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L-6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2초

The Moderating Effect of COVID-19 on the Promotion, Distribution and Sales of Dairy Products in Western India: An Exploratory Study

  • SINGH, Sanjit;KOTALA, Siva Sai Madhumitha;SINGH, Prakash;V, Sai Krishna;YAMALA, Karthik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6호
    • /
    • pp.11-1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 effect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dairy retail marketing and distribution (deep freezers, promotions, company support and distributor-retailer relationship) and one moderating variable Covid-19 lockdown on sales of dairy product during the Covid 19 pandemic situation.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Personal interviews and door-to-door surveys and promotional tools were designed to publicise and collect data from the retailers. The sale data before, during and after promotion activity were all recorded and evaluated to draw an inferential conclus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were adopted to analyses the data collected. Results: The research shows that four out of the five factors studied was found having significant impact on dairy retail sales. The highest impact on sales was contributed by promotions, secondly by the deep freezer impact followed by distributor-retailer relationship during the study period and lastly but not the least due to influence of Covid-19 lockdown. Conclusions: The study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in cold chain distribution process through utilization of right mix of tools and tactics for effective marketing and distribution of dairy products in developing countries especially during a pandemic situation.

고속도로 WIM 데이터의 통계분석을 통한 교량 설계활하중 KL-510의 모멘트 효과 분석 (Analysis of Moment Effect of Bridge Design Live Load KL-510 by Statistical Analysis of WIM Data of Expressway)

  • 백인열;정길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467-477
    • /
    • 2017
  • 현행 국내 교량 설계기준의 활하중 모형인 KL-510의 하중 효과를 실측된 통행자료로부터 통계적으로 추정한 트럭의 연행효과 및 국내외 관련 설계기준이 하중모형과 비교한다. 과적단속 전후에 고속도로에서 측정된 트럭의 중량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기준의 활하중 모형 결정과 동일한 과정을 따라서 트럭 중량을 산정하여 그 하중효과를 KL-510과 비교하였다. KL-510은 운행제한중량을 초과하는 트럭을 일부 포함하는 자료로부터 추정한 트럭의 연행에 의한 하중효과와 매우 부합하는 결과를 보였다. KL-510은 미국 AASHTO LRFD의 활하중 모형과 일관성 있는 결과를 주며, 기존 하중 모형인 DB-24보다 하중효과의 비율이 균일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가상의 하중 모형인 KL-510에 해당하는 실제 트럭의 조합을 구성하였으며, 향후 공용중인 교량의 평가와 허가차량의 하중계수 보정에 적용할 수 있다.

KL-510 하중을 적용한 장지간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계휨모멘트 (Design Bending Moment of Cantilever Slab for Long Span decks with KL-510 Load)

  • 정철헌;주상훈;이한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95-6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의 KL-510 하중을 적용하여 장지간 바닥판의 내측 지간에 따른 캔틸레버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를 제안하였다. 장지간 바닥판의 내측 지간은 6.0~12.0m 범위를 대상으로 하였고, 캔틸레버 바닥판의 길이는 내측 지간의 30~50%를 적용하였다. 설계휨모멘트의 결정을 위해 바닥판의 직교이방성, 거더의 강성, 그리고 다차로재하계수의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이를 기존의 DB-24 하중에 대한 설계휨모멘트와 비교하였다.

단세포단백질 생산을 위한 혼합배양의 생육조건 (Growth conditions of symbiosis for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 이해경;정영건;권오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43-348
    • /
    • 1996
  • Mouse의 대장에서 분리된 E. coli LI-10 균주를 보조균주로 하여 Cellulomonas sp. KL-6과 혼합배양한 결과, 균체증식은 주균주와 보조균주를 1 : 1(v/v)의 비로 혼합하였을 때 가장 좋았다. 혼합배양은 주균주 단독배양 보다 균체증식을 63% 정도로 증가시켰으며 두 균주의 분포도는 10 : 1 비율로 KL-6 균주가 주로 분포되어 있었다. 0.1%의 $CaCO_3$의 첨가는 무첨가에 비해 각 배양기간별로 pH를 상승시켜 어느정도의 균체증식을 가져왔다. Filter paper 배지에서 혼합배양시, 본 균주들은 cellobiose를 월등하게 많이 생산하였으나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균체증식 최적배지에서 4일간 혼합배양하였을 때, $1.0\;g/{\ell}$의 균체량을 생산하여 기본배지인 CMC 배지에서 생산한 균체량보다 53% 정도가 증가되었다.

