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B

검색결과 2,026건 처리시간 0.03초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RNA1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RNA1 Gene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 송영환;고상석;이영석;강현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7-84
    • /
    • 1989
  • Saccharomyces cerevisiae의 RNAI 유전자의 온도 감수성 돌연변이 균주는 성장허용 온도인 23"C에서는 정상적인 성"J--을하나, 성 장억제 온도인 36°C에서는 tRNA, rRNA 그러고 mRNA 의 선우울질을을 핵내에 축적함으후써 성장을 못한다. 본 실 험에서는 complementation 에 의하여 RNAI 유전자를 클로녕하였으며 concomitant loss 실험에 의하여 이 유천자의 클로닝 을 확인하였다. 유전자의 위치를 확인한 결과 3.5kb의 Bgl II 조각내에 RNAI 유전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였으며, 2.1kb에 해당하는 BamH I -Bgl II 조각에서는 RNAI 유전지에 의한 complementation 능력이 상실되는 것으후 보아 RNAI 유전자 는 3.5kb의 BglIl 조각내에 포함되는 BamH 1 자리 주위에 결쳐 있픔을 알 수 있었다.

  • PDF

Fusarium section Liseola 균주들에서 rDNA Intergenic Spacer 부위의 PCR-RFLP 분석 (PCR-RFLP Analysis of Ribosomal DNA Intergenic Spacer Region in Fusarium section Liseola.)

  • 이경은;최영길;민병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12
    • /
    • 2002
  • Fusarium section Liseola에 속하는 균주들의 rDNA IGS 부위를 중폭하고 여러개의 제한 효소로 처리하였다. 증폭된 IGS 부위의 길이는 F. moniliforme 12 만이 약 2.9 Kb 이고 나머지 균주들은 모두 약 2.6 Kb였다. 제한 효소 EcoRI, HincII, SalI, PstI 등은 ICS 부위를 절단하여 11균주들에서 9 haplotypes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Section Liseola에 속하는 균주들에 대한 결과에 앞서 연구되어진 Section Elegans에 속하는 균주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dendrogram을 그렸을 때, IGS 부위를 종내에서와 마찬가지로 종간, section 간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주었다.

Identification of the 187 bp EphA7 Genomic DNA as the Dorsal Midline-Specific Enhancer of the Diencephalon and Mesencephalon

  • Kim, Yujin;Park, Eunjeong;Park, Soochul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1호
    • /
    • pp.1007-1012
    • /
    • 2015
  • EphA7 is a key molecule in regulating the development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To get insight into the mechanism of how EphA7 gene expression is regulated during the dorsal specification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we investigated the cis-acting regulatory sequence driving EphA7 to the dorsal midline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Transgenic LacZ reporter analysis, using overlapping EphA7 BACs, was used to narrow down the dorsal midline-specific enhancer, revealing the 25.3 kb genomic region as the enhancer candidate. Strikingly, this genomic DNA was located far downstream of the EphA7 transcription start site, +302.6 kb to +327.9 kb. Further enhancer mapping, using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and transgenic methods, showed that the 187 bp genomic DNA alone, approximately 305 kb downstream of the EphA7 transcription start site, was sufficient to act as the dorsal midline-specific enhancer of EphA7. Important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187 bp dorsal midline-specific enhancer is critically regulated by homeobox transcription factors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dien- and mesencephalon.

Analysis of Transcripts Expressed from the UL47 Gene of Human Cytomegalovirus

  • Hyun, Jong-Jun;Park, Hyo-Soon;Kim, Ki-Ho;Kim, Hung-Ji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542-548
    • /
    • 1999
  • The UL47 gene (b 60390-b 60388) located in the unique long region of the human cytomegalovirus (HCMV) AD169 strain genome was analyzed RNA mapping. Northern blot analysis showed that the UL47 gene was expressed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72 h postinfection). The 9.7-kb transcript was expressed in the infected cells but not in phosphonoformate-treated cells at 72 hpi, indicating that the UL47 gene was only expressed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To map the 5'-end and 3'-end of UL47 transcripts, primer at late times after infection. To map the 5'-end and 3'-end of UL47 transcripts, primer extension and RNase protection analysis were performed. Primer exten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of UL47 was located in 27 bp downstream (b 60323) of the TATA box motif. The sizes of UL47 ORF (approximately 2.9-kb) and UL48 ORF (approximately 6.7-kb) deduced from computer sequence analysis suggest that the expressed 9.7-kb transcript of UL47 uses the 3'-end polyadenylation signal of Ul48. The result of RNase protection determined that the 3'-end of UL47 RNA utilized the 3'-end polyadenylation signal of UL48, which is located in HCMV genome b 70082.

