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S K 0590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이미징 기반의 발수도 판별을 통한 측정 신뢰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nhancing Reliability for Determining the Resistance to Surface Wetting by Imaging Process)

  • 김성욱;전상희;박재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83-48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물의 발수도 판정 (KS K 0590) 시 이미징 기반의 판별을 통해서 측정 신뢰도를 향상하는 것으로 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우리는 Java 기반의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을 통해서 발수도 판정 표준표를 정량화하였다. 이때 모든 이미지의 처리과정은 미 국립보건원(NIH)에서 개발한 오픈 소프트웨어인 Image J를 사용하였다. 발수도 판정 표준표(standard spray test rating)에 대한 이미지 처리과정은 면적 측정 기법을 통해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정량화한 결과, 습윤 면적비 수치를 기반으로 하는 손쉬운 판정기준을 확보 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직물에 있어서 이미징 기반의 발수도 판정을 도입하기 위한 최적화 처리기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형광물질을 사용하였다. 형광 이미지를 도입하여 문턱값 (Threshold) 조절과 2치이미지 (Binary Image) 변환 등의 과정을 통해서 발수도 판정을 위한 데이터 처리과정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직물의 발수도 판정 (KS K 0590)에 있어서 기존의 정성적인 분석법에서 탈피하여 정량적인 측정 신뢰도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적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발수발유가공처리가 부직포의 차단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and Oil-Repellent Finish on Barrier Properties of Nonwoven Fabrics)

  • 조길수;최종명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77-586
    • /
    • 1993
  • Pesticide protective clothing has not been frequently worn due to its lack of thermal comfort. It is important to develop fabrics which can allow the wearer to work in comfort. One of the possible way to achieve the goal is to produce fabrics with a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which would resist pesticide penetration but maintain some breath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esticide barrier properties of untreated and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ed nonwoven fabrics. Three types of nonwoven fabrics(Tyvek, Sontara and Kimlon) were used as test specimens. By pad-dry-cure method, each of the specimen was treated with fluorocarbon. The pesticide barrier properties (amount of pesticide penetration and residue) were measured by the gas chromatography. The performance properties of untreated and treated specimens were evaluated with respects to water pepellency(KS K 0590), oil repellency(AATCC 118), water resistance(KS K 0591, AATCC 42), water vapor transmission (KS A 1013) and air permeability(KS K 05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untreated Sontara showed much more amount of pesticide penetration than untreated Tyvek and Kimlon, while the treated Sontara showed little amount of pesticide penetration. 2) After laundering, the amount of pesticide residue in the untreated and treated Sontara was less than that in Tyvek and in Kimlon. 3) Water- and oil-repellent finish improved water repellency, oil repellency, and water resistance of specimens. 4) The untreated Sontara and Kimlon showed higher water vapor transmission and air permeability than untreated Tyvek. Water vapor transmission and air permeability of treated specimen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untreated.

  • PDF

PPS 원단의 발수가공을 위한 최적의 가공조건 고찰 (Study on Optimum Condition of Water-Repellent Finishing For PPS Fabrics)

  • 이인열;정고은;이웅섭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5차 학술발표회
    • /
    • pp.47-47
    • /
    • 2011
  • 국내의 기능성 난연성 섬유 제조기술은 원사 자체에 난연제가 포함된 상태인 난연 PET 원사나, 일반 PET 원단에 후방염 처리한 원단이 사용되기에 난연 방염성능이 만족스럽지 못하고 친환경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오늘날 세계 난연섬유 시장 규모는 10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화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는 추세이므로 기능성을 갖춘 고부가가치 난연소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폴리페닐렌술피드(PPS)는 내열성 및 내화학약품성이 뛰어난 열가소성 고분자로 용융방사가 가능하다. 난연성이 높은 양모섬유 또는 아크릴계 난연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은 비용 문제로 범용화에 한계가 있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PPS 섬유가 개발될 경우 범용화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는 PPS 섬유가 특수한 용도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우수한 난연 특성을 이용하여 일반 용도로의 사용 및 수요가 급격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우선적으로 인테리어용 원단, 특히 커튼이나 소파용 원단으로 용도 전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파용 PPS 원단의 후가공 조건의 선정 및 불소계 발수방오가공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Padding(wet pick up율 $80{\pm}3%$)-Drying($105^{\circ}C$, 2.5min)-Curing은 시간은 1분으로 고정시킨 후, 온도를 150, 160, 170, 180, 190, $200^{\circ}C$에서 처리하여 Yellowness값을 측정한 결과, 온도가 높아질수록 Yellowness값이 커지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PPS원단은 높은 열에 영향을 받아 황변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180^{\circ}C$를 기점으로 값에 큰 변화를 보였으므로 최적의 열처리 온도는 $170^{\circ}C$로 선정하여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큐어링 시간이 황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온도에 의한 영향에 비해 적은 편으로 사료되었으나, 1.5min을 기점으로 Yellowess값이 높아졌으므로 최적의 열처리 시간을 1분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가공조건인 $170^{\circ}C$, 1분에서 처리한 시험포는 처리전 원단과 비교하였을 때, ${\Delta}$Yellowness가 2.84 정도로 나타났다. 그 후, PPS 원단에 불소가공제 (TG-991N, 동인텍스켐)의 적정 농도를 선정하기 위해 1~7%까지 농도를 높이며 처리한 결과, 불소가공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황변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Yellowness값은 증가하다가 4% 이후 완만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므로 IPA/Water Drop test와 발수도시험 (KS K 0590;2008)을 통해 적정 농도를 선정하였다. PPS 원단은 불소가공제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수도가 우수해졌으며, 가공제 농도 3% 처리만으로도 우수한 발수도를 나타내었으나 100% 발수를 위해서는 가공제 농도가 5% 이상 처리되어야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