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2

검색결과 1,254건 처리시간 0.031초

Genetic analyses of Acanthamoeba isolates from contact lens storage cases of students in Seoul, Korea

  • Yu, Hak-Sun;Choi, Kyung-Hee;Kim, Hyo-Kyung;Kong, Hyun-Hee;Chung, Dong-Il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61-170
    • /
    • 2001
  • We conducted both the small subunit ribosomal DNA (SSU rDNA)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d mitochondrial (mt) DNA RFLP analyses for a genetic characterization of Acanthamoeba isolates from contact lens storage cases of students in Seoul, Korea. Twenty-three strains of Acanthamoeba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nd twelve clinical isolates from Korean patients were used as reference strains. Thirty-nine isolates from contact lens storage cas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ypes (KA/LS1 , KA/LS2, KA/LS4, KA/LS5, KA/LS7 KA/LS18, KA/LS31). Four types (KA/LS1 , KA/LS2, KA/LS5, KA/LS18) including 33 isolates were regarded as A. castellanii complex by riboprints. KA/LS1 type was the most predominant (51.3%) in the present survey area, followed by KA/LS2 (20.9%), and KA/LSS (7.7%) types. Amoebae of KA/LS1 type had the same mtDNA RFLP and riboprint patterns as KA/E2 and KA/E12 strains, clinical isolates from Korean keratitis patients. Amoebae of KA/LS2 type had the identical mtDNA RFLP patterns with A. castellanii Ma strain, a corneal isolate from an American patient as amoebae of KA/LS5 type, with KA/E3 and KA/E8 strains from other Korean keratitis patients. Amoebae of KA/LS 18 type had identical patterns with JAC/E1, an ocular isolate from a Japanese patient. Three types , which remain unidentified at species level, were not corresponded with any clinical isolate in their mtDNA RFLP and riboprint patterns. Out of 39 isolates analyzed in this study, mtDNA RFLP and riboprint patterns of 33 isolates (84.6%) were identical to already known clinical isolates, and therefore, they may be regarded as potentially keratopathogenic.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act lens wearers in Seoul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hygienic maintenance of contact lens storage cases for the prevention of Acanthamoeba keratitis.

  • PDF

감마선 조사로 유기한 장미 '카디날' 돌연변이체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Comparison of Mutants Induced through Gamma Irradiation in 'Kardinal' Rose)

  • 고갑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9권5호
    • /
    • pp.456-460
    • /
    • 2011
  • 이 연구는 장미(Rosa hybrida Hort.) '카디날'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얻어진 변이의 발생 양상을 구명하고 변이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2002년 44주의 삽목묘에 $^{60}Co$ 선원으로부터 70Gy 선량의 감마선을 처리하여 포장에 심어서 2002년부터 2004년에 걸쳐 화색변이 발생을 관찰하였다. 4가지 화색 돌연변이체를 발견하여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재배하면서 이들 변이체가 완전변이체로 고정된 것을 확인하였다. 각 계통별 삽목.증식한 묘를 2008-2009년까지 농가에서 수경재배하여 특성을 조사하였다. 원래 '카디날'은 화색이 짙은 적색(Red group, 44A, 45B)인데 이로부터 발생한 4가지 변이체들 중, KA1은 연분홍(Red group, 55B-55D), KA2(Fig. 1C)는 분홍색(Red group, 63A-63B), KA3(Fig. 1D)는 KA2와 비슷하나 진분홍색이었고(Red purple group, N57A-N57C), KA4(Fig. 1E)는 주황색(Red group, 43A-43B)이었다. 꽃의 직경에서 원품종 '카디날'은 12.5cm인데 비해 'KA1'은 9.2cm로 작고, KA2는 12.9cm로 커서 서로간에 차이가 있었다. 꽃잎 수는 '카디날'이 35.5장인데 비해 KA2는 39.8장으로 가장 많았고, KA1은 가장 적었다. CIE Lab 값에서 변이체들은 L(명도)은 모두 높아지고 a와 b값은 KA4를 제외하고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초와 잎의 특성도 원품종 '카디날'과 '카디날'의 4가지 변이체 사이 차이가 있었다. KA1은 신초장, 절간장, 화경장, 가시발생 등에 가장 작았고 나머지 계통들은 대부분 '카디날'과 비슷하였다. 잎의 뒷면의 색은 꽃색이 적색인 '카디날'과 주황색 변이체 'KA4'에서 연한 적색을 띠었으나, KA1, KA2, KA3는 녹색이었다.

