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MPSAT-3 Image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초

Analysis of Geometric and Spatial Image Quality of KOMPSAT-3A Imagery in Comparison with KOMPSAT-3 Imagery

  • Erdenebaatar, Nyamjargal;Kim, Jaein;Kim, Taeju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3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ometric and spatial image quality analysis of KOMPSAT-3A stereo pair. KOMPSAT-3A is, the latest satellite of KOMPSAT family, a Korea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operating in optical bands. A KOMPSAT-3A stereo pair was taken on 23 November, 2015 with 0.55 m ground sampling distance over Terrassa area of Spain. The convergence angle of KOMPSAT-3A stereo pair was estimated as $58.68^{\circ}$. The investigation was assess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geopositioning analysis, image quality estimation and the accuracy of automatic Digital Surface Model (DSM) generation and compared with those of KOMPSAT-3 stereo pair with the convergence angle of $44.80^{\circ}$ over the same area. First, geopositioning accuracy was tested with initial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 (RPCs) and after compensating the biases of the initial RPCs by manually collected ground control points. Then, regarding image quality, relative edge response was estimated for manually selected points visible from two stereo pairs. Both of the initial and bias-compensated positioning accuracy and the quality assessment result expressed that KOMPSAT-3A image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of KOMPSAT-3 images. Finally, the accuracy of DSMs generated from KOMPSAT-3A and KOMPSAT-3 stereo pairs were examin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DAR-derived DSM. The various DSMs were generated over the whole coverage of individual stereo pairs with different grid spacing and over three types of terrain; flat, mountainous and urban area. Root mean square errors of DSM from KOMPSAT-3A pair were larger than those for KOMPSAT-3. This seems due to larger convergence angle of the KOMPSAT-3A stereo pair.

상대 방사 정규화를 이용한 다시기 적외 위성영상의 변화탐지 비교 (Change Detection Comparison of Multitemporal Infrared Satellite Imagery Using Relative Radiometric Normalization)

  • 한동엽;송정헌;변영기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3호
    • /
    • pp.1179-1185
    • /
    • 2017
  • KOMPSAT-3A 위성은 기존의 지구관측 위성에 비하여 고해상도의 MWIR 영상을 하루 2번 취득한다. 기존 SWIR 영상이나 TIR 영상과 다른 특성으로 인하여 새로운 지표면 방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KOMPSAT-3A MWIR 위성영상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시기 차이 영상을 생성하여 기존 적외 영상과 비교하였다. IR 영상의 전처리 과정으로 영상 상대보정을 수행하고, PIFs(Pseudo Invariant Features) 화소기반의 상대방사 보정을 수행하여 화소값의 차이를 최소화시켰다. Sentinel-2 SWIR 영상, Landsat 8 TIR 영상과 KOMPSAT-3A MWIR 영상을 실험한 결과, KOMPSAT-3A 차이 영상에서 인공지물의 구별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IR영상의 특성을 이용하여 향후 KOMPSAT-3A MWIR 영상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QUICK-LOOK TEST OF KOMPSAT-2 FOR IMAGE CHAIN VERIFICATION

  • Lee Eung-Shik;Jung Dae-Jun;Lee Seung-Hoo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509-511
    • /
    • 2005
  • KOMPSAT -2 equipped with an optical telescope(MSC) will be launched in this year. It can take images of the earth with push-broom scanning at altitude 685Km. Its resolution is 1m in panchromatic channel with a swath width of 15 km After the MSC is tested and the performance is measured at instrument level, it is installed on satellite. The image passes through the electro-optical system, compression and storage unit and fmally downlink sub-systems. This integration procedure necessitates the functional test of all subsystems participating in the image chain. The objective of functional test at satellite level(Quick Look test) is to check the functionality of image chain by real target image. Collimated moving image is input to the EOS in order to simulate the operational environments as if KOMPSAT -2 is being operated in orbit. The image chain from EOS to data downlink subsystem will be verified through Quick Look test. This paper explains the Quick Look test of KOMPSAT -2 and compares the taken images with collimated input ones.