  • PDF

KL-510 하중에 의한 강판형교의 동적응답 (Dynamic Response of Steel Plate Girder Bridges by the KL-510 Load)

  • 정태주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50-6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노면조도 및 교량과 차량 사이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수치해석방법을 사용하여 도로교설계기준에 규정된 표준트럭 하중인 KL-510에 의한 강판형교의 동적응답을 연구하였다. 대상교량은 건설부에서 제정한 "도로교 상부구조 표준도"에 수록되어 있는 지간이 20m, 30m와 40m인 단순 강판형교를 사용하고. "보통의 도로"에 대하여 생성시킨 10개의 노면조도를 사용하였다. 차량은 5축 트랙터-트레일러인 표준트럭하중 KL-510을 3차원 차량으로 모델링하고, 교량은 주형을 보요소로, 콘크리트 바닥판은 쉘요소로, 주형과 콘크리트 바닥판 사이는 Rigid Link를 사용하여 3차원으로 모델링하였다. 이와 같은 노면조도 및 차량을 사용하여 강판형교의 충격계수와 DLA를 구하고 각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검토하였다.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분해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near Alkylbenzene Sulfonate Degrading Bacteria)

  • 이기무;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60-66
    • /
    • 1994
  • 하수 및 토양시료로부터 다수의 LAS분해세균을 분리하고 고농도 (LAS 200ppm)의 액체 배지에서 생육하면서 분해력이 높은 KL-3, SH-2, EN-1등 3개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의 형태적, 생리적 및 배양적 성질에 따라 KL-3은 Klebsiella속, SH-2는 Shigella속, EN-1은 Enterobacter속 균주로 각각 동정되었다. 실험실용 발효조에서의 LAS의 분해양상은 배양초기에 분해속도가 빠르고 (1 일후의 분해율: KL-3 및 SH-2, 50%; EN-1, 20%), 배양 1-2일사이에서 그 속도가 크게 지연되다가 다시 분해가 빠르게 진행되며 3, 4일후에는 다시 늦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7일후의 분해율: KL-3, 85%; SH-2, 82%; EN-1, 75%). 균체의 생육은 배양 2일 후에 $10^8cfu/mL$수준의 정지기에 도달하였으며 pH는 최초 7.0에서 6.2~6.7의 범위로 저하되어 서서히 변화하는 경향이었다. 균체에 의한 LAS의 흡착량은 Shigella sp. SH-2균주의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Freund1ich흡착등식 Y= 0.030X + 0.95를 나타내었다.

  • PDF

KL-510 하중을 적용한 장지간 바닥판의 설계휨모멘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Bending Moments of Long Span Decks with KL-510 Load)

  • 정철헌;이한주;주상훈;안호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75-384
    • /
    • 2016
  • 현행, 도로교설계기준에서는 교량바닥판에 대해 지간이 짧은 다거더 플레이트 거더교 위주의 규정을 두고 있으며, 강합성 소수 거더교에 적용되는 장지간 바닥판에 대한 설계규정은 명확하게 없는 실정이다. 이는 소수 거더교의 장지간 바닥판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관련 규정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측부 교량바닥판의 지간 6.0~12.0m 범위를 대상으로 도로교설계기준의 KL-510 하중을 적용하여 교축방향(종방향)과 교축직각방향(횡방향)에 대한 설계휨모멘트를 제안하였다. 설계휨모멘트는 바닥판의 직교 이방성, 거더의 강성, 그리고 다차로재하계수의 영향이 반영되었으며, 이를 기존의 DB-24 하중에 대한 설계휨모멘트와 비교하였다.