EFFECT OF CYCLOHEXIMIDE ON KAINIC ACID-INDUCED PROENKEPHALIN mRNA INCREASE IN THE RAT HIPPOCAMPUS: ROLE OF PROTO-ONCOGENES

  • Je-Seong. Won;Suh, Hong-Won;Song, Dong-Keun;Kim, Yung-Hi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0-180
    • /
    • 1996
  •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kainic acid (KA) causes an elevation of hippocampal proenkephalin mRNA level. However, the role of proto-oncogene products, such as c-Fos, c-Jun and Fra proteins in the regulation of KA-induced proenkephalin mRNA increase in the hippocampus has not been well characterized. Thu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ycloheximide (CHX) on KA-induced proenkephalin mRNA and immediate early gene products induction was examined. After pretreating with either vehicle or CHX (20 mg/kg, s.c.) for 30 min, KA (10 mg/kg) was administered s.c. The animals were sacrificed 1,2, or 8 hrs after KA administration. Total RNA and were isolated for Northern blot assay, and proteins were isolated for Western and electrophoretic gel-shift assays. First, we found that CHX inhibited KA-induced proenkephalin mRNA increase without altering intracellular proenkephalin protein level. Secondly, Western blot assays showed that KA increased c-Fos, c-Jun and Fra proteins at 1,2, and 8 hrs and CHX inhibited these immediate early gene products. Finally, electrophoretic gel shift assays revealed that KA increased both AP-1 and ENKCRE-2 DNA binding activities. Furthermore, CHX attenuated KA-induced AP-1 and ENKCRE-2 DNA binding activities. Both AP-1 and ENKCRE-2 DNA binding activities were abolished by cold AP-1 or ENKCRE-2 oligonucleotides, and further reduced by antibodies against c-Fos or c-Jun. Antibody against CREB reduced ENKCRE-2, but not AP-1, DNA binding activity. Our results suggest that on-going protein synthesis is required for elevation of hippocampal proenkephalin mRNA level induced by KA. All c-Fos, c-Jun, and Fra proteins appears to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hippocampal proenkephalin mRNA level induced by KA (This study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KOSEF).

  • PDF

카올린을 혼합한 활성화된 다성분계 시멘트의 강도 특성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Multi-Component Cement with Kaolinite)

  • 김태완;김임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5호
    • /
    • pp.593-600
    • /
    • 2016
  • 본 연구는 알칼리 활성화된 다성분계 시멘트에서 카올린(kaolinite, KA)의 효과에 다른 강도 특성에 관한 것이다. 연구에는 고로슬래그 미분말(GGBFS), 플라이애시(FA), 실리카 퓸(SF) 그리고 카올린(KA)을 결합재로 사용하였다. 시험체는 20% ~ 70% GGBFS, 10% ~ 60% FA, 10% SF(고정 비율) 그리고 10% ~ 50% KA의 범위로 혼합하였다. 물/결합재 비는 0.5이다. 결합재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규산나트륨($Na_2SiO_3$)을 전체 결합재(GGBFS + FA + SF + KA) 중량의 10% (10% NaOH + 10% $Na_2SiO_3$)비율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압축강도, 물 흡수율, 초음파 속도, 건조수축과 X-ray diffraction (XRD)를 수행하였다. 압축강도는 KA의 양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강도감소의 중요한 원인중 하나는 GGBFS 또는 FA와 비교하여 KA의 낮은 활성화 때문이다. 수화가 진행되는 동안 KA는 완전하게 반응하지 않았다. 또한 KA의 양이 증가할수록 UPV는 모든 시험체에서 감소하였다. 건조수축과 물 흡수율은 KA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러한 시험결과를 통해 다성분계 시멘트의 강도 특성은 KA와 GGBFS의 양에 큰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Acnnthamoebc lugdunensis을 KA/LS주의 내공생세균 (Bacterial endosymbiosis within the cytoplasm of Acanthamoeba Lwnunensis isolated from a contact lens storage case)