  • PDF

정상운영기간동안의 KOMPSAT-3A호 주요 영상 품질 인자별 특성 (Characteristics of KOMPSAT-3A Key Image Quality Parameters During Normal Operation Phase)

  • 서두천;김현호;정재헌;이동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6_2호
    • /
    • pp.1493-1507
    • /
    • 2020
  • KOMPSAT-3A는 2015년 3월 발사하여 약 6개월의 기간 동안 초기 검보정을 수행한 이후 지난 8년 동안 성공적으로 KOMPSAT-3A 자료를 사용자들에게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영상 자료는 지도제작, GIS, 국토관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정성적, 정량적 정보 추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KOMPSAT-3A의 영상제품군에서 추출되는 정보의 정확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영상 품질과 인공위성 하드웨어 특성을 확인하고 있다. 또한 KOMPSAT-3A의 탑재체, 자세제어 센서들의 노후화에 따른 영상 품질 저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영상 품질 개선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OMPSAT-3A 개발 단계에서 정의된 발사 전후의 검보정 주요 과정 및 대표 영상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측정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발사 후 초기 LEOP Cal/Val이 완료된 이후 측정된 영상 품질 인자별 성능값과 최근 2016년부터 2020년 5월까지 KOMPSAT-3A호의 주요 품질 인자인 MTF, SNR, Location accuracy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KOMPSAT-1 EOC Pass 영상의 기하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Geo-Accuracy with KOMPSAT-1 EOC Pass Imagery)

  • 서두천;임효숙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47-45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KOMPSAT-1 위성에서 취득한 EOC Pass 영상과 scene 영상의 기하정확도를 평가함으로써, 비접근지역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 추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KOMPSAT-1 EOC 위성데이터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1) KOMPSAT-1 전처리 시스템으로 처리된 Level 1R의 ancillary 데이터와 영상좌표를 이용한 지상좌표계산 2) 보조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두 영상의 지상좌표를 공간교차이론으로 지상 3차원좌표 계산 3) 입체 Pass 영상의 일부분(KOMPSAT-1 EOC, 1 scene size)에서 획득된 GCP(Ground Control Point)을 이용하여 Bundle adjustment을 수행하고, 그 결과 계산된 외부표정요소로 지상좌표의 계산 4) 3)에서 계산된 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하여 전체 Pass 영상에 적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Planetscope 영상을 이용한 KOMPSAT-3/3A 영상의 기하품질 향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eometric Quality of KOMPSAT-3/3A Imagery Using Planetscope Imagery)

  • 정민영;강원빈;송아람;김용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7-343
    • /
    • 2020
  • 본 연구는 효율적인 재난 피해 분석을 위해 재난 후 KOMPSA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3/3A Level 1R 영상의 기하품질을 향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재난상황에 대한 데이터 수급의 한계를 해결하고자, 영상 수급이 원활한 Planetscope 정사영상과 KOMPSAT-3/3A 영상에 격자기반 SIFT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기법을 적용하여 RPC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 보정에 필요한 GCP (Ground Control Point, 지상기준점)를 취득한다. 제안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2019년 4월 강릉 산불 피해 지역의 KOMPSAT-3 영상과 토지피복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추가된 대전지역 KOMPSAT-3A 영상에 제안 기법을 적용하였다. 생성된 KOMPSAT-3/3A 정사영상의 기하품질을 검증한 결과, KOMPSAT-3 다중분광 영상의 위치오차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6.62화소에서 1.25화소로, KOMPSAT-3A의 경우 7.03화소에서 1.66화소로 감소되어 영상의 기하품질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기하품질이 향상된 KOMPSAT-3 정사영상은 산불 발생 전 Planetscope 정사영상과 비교되었으며, 이를 통해 향상된 기하품질이 산불 피해 지역 분석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GCP 취득의 대안으로 Planetscope 정사영상의 사용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제안 기법은 재난 상황뿐만 아니라 Planetscope 영상의 수급이 가능한 다양한 KOMPSAT-3/3A 활용연구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The Study for the KOMPSAT-3 Image Data Compression

  • Lee S.G.;Lee S.T.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298-300
    • /
    • 2005
  • Satellite payload on-board date compression unit are use for saving date storage space and reducing time to transmit payload data to the ground station. The KOMPSAT-3 payload will generate higher data rate than KOMPSAT-2 due to its better ground sample distance capacity. High input data rate and limited output transmission data rate might lead excessive compression and degraded image quality. This paper presents a trade-off study about data storage capacity and compression parameters for estimated KOMPSAT-3 system.

