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NR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전이암 환자에서 단일기관 영양검색 도구의 예후 가치 (Prognostic Value of a Single Center Nutrition Screening Too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 윤성수;김민진;김은혜;이지영;윤성우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
    • /
    • 2019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whether a single center nutrition screening tool (Kyunghee Neo Nutrition Risk Screening, KNNRS) can predict survival in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f in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from April 2016 to August 2019. Data on demographic and clinical parameters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overall survival was estim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Stepwise Cox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factors associated with survival. Patients with a KNNRS score of 0 to 3 were classified as "no-risk", 4 to 10 as "low-risk", and 11 to 20 as "high-risk". Results : Total 10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ccording to nutritional screening at baseline, 25 patients (23.8%, median age 57.0) were classified as ""no risk"" group; 80 patients (76.2%, median age 68.5) as "low risk" group; No patients as "high risk" group. Predictors of survival wer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score of 3 or 4 (hazard ratio [HR] = 1.93; 95% confidence interval [CI] = 1.21-3.10), hemoglobin less than 10 g/dL (HR = 1.97; 95% CI = 1.25-3.10) and C-reactive protein more than 1.0 mg/dL (HR = 1.95; 95% CI = 1.21-3.13).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between KNNRS groups: ""no risk"" group: 6.1 ± 1.4 months (95% CI = 3.37-8.83); ""low risk"" group: 3.4 ± 0.9 months (95% CI = 1.5-5.37). Conclusions :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KNNRS wasn't significant predictor of survival for patients with metastatic cancer. Improvement of KNNRS score thresholds is needed.

입원환자를 위해 개발된 영양검색 도구의 타당성 검증 (Validation of the Developed Nutritional Screening Tool for Hospital Patients)

  • 이정숙;조미란;이금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89-196
    • /
    • 2010
  •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관리를 위해 개발한 영양검색 도구의 타당성을 평가 하고자 입원 후 48시간 이내에 동일한 대상자에게 KNNRS, PG-SGA, NRS-2002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1) KNNRS, PG-SGA, NRS-2002를 이용한 영양검색결과 영양상태 불량 및 영양불량 위험도가 높은 환자의 비율은 각각 28.7%, 51.3%, 48.5%로 나타났다. 2) 각 영양검색 도구에 따라 영양상태 불량 및 영양불량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환자는 영양상태 양호 및 영양불량 위험도가 낮은 환자에 비해 공통적으로 평균연령이 높고 BMI, 혈중 헤모글로빈, 총 임파구수, 알부민 수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 3) KNNRS와 PG-SGA에 의한 영양상태 분류를 비교하였을 때 KNNRS에서 영양상태가 양호한 환자 545명 중 PG-SGA에 의해 영양상태가 양호한 환자는 331명이었다. KNNRS에서 영양상태가 불량한 환자 219명 중 PG-SGA에서도 영양상태가 불량한 환자는 178명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60.7% (95%CI 54.2-67.0), 81.2% (95% CI 75.3-85.2)로 영양불량 상태를 판정하는데 두 도구가 임상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두 도구 간 유사성 kappa 지수는 0.34로 KNNRS는 PG-SGA를 기준으로 타당한 검색도구로 검증되었다. 4) KNNRS와 NRS-2002에 의한 영양상태 분류를 비교하였을 때 KNNRS에서 영양상태가 양호한 환자 540명 중 NRS-2002에 의해 영양불량 위험도가 낮은 환자는 312명 이었다. KNNRS에서 영양상태가 불량한 환자 216명 중 NRS-2002에서 영양불량 위험도가 높은 환자는 139명이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57.8% (95%CI 53.4-60.9), 64.4% (95%CI 60.2-69.8)로 영양불량 상태를 판정하는 데 두 도구가 임상적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두 도구 간 유사성은 kappa 지수 0.18로 낮게 나타났다. 5) KNNRS가 PG-SGA 결과와 비교 시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나 영양불량환자의 비율은 28.7%로 PG-SGA와 NRS-2002의 51.3%, 48.5%에 비해 낮았다. 보다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초기 영양관리 중재를 위하여 영양불량 판정 기준의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6) 영양검색 도구의 유효성과 영양관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재원일수, 합병증 여부, 질병 예후, 사망여부와의 연계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