  • 정동일;공현희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2호
    • /
    • pp.127-134
    • /
    • 1997
  • 콘택트렌즈 보존 용기 유래 가시아메바 KA/LS주의 세포질 내에 존재하는 bacterial endosymbiont(내공생세균)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확인하였다. 숙주인 가시아메바 KA/LS주는 형태학적으로 제2군에 속하였고 rDNA PCR-RFLP 결과 A. lugdunensis로 동정되었다. 미토콘드리아 DNA RFLP와 동위효소 분석상 이 충주는 국내 콘택트렌즈 보존용기에서 가장 흔히 분리되는 type인 KA/L1주, 국내 임상 분리주 중 하나인 KA/E2주, 내공생세균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 병원 냉각수 유래 KA/W4주 및 L3a주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한 성적을 보였다. 내 공생세균은 약 $1.38{\;}{\times}{\;}0.50{\;}{\mu\textrm{m}}$의 크기였고, 아메바 세포질 내에 불규칙하게 분포하고 있었으며 그 표면에 아메바의 ribosome이 부착되어 있었다. 내공생세균을 둘러싼 lacunae나 막과 같은 구조는 관찰되지 않았다. Legionoun 특이 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PCR)에서 내공생세균의 염색체 DNA는 증폭되지 않았다 A. lugdunensis의 우리말 이름을 담수가시아메바로 제안한다.

  • PDF

Protection by Methanol Extract of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Peel against Kainic acid-Induced Seizure

  • Jo, Young-Jun;Eun, Jae-Soon;Kim, Hyoung-Chun;Cho, Hwang-Eui;Lee, Mi-Kyeong;Hwang, Bang-Yeon;Hong, Jin-Tae;Moon, Dong-Cheul;Oh, Ki-Wa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2호
    • /
    • pp.99-106
    • /
    • 2010
  • This experiment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methanol extract of fruit peel of Dimocarpus longan Lour. (MEFL) protects against kainic acid (KA)-induced seizure. Oral administration of MEFL (1, 2 and 4 mg/kg) increased KA (50 mg/kg)-induced survival rate and latency of convulsion onset, and deceased seizure scores and weight los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KA in mice. In addition, MEFL protected against cell death in the hippocampus of rat brain after KA-administration as analyzed by using TUNEL assay in rats. MEFL also significantly blocked seizure-form of electroencephalogram (EEG) power spectra induced by KA in rats. MEFL also inhibited elevation of [$Ca^{2+}$]i and increased [$Cl^-$]i induced by KA in cultured neuronal cell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EFL protects against seizure induced by KA, decreasing [$Ca^{2+}$]i.

Neuroprotective Effect of N-nitro-L-arginine Methylester Pretreatment on the Early Stage of Kainic Acid Induced Neuronal Degeneration in the Rat Brain

  • Koh, Jun-Seok;Kim, Gook-Ki;Lim, Young-Jin;Rhee, Bong-Arm;Kim, Tae-S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4호
    • /
    • pp.287-292
    • /
    • 2005
  • Objective : Kainic acid[KA] enhances the expression of nitric oxide synthase, increases nitric oxide[NO], and thus evokes epileptic convulsion, which results in neuronal damage in the rat brain. NO may stimulate cyclooxygenase type-2 [COX-2] activity, thus producing seizure and neuronal injury, but it has also been reported that KA-induced seizure and neurodegeneration are aggravated on decreasing the COX-2 level.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whether the suppression of NO using the NOS inhibitor, N-nitro-L-arginine methyl ester[L-NAME], suppresses or enhances the activity of COX-2. Methods : Silver impregnation and COX-2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ere used to localize related pathophysiological processes in the rat forebrain following KA-induced epileptic convulsion and L-NAME pretreatment. Post-injection survival of the rat was 1, 2, 3days and 2months, respectively. Results : After the systemic administration of KA in rats, neurodegeneration increased with time in the cornu ammonis [CA] 3, CA 1 and amygdala, as confirmed by silver impregnation. On pretreating L-NAME, KA-induced neuronal degeneration decreased. COX-2 enzyme activities increased after KA injection in the dentate gyrus, CA 3, CA 1, amygdala and pyriform cortex, as determined by COX-2 staining. L-NAME pretreatment prior to KA-injection, caused COX-2 activities to increase compared with KA- injection only group by 1day and 2days survival time poin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L-NAME has a neuroprotective effect on KA-induced neuronal damage, especially during the early stage of neurodegeneration.

카인산 유발 신경세포 변성 모델에 대한 Aspalatone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effect of Aspalatone on KA-induced neurodegeneration in rat.)