  • PDF

수중음향과 Kompsat-2 위성영상을 이용한 해초지 분포 추정 (Application of Hydroacoustic System and Kompsat-2 Image to Estimate Distribution of Seagrass Beds)

  • 김근용;엄진아;최종국;유주형;김광용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3호
    • /
    • pp.181-188
    • /
    • 2012
  • 해초지의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연안에 분포하는 해초지 규모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다. 장흥군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를 대상으로 수중음향측심기와 고해상도 Kompsat-2($4{\times}4m$)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식생유무를 탐지하고 분포크기를 파악하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위성영상을 이용한 식생분석의 정확도는 음향측심기를 통해 얻은 자료분석과 이를 비교하여 검증되었다.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계산된 회진면 일대의 해초지 면적은 약 $3.9km^2$로 수중음향 탐사를 통해 구해진 $4.5km^2$ 보다 과소평가 되었다. Kompsat-2 위성영상을 객체기반 영상분류법으로 해초 식생을 분석한 결과는 수중음향 결과 값에 대해 90%의 정확도를 보였는데, 이와 같이 높은 정확도는 Kappa 지수(0.85)로도 확인되었다. 또한 위성영상과 수중음향 결과 간의 유사도는 77.1%로 비교적 높았다. 생물 비파괴적인 수중음향조사와 Kompsat-2 영상분석으로 국내 연안에 산재해 있는 해초지 식생의 광역적인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보다 정확한 탐지를 위해서 다양한 고해상도 위성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ITIAL GEOMETRIC ACCURACY OF KOMPSAT-2 HIGH RESOLUTION IMAGE

  • Seo, Doo-Chun;Lim, Hyo-Suk;Shin, Ji-Hyeon;Kim, Moon-Gy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780-783
    • /
    • 2006
  •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2 (KOMPSAT-2) was launched in July 2006 and the main mission of the KOMPSAT-2 is a high resolution imaging for the cartography of Korea peninsula by utilizing Multi Spectral Camera (MSC) images. The camera resolutions are 1 m in panchromatic scene and 4 m in multi-spectral imaging. This paper provides an initial geometric accuracy assessment of the KOMPSAT-2 high resolution image without ground control points and briefly introduces the sensor model of KOMPSAT-2. Also investigated and evaluated the obtained 3-dimensional terrain information using the MSC pass image and scene images acquired from the KOMPSAT-2 satellite.

  • PDF

KOMPSAT-3·3A 위성영상 글로벌 융합활용을 위한 다중센서 위성영상과의 정밀영상정합 (Fine-image Registration between Multi-sensor Satellite Images for Global Fusion Application of KOMPSAT-3·3A Imagery)

  • 김태헌;윤예린;이창희;한유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4호
    • /
    • pp.1901-1910
    • /
    • 2022
  • 뉴스페이스(new space)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국내 KOMPSAT-3·3A 위성영상과 해외 위성영상과의 글로벌 융합활용 기술확보가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중센서 위성영상은 취득 당시의 다양한 외부요소로 인해 영상 간 상대적인 기하오차(relative geometric error)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위성영상 산출물의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OMPSAT-3·3A 위성영상과 해외 위성영상 간 존재하는 상대기하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밀영상정합(fine-image registration) 방법론을 제안한다. KOMPSAT-3·3A 위성영상과 해외 위성영상 간 중첩영역을 선정한 후 두 영상 간 공간해상도를 통일한다. 이어서, 특징 및 영역 기반 정합기법을 결합한 형태의 하이브리드(hybrid) 정합기법을 이용하여 정합점(tie-point)을 추출한다. 그리고 피라미드(pyramid) 영상 기반의 반복적 정합을 수행하여 정밀영상정합을 수행한다. KOMPSAT-3·3A 위성영상과 Sentinel-2A 및 PlanetScope 영상을 이용하여 제안기법의 정확도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Sentienl-2A 영상 기준 평균 Root Mean Square Error (RMSE) 1.2 pixels, PlanetScope 영상 기준 평균 RMSE 3.59 pixels의 정확도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제안기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정밀영상정합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