Bacillus subtilis KL-57로부터 생산되는 생체계면활성제 합성 유전자 클로닝 (Cloning of Biosurfactant-Producing Gene from Bacillus subtilis KL-57)

  • 강상모;이병옥;이철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93-598
    • /
    • 1994
  • A bacterium KL-57 which exhibited biosurfactant activity was isolated. This bacterium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The biosurfactant-producing gene of B. subtilis KL-57 was cloned into R subtilis MI113 by using plasmid pTB523. The plasmid DNA from the clone was found to carry a 18 kb PstI insert. The biosurfactant-producing gene was cleaved into 4 fragments by SmaI, 3 fragments by PvulI or EcoRl, 4 fragments by PvulI and EcoRI double digestion, 5 fragments by AccI, and 2 fragments by KpnI, HindIII or BamHI. By subcloning the 18 kb Pstl insert, a 2.3 kb EcoRl fragment conferred the biosurfactant producing activity on B. subtilis cells. The 2.3 kb had one HindIII cleave site. But Two fragments, which corresponds HindIII/EcoRl termini, exhibited no biosurfactant activity.

  • PDF

보행 시 농작업 종사자들의 슬관절 퇴행성 등급에 따른 지면반력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Reaction Force According to the Level of Knee Osteoarthritis During Gait)

  • 이경일;이철갑;홍완기;김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93-399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n aim to use it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assistive devices, such as insoles that can suppress the progress of degenerative diseases and strategies, to improve early degenerative diseases by assessing walking characteristics of farm workers who were classified as KL-grade in the perspective of motor mechanics. Method : 38 male and female adults who complained of knee joint pain for more than six month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KL-grade. KL-grade was assessed by an orthopaedic specialist and an occupational environment health specialist. Filming equipment (FX-1, CASIO, Japan) and a ground reaction force system (AMTI OR6, AMTI, USA) were used to identify ground reaction force characteristics, and WOMAC was used for a pain rating scale. Results :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axis-X) according to KL-grade, and when the grade was higher, the internal ground reaction force was also higher. Changes in COP were not affected by KL-grade of the knee joint, but it tended to increase as the grade increas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ime required for limb support while walking according to the grades, and when the grade was higher, walking was more inefficient with long braking force and short propulsion forces. Also, pain rating scale, the right and left side, and COP changes while in support phase were related. Conclusion : There was a partial,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L-grade and ground reaction force occurring during the support phase,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ground reaction forces according to the grades of degenerative arthritis in the knee joint, indicating that this study is worthy as basic data for future studies.

김치 젖산균과 효모의 혼합배양 방법에 의한 과채류즙 발효과정중의 주요 성분변화 (Chemical Changes of Fruit-Vegetable Juice during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Yeast)

  • 최홍식;김현영;여경목;김복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65-1070
    • /
    • 1998
  • Lactic acid bacteria KL 1, KD 6, KL 4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or obtained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with and without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were inoculated in fruit vegetable juice for mixed culture fermentation 3 days at 3$0^{\circ}C$, and then their chemical changes were studied during fermentation. The amount of organic acid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KL 1 and yeast was 0.82%(3 days) or 0.58%(1 day) and with the final pH of 3.3(3 days) or 4.2(1 day). These mixed culture systems of isolated strains or other bacterial strains had almost similar results of growth rate and acid production. The contents of vitamin C and carotene were retained and stabilized as 70~80% level of their initial values after 24 hrs fermentation. And also ethanol was produced as of the range in 9.6mg%(W/V) by the mixed culture fermentation of KL 1 and yeast, however, the content of ethanol in single culture fermentation by KL 1 strain was much lower than that of mixed culture. The major components of organic acids in fermented juice by mixed culture were considered as malic(26.0%), lactic(49.9%), succinic and citric acid, whereas these of unfermented juice were malic(53.2%), citric and other acids. On other hand, reducing sugar was decreased from 18.3mg/ml in fresh juice to about 12mg/ml in juice by mixed culture fermentation. Concentrations of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were also greatly reduced in fermented jui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