  • 김진;남성원;구창휘;김형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95
    • /
    • 1995
  • 뇌신경 변성 / 퇴행과 관련된 중요한 병인론 중의 하나는 변성 과정에서 형성된 유리기(free radical)로 인한 항산화계의 평형 소실로 알려져 있다. Aspalatone (APT)의 예상되는 항산화 효능을 검정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Kainic acid (KA) 유발 뇌변성 모델을 적용하였다. KA 모델은 변연계의 간질성 경련과 신경세포 변성에 대하여 재현성 있는 병변 모델을 제공해 주며, 이와 같은 신경세포의 병독 기전에 산소 유리기가 관여함이 강력히 시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KA 투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도 전형적인 간질성 경련이 관찰되고 1일 이내에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나 APT으로 인하여 그 간질성 경련 행위와 비율이 억제되고 KA 유발 치사율도 억제되었다. 최종 KA 투여 3일 후에 얻어진 흰쥐 해마 및 대뇌 피질에서 항산화 효소인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및 과산화지질의 지표인 Malondialdehyde (MDA)를 검정하였다. 대조군에 비하여 KA는 뇌조직의 SOD-1을 유도하였으나, Cat.와 GSH-PX의 활성은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고, 반면에 MDA 치는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Cat., GSH-PX와 같은 $H_2O$$_2$중화제가 동반 유도하지 않는 SOD의 유도는 세포내 축적되는 $H_2O$$_2$로 인하여 Fenton/Haber-Weiss 반응을 가속화하여 과산화지질화를 촉진함을 시사한다. APT 병용 투여로 SOD는 현저히 유도되지 않았으나 특히 Cat.가 현저히 유도되어지고 MDA는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생화학적인 결과는 다음의 형태학적인 소견과 일치한다. Fos 관련 항원 (FRA)와 SOD-1을 면역세포화학 (Immunocytochemistry)적 방법으로 이중 표식 (double-labelling) 하였다. FRA는 KA로 인한 신경세포의 자극에 대한 지표로 응용하였고, SOD-1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산화적 손상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KA 투여로 해마의 dentate gyrus (DG) 내에 강한 면역환성 (immunoreactivity)이 나타났고 pyramidal cell layer (PCL)와 glia에 SOD-1이 강하게 염색되었다. APT 병용 투여로 상당수의 경련이 일어나지 않은 흰쥐는 해마의 DG에 FRA가 경미하게 염색되었고, PCL에 SOD-1도 경미하게 나타났으나, 경련이 나타난 쥐에서는 KA만을 투여한 흰쥐와 구별되지 않았다. 이상의 APT의 항산화 효과는 KA로 인한 뇌세포 변성 개선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되나, 보다 명확한 APT의 기전을 검색하고 직접 임상에 응응하기 위하여는 보다 다양한 실험 조건이 보완되어야 찰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VC 신호의 Ka대역 HDTV 위성방송서비스 적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pplying Scalable Video Coding Signals to Ka band Satellite HDTV Service)

  • 윤기창;장대익;손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905-914
    • /
    • 2008
  • 이 연구는 Ka대역 HDTV 위성방송서비스를 제공할 때 발생하는 강우감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MPEG-4 SVC (Scalable Video Coding) 신호를 JSCC (Joint Source/Channel Coding) 시스템을 통하여 Ka대역 위성방송시스템에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Ka대역 위성방송시스템은 DVB-S2 VCM (Variable Coding and Modulation) 모드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SVC 신호는 공간 계위층, 화질 계위층 및 시간 계위층을 고려하였다. JSCC 시스템은 모든 계층의 소스부호화 시스템과 채널부호화 시스템을 결합하여, 최적의 수신품질을 얻도록 각 계층의 비트 율과 그 계층에서의 소스와 채널을 위한 비트 율을 할당하였다. 계층 수는 기본계층과 향상계층을 포함하는 2개로 제한하였으며, 각 계층에 대한 비트 율은 적용 SVC 신호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세 가지 SVC 신호의 Ka대역 위성방송서비스에의 적용성을 강우감쇠관점에서 분석하였으며, 가장 적용성이 우수한 SVC 신호를 이용하여 Ka대역 위성방송서비스에 적용하는 방안이 고찰되었다.

Study on the Link Analysis for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Using Ka Band Transponders in the Korean Area

  • 윤기창;김승철;손원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7-12
    • /
    • 2008
  • The study discussed the link analysis for the Ka band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transmission schemes based on the DVB-S2 standar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rain fading to the link budget, we estimated the rain attenuation from the measured rainfall intensity in Korea. We analyzed the link budget for the Ka band transponders of Koreasat-3, and DirecTV BSS-99W, and showed the possible link availability with the DVB-S2 transmission schemes for each transponder. Based on the link analysis of the available satellites with the Ka band transponders, we suggested the required EIRP for the satellite which will be employed for the Ka band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