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HANES VIII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폐경 후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Prevalence in Postmenopausal Women)

  • 채현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1-10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prevalence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research using data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1), 2019, which were downloaded from the KNHANES web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91 postmenopausal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VIII-1, 2019.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0 program and complex sample design analysis was performed considering factors such as weight, cluster, and strata. Results: Osteoporosis prevalence of in postmenopausal women was 17.5%.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prevalence were age (65~74 years old, ≥75 years old), house income (low), household type (one-person household), postmenopausal period (10~19 years), drinking (non-drinking). Conclusion: Interventions for osteopor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in postmenopausal women need to focus on women less than 10 years after menopause and one-person household wome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bone density testing for the early detection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우리나라 고령자의 HINT-8 (한국형 건강 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에 따른 건강습관 및 근력, 만성질환, 정신건강, 영양소 섭취상태 분석: 2019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 (Factors Associated with HINT-8 Index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Eight Items), Focusing on Health Habits, Hand Grip Strength, Chronic Diseases, Mental Health,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Korean Older Adults: Based 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Data)

  • 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0권2호
    • /
    • pp.112-124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INT-8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 with eight items), including health habits, hand grip strength, chronic disease, chewing function, mental health, and nutrient intake. In this study,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HINT-8) was assessed using the data from the 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 among Koreans aged over 65, with HINT-8 being evaluated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rom KNHANES VIII, 1,455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complex samples (Windows ver. 27.0). The HINT-8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s and in those aged 75 years or older, lowest educational level, lowest income level, and single household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 lower HINT-8 group and various factors: low aerobic physical activity (OR=1.71, 95% CI=1.25~2.35), low hand grip strength (OR=1.34, 95% CI=1.02~1.78), chewing difficulties (OR=2.17, 95% CI=1.62~2.92), poor self-rated health status (OR=6.11, 95% CI=4.42~8.45), stressful mental status (OR=3.57, 95% CI=2.27~5.63) and poor calcium status (OR=1.45, 95% CI=1.11~1.88).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uld not reveal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 lower HINT-8 group and factors such as smoking, drinking, chronic disease, and nutrient intake status, except for calcium intake. This study suggests that HINT-8 is associated with aerobic physical activity, hand grip strength, chewing function, mental health, and calcium intake, but not with smoking, drinking, chronic disease, and nutrient intake.

한국인 중·장년층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Middle-aged and Elderly in Korean)

  • 안정훈;이채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호
    • /
    • pp.193-200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지각된 건강상태, 주관적 체형인식 및 체중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 제7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VIII-3, 2016-2018)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p <.01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주관적 신체인식과 건강상태 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r=0.256, p<.01). 1년 동안 지각된 건강상태와 체중 변화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r=0.303, p<.01). 그러므로, 중장년층을 위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다양한 변인들을 알아봄으로써 더 나은 건강, 삶의 질, 그리고 웰빙을 위한 대책들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손상 경험(사고 및 중독)이 의료 이용 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jury Experiences (Accidents and Addictions) on Healthcare Use Type)

  • 박상섭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15-21
    • /
    • 2023
  • 본 연구는 손상 경험(사고 및 중독)이 의료 이용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KNHANES VIII-2의 원시자료활 활용하였다. 총 대상자수는 7,359명 중 결측값, 20세 이하 연령층, 부적절한 표기 대상자 1,287명을 제외한 6,072명으로 하였다. 6,072명중 1년간 손상경험 응답자 5,355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WIN 20.0 Version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젊은 연령층이 손상에 영향을 미쳤고(p<.05),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은 집단 보다 나쁨 집단(약 2.0배, p<.05)이 손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손상횟수는 손상치료기관으로 외래와 입원보다 응급실 이용이 약 4-5배 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손상은 활동제한 및 일상생활을 어렵게 하고, 더불어, 의료이용 형태에서도 쏠림현상이 있을 수 있기에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강화와 정책마련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Prevalence of pre-obesity and above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 women: an analysis of the 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Hyunju Chae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7-12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pre-obesity (overweight) and above in adult women and to identify associated factor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2), conducted in 2020. The sample comprised 2,288 women aged 19-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VIII-2. Data were analyzed using complex sample design analysis with SPSS version 20.1. Results: The prevalence of pre-obesity and above among adult women was 46.5%, with 18.6% classified as having pre-obesity and 27.9% as having obesity. A higher prevalence of pre-obesity and above was observed in women aged 50-59 years (odds ratio [OR]=1.67, p=.019) or 60-64 years (OR=1.80, p=.029); women whose highest educational attainment was high school (OR=1.28, p=.018) or middle school or less (OR=1.60, p=.017); those in middle-income households (OR=1.55, p=.005); those engaging in muscle-strengthening activities less than 2 days per week (OR=1.37, p=.019); and those sleeping less than 6 hours per night during the week (OR=1.37, p=.025). Conclusion: As nearly half of all adult women have either pre-obesity 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must target both groups. Interventions should be prioritized for women in their 50s and older, as well as those with low education or income levels. Additionally, receiving adequate sleep of 7 hours or more and engaging in muscle-strengthening activities at least 2 days per week are important components of obesity management.

