경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riton WR-1339를 투여한 고지혈증을 유도한 생쥐 그룹에서도 뽕잎 당단백질의 농도에 따른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의 유의적인 저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의 해독효소 중 항산화 기능을 가지고 있는 SOD, CAT 그리고 GPx의 활성은 뽕잎 당단백질의 섭취에 의해 모두 증가하였으나 특히 SOD, CAT의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그에 비하여 GPx는 그 유의적 차를 느끼기 어려울 정도의 변화 뿐이었다. 일반적으로,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당단백질은 항산화 능력을 가지고 있고, 또한 이런 항산화제는 동맥 혈관조직이나 백혈구를 손상시키는 체내에서 발생된 ROS를 제거하고 체내 혈장지단백질 수준에 있어서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혈장 콜레스테롤 수준을 억제할 수 있다고 추론할 수 있다(4,25,26). 따라서 이러한 결과에 미루어볼 때, 뽕잎 당단백질 역시 간 내해독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체내의 ROS 수준을 감소시키고,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낮추었으므로 뽕잎 당단백질의 역할이 다른 천연물 유래의 당단백질과 마찬가지로 지단백질과 반비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항산화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앞으로 HMG-CoA reductase에 의한 콜레스테롤 생성과 그게 관련된 유전자 발현 및 그 기전을 분자생화학적인 수준에서 보충적인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산약의 조추출 mucin과 saponin이 급성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에 미치는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Crude Mucin and Saponin from Dioscorea Rhizoma on Gastric Ulcer Induced by Alcohol in Rats)

  • 박영미;임재환;정형진;서을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200-1208
    • /
    • 2014
  • 본 연구는 산약(Dioscorea Rhizoma)으로 부터 조추출된 mucin과 saponin이 위궤양이 유도된 흰쥐의 위조직 손상과 혈액 성분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위궤양을 유발시킨 후 산약에서 추출한 1%의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M 실험군)의 위점막은 위궤양 유발군(GU 실험군)에 비하여 다소 미미하지만 궤양성 출혈과 울혈이 지속되었으나, 1%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DR-S 실험군)은 궤양성 출혈이 1일 이상 진행되었으나 3일차에 급격히 호전되어 대조군과 유사한 상태로 회복되었다. 또한 muc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급성 위궤양으로 인한 위와 장 및 간 조직에서의 부종, 국소성 괴사, 출혈이 지속적으로 출현하였으나, saponin을 경구투여한 실험군은 조직의 출혈과 국소적 괴사가 현저히 감소되어 3일 경과 후에는 위점막하층과 장의 미세융모가 매우 깨끗한 매끄러운 상태로 회복되었다. 혈장 내 AST와 ALT의 수준은 mucin 실험군의 경우 위궤양 유발 직후 위궤양 유발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점차 감소되었으며, saponin 실험군은 위궤양 유발 1일 경과 시 급격히 증가한 후 대조군과 유사한 수치로 회복되었다. 또한 SOD와 CAT의 활성은 mucin 실험군과 saponin 실험군 모두에서 위궤양 유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따라서 산약에 포함되어 있는 saponin은 mucin에 비해서 급성 위궤양에 의한 위조직의 손상을 감소시키고 혈액 성분을 정상화시키며 항산화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 위궤양으로부터 흰쥐의 위장기능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Molecular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Xylanase from Massilia sp. RBM26 Isolated from the Feces of Rhinopithecus bieti

