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P Learner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술적 텍스트 구성의 수사적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Academic Text Construction for KAP learners)

  • 홍윤혜
    • 한국어교육
    • /
    • 제28권2호
    • /
    • pp.235-26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categorize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text construction in research articles and to provide data for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30 research articles by Korean writers from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s, and categorizes the rhetorical strategies according to the roles of the writer as a RA form composer, a manager of research content, and a communicator. On the basis of the strategies, this study analyzes 18 term papers of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inspects their weaknesses in using the rhetorical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rhetorical strategy education for KAP learners that emphasizes validity and clarifies argument along with attracting readers.

초등수학의 개별학습을 위한 학습자 진단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arner Diagnosis System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 허정원;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2
  •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습능력을 진단하여서 결과에 따라 개별학습을 할 수 있는 LED 시스템 (LEarner Diagnosis system)을 설계 구현한 것이다. 수학과와 같이 위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는 선수학습을 제대로 성취하지 못하면 후속학습에 곤란을 겪는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LED 시스템은 학습 전에 학습자의 선수 학습 능력을 진단한다. 진단 결과 학습 결손이 있을 때는 보충학습을 통해 결손을 보충하고 본 주제학습을 한다. 또한 매 학습이 완전학습이 되어 더 이상의 학습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학습 후에도 진단평가를 실시하여 완전학습이 이루어졌을때만 후속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한다. LED 시스템을 이용하면 학습자는 학습결손을 방지할 수 있고 완전학습을 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 할 수 있게 된다.

  • PDF

대학영어교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f active college educational English)

  • 박한기;양승갑;오관영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3호
    • /
    • pp.113-13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troduce a new pedagogy for developing English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t is based on the favorabl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Network English, which is a method that has been used in three classes at Y University for a period of one semester. Network English is a kind of integrated teaching method of offline and online education, and can be a learner-oriented educational method. The online aspect gives learners easier access to the text,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istic of online itself, the various contents in conformity with the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are provided in the text, in order that the learners can get and maintain a desire for study without losing their interest in English. Although the offline par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raditional classes, the offline education can complement the deficiency of the online and also offer the learners the opportunity for questions and answers. From the results of application of Network English in three classes,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method and have more interest in English, which resulted in better grades.

  • PDF

웹 에이전트를 이용한 웹기반 교수-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An Implementation and Design Web-Based Instruction-Learning System Using Web Agent)

  • 김갑수;이건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69-78
    • /
    • 2001
  • 최근에,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CAI 환경에서 WBI 학습 환경으로 옮아가고 있다. WBI 학습에 필요한 대부분의 웹 문서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얻는다. 교수자는 검색한 웹 문서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한 후 학습 자료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교수-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교수자에 의해 선정된 웹 문서를 반복해서 검색한다. 둘째, 웹 문서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기 위한 별도의 교수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자의 평가 결과와 웹 문서 사이의 관련성 분석이 매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WBI 학습에 필요한 웹 문서를 검색하고 학습자에게 학습 과정을 안내하는 WAILS(Web Agent Instruction Learning System)를 제안한다. WAILS는 웹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WBI 학습에 필요한 웹 문서를 수집한다. 교수자는 수집한 웹 문서를 평가하고 교수-학습 생성기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시한다. 교수자는 WAILS를 이용하여 웹 문서의 검색과 교수-학습 설계를 동시에 하게 된다. 이는 WBI 학습을 더욱 촉진시키게 된다.

  • PDF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전략형 Q&A 시스템 (A strategic Q&A system for self-directed study)

  • 이해복;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3-29
    • /
    • 2002
  • 수학의 교육과정이 새롭게 난이도별로 구성되어 아동의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을 하도록 개정되었다. 위계성이 분명한 수학교과의 특성상 선행학습이 이루어진 정도에 따라 후속학습이 좌우되는 특성을 가진다. 여기에 현행학습의 과정을 학습함에 있어 아동의 이해를 돕고 문제해결의 방향을 선택하게 하여 다양한 해결전략을 경험하게 하는 것은 보다 나은 문제해결과 정확한 진단을 위한 기본이 될 수 있다. 이 전략형 Q&A 시스템은 주제별 해결유형을 제시하고 선택하도록 하여 학습의 장애요인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수학학습을 돕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 수준의 문제 및 학습내용을 해결할 수 있는 수학적 능력을 갖게 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 PDF

수와 연산 학습을 위한 클래스기반 학습 애플릿 개발 (Development of Class-Based Learning Applet on Numbers and Number Operations)

  • 김민정;김갑수;민미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수학과의 학습은 학습자가 구체적인 조작을 통해서 개념을 학습한다. 그러나 웹에서 구현되는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정적이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에 제약이 많다. 이런 제약 조건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인지적인 단계에 적합한 동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수학에서 수와 연산 영역의 교육과정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객체지향설계원리를 이용하여 학습 애플릿에 필요한 "수 클래스"를 설계하고 구현하였으며, 구현된 "수 클래스"를 기반으로 클래스기반 "수와 연산 학습 애플릿"을 개발하였다. 클래스기반 '수와 연산 학습 애플릿'은 초등학교 수학과의 '수와 연산' 영역 교육과정을 토대로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각 학습 주제에 따라 소단위 프로그램으로 제작하였다. 이 학습 애플릿은 자유로운 조작과 탐구활동을 통해 수와 연산의 개념과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학생들의 동적인 상호 작용을 강화한다.

  • PDF

컴퓨터 기능 교육에서 초인지를 이용한 협력적 성찰 수업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llaborative-Reflection Instructional Model by using Meta-Cognition in Computer Skill Education)

  • 김갑수;이미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39-348
    • /
    • 2005
  • 컴퓨터 교육은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추구하면서도 문제해결의 필요에 의해 기능을 활용하기보다 유명한 회사의 응용프로그램의 기능적 요구에 의해 단순히 따라하면서 기능을 습득하도록 하는 행동주의적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좀 더 효과적으로 컴퓨터 소양교육을 하면서도 실제 생활과 괴리되지 않는 컴퓨터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구성주의의 관점에서 학습자의 활동을 중시하고 자기 점검적 초인지를 이용하여 각 수업의 단계에 성찰을 구조화 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을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제 중심의 성찰적 협력학습 방법을 강구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기능교육에 적용해 본 결과 본 모형을 적용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기능 학습의 성취도가 높았고, 상위집단, 중간집단, 하위집단의 성취 결과를 분석한 결과 상위 집단에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cademic vocabulary Education for Content-Bas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 Basic Study for Online Dictionary Development

  • Hwang, Shung-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67-74
    • /
    • 2020
  • 이 연구는 내용 중심 한국어 교육을 위해 학술어휘를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으로 온라인 학술어휘 사전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대학 수학 과정에서 접하게 되는 내용 중심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학술적 텍스트에는 다양한 학술어휘가 존재한다. 학술어휘를 모르고서는 학문적 내용을 이해하거나 생산할 수 없다. 따라서 그들이 처한 교육적 환경을 고려하여 그들에게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학술어휘를 교육해 교육적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한국어 교육의 과제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고는 온라인 학술어휘 사전 개발에 앞서 온라인 학술어휘 사전에는 어떠한 내용이 어떠한 방식으로 담겨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온라인 학술어휘 사전은 교실 안으로 한정되어 있던 교육을 교실 안팎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하게 해 교육 현장이 갖는 어휘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