  • PDF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LAB3113 Isolated from Kimchi

  • Shin, Jong-Yeun;Cheol Ah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01-108
    • /
    • 1997
  • A lactic acid bacterium LAB3113, isolated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Kimchi was found to produce bacteriocin whose activity was very specific toward lactobacilli and not effective against any other bacteria. Lactobacilli affected by the inhibitory substance included Lactobacillus delbrueckii-lactis, L. johnsonii, L. gsseri, and L. curvatus. Based upon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LAB3113 was classified as Lactococcus lactis, and its bacteriocin was named as lactococcin K3113. Lactococcus lactis. LAB3113 produced bacteriocin at th early stage of growth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acteriocin did not decrease even after alt stationalry phase. Optimal temperature of bacteriocin production was $25^{\circ}C$ at the initial pH 7.0. Partially purified lactococcin K3113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protease, but not affected by lipase, lysozyme and RNase. The bacteriocin was very heat-stable even after autoclaving for 20 min. It was also stable in pH changes, an was not affected by th presence of solvents. lacotococcin K3113 appeared to act in bactericidal mode against L. delbrueckii-lactis ATCC4797. Molecular weight of lactococcin K3113 was calibrated as 10,500 dal by SDS-PAGE an activity staining. Lactococcus lactis LAB3113 had four residential plasmids of 3.7kb, 11.2kb, 15.5kb, and 48kh in molecular sizes. Plasmid profile analysis of mutant strain revealed that 15.5 kb plasmid was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lactococcin K3113 and its immunity to the bacteriocin.

  • PDF

퇴비에서 분리한 Bacillus aryabhattai K13의 유전체 염기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acillus aryabhattai K13 isolated from compost)

  • ;이승제;;전소현;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2-333
    • /
    • 2017
  • 단일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1% 리그닌을 사용하여 퇴비를 농축배양한 시료로부터 Bacillus aryabhattai K13 균주를 분리하였다. K13 균주의 유전체는 약 5.0 Mb 크기의 염색체와 139 kb와 78 kb 크기의 2개 플라스미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결정된 유전체의 분석은 리그닌 분해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규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람 코점막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1의 유전체 염기서열 (Complete genom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1 isolated from human nasal mucosa)

  • ;오재영;한재익;송원근;박희명;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74-476
    • /
    • 2018
  • 메티실린 내성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1을 반려견 주인의 코점막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완전 해독된 Z0117SE0041 균주의 게놈은 약 2.5 Mb의 염색체와 47 kb, 36 kb, 11 kb 크기의 3개 플라스미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Z0117SE0041 균주는 병을 유발하거나 항생제 내성을 전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다 깊이 있는 유전체 분석이 요구된다.

사람 코점막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2의 유전체 염기서열 (Complete genom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2 isolated from human nasal mucosa)

  • ;오재영;한재익;송원근;박희명;채종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68-470
    • /
    • 2018
  • 메티실린 내성 Staphylococcus epidermidis Z0117SE0042을 수의사의 코점막으로부터 분리하였다. 완전 해독된 Z0117SE0042 균주의 게놈은 약 2.5 Mb의 염색체와 24 kb, 23 kb 크기의 2개 플라스미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해독된 유전체 정보는 인간의 정상미생물상에 존재하는 항생제 내성유전자의 분포를 추적하는데 유용한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면적 1-kb PMOS Antifuse-Type OTP IP 설계 (Design of Low-Area 1-kb PMOS Antifuse-Type OTP IP)

  • 이천효;장지혜;강민철;이병준;하판봉;김영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1858-186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power management IC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IP인 1-kd OTP IP를 설계하였다. 기존의 OTP 셀 (cell)은 isolated NMOS 트랜지스터를 안티퓨즈 (antifuse)로 사용하였으나 BCD 공정에서는 셀 크기가 큰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isolated NMOS 트랜지스터 대신 PMOS 트랜지스터를 안티퓨즈로 사용하였으며, OTP 셀 트랜지스터의 크기를 최적화시켜 셀의 크기를 최소화시켰다. 그리고 ESD 테스터 시 PMOS 안티퓨즈 양단에 고전압 (high voltage)가 걸려 임의의 셀이 프로그램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OTP 코어 회로에 ESD 보호 회로 (protection circuit)를 추가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되지 않은 셀을 읽을 때 게이트 커플링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high-impedance의 PMOS pull-up 트랜지스터를 ON 시키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동부하이텍 $0.18{\mu}m$ BCD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된 1-kb PMOS-type 안티퓨즈 OTP IP의 레이아웃 크기는 $129.93{\times}452.26{\mu}m^2$이다.

벼 흰빛잎마름병 병원세균의 계대배양에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erial Transfer on the Virulence of Xanthomonas oryzae)

  • 이순구;이태호;최용철;조용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3-76
    • /
    • 1979
  • 벼 흰빛잎마름병균, Xanthomonas oryzae의 채집균주중에서 가장 병원성이 큰 2균주를 선발하여 각각 10대까지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한 모든 세균을 "밀양23호", "유신", "통일"의 분얼기묘에 접종한 결과, 1) 병원성이 큰 III군균주(IN7721)가 작은 1군균주 (KB7785)보다 계대배양으로 인해 더 많은 감퇴를 나타내었다. 2) 품종의 저항성에 따라 병원성 감퇴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병원성이 작은 균주(I군, KB7785)는 저항성 품종에서, 병원성이 큰 균주(III군, JN7721)는 이병성품종에서 각각 병원성감퇴가 더 컸다. 3) I군균주(KB7785)가 "통일" 품종의 분얼기 묘에 III군균주(JN7721)와 비슷한 정도로 침입할 수 있었다. 4) 10대까지의 계대배양 도중에 콜로니 형태가 다른 변이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