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GS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중노년층의 경제적 노후불안과 영향요인 (Middle-Aged and the Elderly People'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2호
    • /
    • pp.95-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in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is anxiety. The data, derived from Korean General Social Survey(KGSS) were collected from Survey Research Center of Sung Kyun Kwan University. The samples included 821 people over the age of 40, including 529 middle-aged people who were from 40 to 59, and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subjective economic status had crucial effects on the entire group's anxiety about unemployment and poverty, housing prices, financial markets, and economic recession in the older life. For the middle-aged group, age in particular had crucial effects on all the components of it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For the elderly group, geographical region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that affected its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the elderly people who were living in metropolitan area and towns had more anxiety than those who were living in rural areas. In particular, region was the only factor that affected the elderly group's anxiety about financial markets, and economic reces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specific age of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had the crucial effects while their sex, educational level, and the employment status of their spouse had no effects on their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Objective economic indices such as their earned-income and other income including savings and pensions had no effects on their anxiety level. While as noted above subjective economic indices such as their standard of living compared with their parents, projected economic status, and level of socio-economic success had an effect on anxiety about economic change.

Attributes of a 'Good Job': Construct Formation and Validation in South Korea

  • 김상욱;방하남
    • 한국인구학
    • /
    • 제30권2호
    • /
    • pp.117-146
    • /
    • 2007
  • 이 연구는 이른바 '좋은 일자리(good job)'를 측정하기 위한 양질의 지수(index)를 구성해내고 이를 다각도에서 평가하고 검증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좋은 일자리'의 개념이 지니는 학술적, 실용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핵심적 구성지표들이 과연 무엇이며 좋은 일자리의 취득(attainment)을 추동하는 원인 및 취득의 결과는 과연 어떤 것인지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공백이 여전하다. 이러한 공백이 존재하는 이유로는 그간 국내외 학계에서 측정속성이 우수하고 유용성 또한 높은 지수를 구성해보려는 진지한 성찰이 결여되어 있었다는 점 이외에도 일부 그러한 노력의 경우 각종 이론적, 분석적 한계를 피할 수 없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이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이론적으로 취약하고 경험적으로 파편화된 연구결과들이 무성할 뿐, 이론적 정교성 및 실증적 엄정성을 두루 겸비한 양질의 지수는 좀처럼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학, 경제학, 심리학 등에서 좋은 일자리를 규정할 때 사용하는 소수의 핵심적 지표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토대가 굳건한 지수를 구성하고 이 지수의 타당도를 대표성 높은 전국표집 자료를 동원해서 여러 측면에서 동시에 평가해보았다. 국내 여러 사업장의 다양한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공변량구조분석(LISREL) 방식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결과 임금, 직업위세, 권위, 고용안정성 등이 핵심적 지표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 지표들을 복합적으로 합성한 지수는 그 구성지표 원인, 결과 등과 관련해서 수렴 판별타당도 및 구성타당도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의 제반 논제들과 관련된 학술적 실천적 함의를 마지막으로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