  • Xu, Bo;Dai, Liming;Li, Junjun;Deng, Meng;Miao, Huabiao;Zhou, Junpei;Mu, Yuelin;Wu, Qian;Tang, Xianghua;Yang, Yunjuan;Ding, Junmei;Han, Nanyu;Huang, Zunx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9-19
    • /
    • 2016
  • Xylanases sourced from different bacteria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enzymatic properties. Therefore, studying xylanases from different bacteria is important to their applications in different fields. A potential xylanase degradation gene in Massilia was recently discovered through genomic sequencing. However, its xylanase activity remains unexplored. This paper is the first to report a xylanase (XynRBM26) belonging to the glycosyl hydrolase family (GH10) from the genus Massilia. The gene encodes a 383-residue polypeptide (XynRBM26) with the highest identity of 62% with the endoxylanase from uncultured bacterium BLR13. The XynRBM26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 is a monomer with a molecular mass of 45.0 kDa. According to enzymatic characteristic analysis, pH 5.5 is the most appropriate for XynRBM26, which could maintain more than 90% activity between pH 5.0 and 8.0. Moreover, XynRBM26 is stable at 37℃ and could maintain at least 96% activity after being placed at 37℃ for 1 h. This paper is the first to report that GH10 xylanase in an animal gastrointestinal tract (GIT) has salt tolerance, which could maintain 86% activity in 5 M NaCl.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Km, Vmax, and kcat of XynRBM26 to beechwood xylan are 9.49 mg/ml, 65.79 μmol/min/mg, and 47.34 /sec, respectively. Considering that XynRBM26 comes from an animal GIT, this xylanase has potential application in feedstuff. Moreover, XynRBM26 is applicable to high-salt food and seafood processing, as well as other high-salt environmental biotechnological fields, because of its high catalytic activity in high-concentration NaCl.

사료내 녹차 첨가가 넙치 유어기의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Sources of Green Tea on Immune System and Challenging Test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조성환;이상목;박범희;지성춘;권문경;김이청;이종하;박상언;한형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4-89
    • /
    • 2006
  • 사료내 다양한 녹차 원료 첨가에 따른 넙치 유어기의 성장,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어체중증가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Iysozym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Iysozyme 활성이 나타났다. 3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살해능이 녹차 생잎과 부산물 또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6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엑기스, 건조일, 생잎, 부산물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 대조구에 비하여 엑기스, 건조잎 및 생일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균 공격실험 결과, 복강 주사 2일째부터 넙치의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일 동안 폐사는 계속되었으며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누적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나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녹차엑기스와 건조잎의 사료내 첨가는 넙치의 면역성 향상과 세균공격성에 내성 향상 면에 있어서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타내었고 $25^{\circ}C$ 실험구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에서는 수온 스트레스 직후 10 및 $25^{\circ}C$ 실험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의 지남에 따라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15^{\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6 h째에 가장 높은 CAT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후 차츰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30^{\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SP70 mRNA의 발현은 대조군($20^{\circ}C$)과 비교하여 $25^{\circ}C$ 48 h째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20^{\circ}C$에서 순치된 시볼트전복은 급격한 수온 스트레스에 대해 많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 기작이 분자 레벨인 HSP70 mRNA에서는 신속히 발현되어 스트레스에 대처하지만, SOD나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다소 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의 지남에 따라 $5^{\circ}C$ 내외의 스트레스와 저수온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화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10^{\circ}C$ 이상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생리학적 방어기작이 한계점에 이르러 더

Synergetic Hepatoprotective Effects of Korean Red Ginseng and Pueraria Radix on the Liver Damaged-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CCl4) in Mice

  • Hwang, Seung Hwan;Wang, Zhiqiang;Kang, Il-Jun;Lim, Soon Su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32-138
    • /
    • 201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ynergetic hepatoprotective effects from a mixture of Korean Red Ginseng and Pueraria Radix on carbon tetrachloride ($CCl_4$)-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Liver toxicity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CCl_4$ (0.6 mg/kg) in 12 groups of ICR mice.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given $CCl_4$ without test samples and the normal group was given no treatment. Among treatment groups, the RGAP treatment (Korean Red ginseng acetic acid extract : Pueraria radix water extract, w/w, 38.4:57.6) decreased $CCl_4$-elevated ALT (101.60 IU/L), AST (833.89 IU/L), and LDH (365.02 IU/L) levels in the serum, and increased the SOD (11.03 unit/mg protein) and CAT (0.37 unit/mg protein) levels and the LPO levels ($59.09{\mu}M/g$ tissue) more than that in the mice group with $CCl_4$-induced control group hepa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Korean Red ginseng and Pueraria radix decreases $CCl_4$-induced liver damage and enhances antioxidant activity in mice and imply that administration of the mixture in a certain ratio is more effective than single administration of either Korean Red ginseng or Pueraria radix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