한국 성인 음주 남성의 고위험 음주 관련 요인: 2차 분석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high-risk drinking among men in Korea: a secondary analysis)

  • 채현주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6권1호
    • /
    • pp.49-59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high-risk drinking in Korean men. Methods: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2), 2020. Data were downloaded from the KNHANES websit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53 alcohol-drinking men between 19 and 64 years of ag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ao-Scott chi-square test and complex sample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s. Results: The high-risk drinking rate among alcohol-drinking men was 27.1%. High-risk drinking was more common in men who smoked (odds ratio [OR] = 2.11, p < .001), men with a middle school education or lower (OR = 1.91, p = .016), men who lived with a spouse (OR = 1.61, p = .025), men who slept less than 6 hours on weekends (OR = 1.51, p = .016), and men who perceived stress (OR = 1.30, p = .044), while it was lower in men who were underweight (OR = 0.19, p = .006). Conclusion: To reduce the rate of high-risk drink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rvention that considers factors associated with high-risk drinking among men. In particular, smok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sociated with high-risk drinking, implying that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drinking and smoking is necessary to reduce high-risk drinking.

Modeling clustered count data with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 Yoo, Hann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9권4호
    • /
    • pp.413-420
    • /
    • 2022
  • In this study we adapt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for clustered count data.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has an attractive feature that it can handle both under and over dispersion data. We analyzed the eigh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I) from 2019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1 month outpatient stay in 17 different regions. We compared the results using clustered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with those of Poisson, negative binomial, generalized Poisson and Conway-maxwell Poisson regression models, which are widely used in count data analy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clustered discrete Weibull regression model using random intercept model gives the best fit. Simulation study is also hel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clustered discrete weibull model under various dispersion setting and zero inflated probabilities.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using a random effect with discrete Weibull regression can flexibly model count data with various dispersion without the risk of making wrong assumptions about the data dispersion.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년) 원시자료를 활용한 흡연, 음주와 안전의식 연구 (A Study on Smoking, Drinking and Safety Awareness using Raw Data in the 8th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9))

  • 김자옥;오현미;김종혁
    • 디지털정책학회지
    • /
    • 1권1호
    • /
    • pp.27-37
    • /
    • 2022
  • 본 연구는 제 8기 1차년도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이용한 2차 자료 분석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질병관리 본부에서 우리나라 가구를 층화집락 추출방식으로 표출한 만 19세 이상 6,606명으로 남자 2,956명, 여자 3,650명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version을 이용하여 흡연, 음주와 안전의식 간의 차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19세 이상 평생 흡연 경험에서는 성별(𝑥2= 2571.2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9세 이상 평생 음주 경험에서 성별(𝑥2= 216.0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의식 중 운전 시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평생 흡연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𝑥2= 6581.46, p<.001). 안전의식 중 운전 시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평생 음주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𝑥2= 6421.29, p<.001). 따라서, 안전의식 증진을 위해서는 금연과 금주를 시킬 수 있는 성별과 흡연과 음주의 관련 특성을 고려한 생의 주기별 맞춤형 교육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우울증에 대한 구강건강 및 관리행태 위험요인 (Or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as Risk Factors for Depression)

  • 이경희
    • 감성과학
    • /
    • 제24권3호
    • /
    • pp.17-26
    • /
    • 2021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2016~2018) 자료를 이용하여 의사로부터 우울증 진단을 받았거나 우울증 선별도구(PHQ-9)를 바탕으로 우울증 분류된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 건강관리행태를 비교하고 관련 위험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전체 대상자 수는 16,489명이며, 그중 성인(19세 이상)이며 구강검진을 시행한 13,19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흡연과 음주 모두에서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강검진 및 구강 건강상태에서 비우울증군과 비교하여 우울증 군에서 말하기 불편감(OR=2.82), 저작불편감(OR=2.41), 치통경험(OR=1.49), 보철물(OR=1.33)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가공의치 필요 수는 우울증 발생관련 위험요인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요인에 있어서는 전신건강이 나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증 발생 유병률이 증가하였으며(OR=9.10), 구강건강이 나쁘다고 느끼는 경우도 증가하여(OR=1.94) 우울증 발생 관련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구강 건강관리 행태에서는 일일 칫솔질 횟수가 감소할수록(OR=1.81), 치실을 사용하지 않고(OR=1.42) 구강검진을 받지 않는 사람 일수록(OR=1.31) 우울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구강건강 상태 및 구강건강 행태는 성인 우울증의 잠재적 위험요인으로 인지되며, 이를 바탕으로 성인 우울증 관리에 있어서 일반적 정신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과 구강관리행태 고려한 성인건강 관련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railty and Sleep Duration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 구혜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4-106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690명이었고,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 분석, 기술 통계, 교차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노쇠한 대상자는 8.9%, 수면 시간이 '부적당(<5시간, >9시간)'한 경우는 13.0%였다.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만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부적당'한 수면을 취하는 경우는 '비 노쇠', '전 노쇠' 수준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질병 특성을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에는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수면 시간이 '부적당'한 경우는 연령 '70~74세'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소득 수준 및 높은 스트레스 인지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노쇠를 예방하고 수면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개인과 사회의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