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venile stage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1초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A. Adams)의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the Japanese geoduck, Panopea japonica reared in the laboratory)

  • 남명모;이주;김미경;김재원;김영대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3-309
    • /
    • 2014
  • 코끼리조개의 대량 인공종묘생산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정란, 유생 및 치패의 발달을 조사하였다. 생식체는 잘 성숙한 어미에서 추출하여 희석 정자 용액으로 수정하였으며, 발생유생은 수온 $19{\pm}1^{\circ}C$로 유지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평균 $81.6{\mu}m$ 이었으며, 수정 후 14시간 만에 담륜자 유생이 되어 부상하고, 27시간 만에 D상 유생 (각장 $116{\mu}m$)으로 발달하고, 20일 후에는 각장 $311.2{\mu}m$로 성장하여 바닥에 안착하였다. $18.5-21.5^{\circ}C$에서 정상적으로 부화 및 유생사육이 가능하였으며, 채묘기질은 모래가 우수하였으나 캐시미론도 양호하였다. 부유유생이 착저한 후 108일간 사육한 결과 각장 13 mm, 전중량 0.4 g으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각장 $117.5{\mu}m$ 이었으며, 자연해수로 연중 실내육성이 가능하였다.

붉바리(Epinephelus akaara) 기형 발생 치어의 형태형성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orphogenic Protein Genes in Juvenile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with Deformity)

  • 유진호;문성희;오현지;백혜자;이영돈;이치훈;권준영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8-43
    • /
    • 2019
  • 붉바리(Epinephelus akaara) 종자생산 시 기형 발생에 의한 손실이 크지만 기형어에 대한 생물학적 정보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부화 후 96일 붉바리 치어를 정상 그룹과 두 유형의 기형 그룹(머리, 턱)으로 나누어 형태형성과 연관된 4개의 주요 유전자(insulin like growth factor 1: IGF-1, bone morphogenic protein 4: BMP4,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γ: PPARγ, matrix Gla protein: MGP) 발현을 조사하였다. 각 그룹에서 뇌, 간 및 근육을 잘라낸 다음 total RNA를 추출한 후 real-time PCR을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차이를 비교하였다(n=20). 부화 후 96일 붉바리 치어에서 IGF-1과 BMP4 유전자는 기형 그룹의 뇌와 간에서 정상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발현 차이를 나타냈다(p<0.05). 반면에 PPARγ와 MGP 유전자는 어떤 조직에서도 정상 그룹과 기형 그룹 사이에 유의한 발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GF-1과 BMP4 유전자는 치어 단계의 붉바리 기형 상태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A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s of Wild Korean Lespedeza (Lespedeza stipulacea Maxim.)

  • Lee, Hyung Suk;Lee, In-Du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3호
    • /
    • pp.396-400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ry matter (DM) yield, quality and utilization of nutrients in Korean lespedeza (Lespedeza stipulacea Maxim.) swards as a roughage source. DM yield in various stages, chemical composition, and DM digestibility were observed, and DM intake, digestibility and utilization of nitrogen and energy by Korean native goat were determined. Experimental diets include three treatments: mixture hay (MH) 100%, MH (80%)+wild Korean lespedeza hay (LH) 20% and MH (60%)+LH (40%). As growth stage advanced, the DM yield of Korean lespedeza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p<0.05). The mean DM yield of all growing stages was observed as 7,336 kg/ha. Crude protein (CP) content of Korean lespedeza tended to decrease, but fibrous contents tended to increase when the growth stage advanced. The tannin content of Korean lespedeza was the highest at the bud stage (64.7 mg/g). However, i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growth stage advanced, and thus it was the lowest at the ripe seed stage (26.8 mg/g) (p<0.05). With increasing level of LH, voluntary DM intake by Korean native goats slightly increased, but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diets. The digestibility of DM, cellular constituents and NDF was slightly higher in LH containing diets than that of MH 100% diet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pparently digested N% among all diets, but retained N% and retained N% of the absorbed were higher in MH (60%)+LH (40%) than those of other diets (p<0.05). A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energy was not detected. In conclusion, Juvenile LH improved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presumably due to its high CP content and low fibrous compound. Especially, tannin in LH did not affect in DM intake, but increased the nitrogen utilization of Korean native goats. Accordingly, it could be suggested that Korean lespedeza has a potential to be provided as a roughage source for Korean native goats.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의 산란생태,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 (Embryonic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the Hemitripterus villosus)

  • 박애전;한경호;이성훈;김희진;김승용;임인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4-41
    • /
    • 2014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spawning ecology and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Hemitripterus villosus. The natural spawning ground consisted of bedrock and pebbles was the intertidal coast at Taean (Chungnam) and its depth was about 5~10 m. Spawning period was mainly from the end of October to Decem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6.0{\sim}15.8^{\circ}C$ and mean 32.0‰,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body shape and color between female and male of Hemitripterus villosus, however its reproductive organs showed clear differences. The male had tube shaped genital papilla, which was connected with testis, and the female had seminal recepacle, which was the lower part of oviduct connected with ovary. Genital papilla of male came out of its body at spawning period and then male copulated. After copulation, female stored the sperm in its seminal recepacle and fertilized when it spawned. Fertilized eggs were reached 8 cells stage after fertilization at rearing water temperature $8.2{\sim}14.9^{\circ}C$. At 29 hours after fertilization, it reached morula stage, and at 146 hours after fertilization, its embryo was clearly formated. Hatching was begun from 1,488 hours (62 days) after fertilization with $8.2{\sim}14.9^{\circ}C$ water temperature.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12.99~15.46mm(mean $14.16{\pm}0.65$ mm) in TL (Total Length), and its mouth and anus were open. At 7 days after hatching, its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myotomes were 15+25=40, measuring 15.23~15.54mm(mean $15.39{\pm}0.22$ mm, n=5) in TL. At 75~80 days after hatching, it was measured mean $30.06{\pm}0.76$ mm in TL, and it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강담돔 (Oplegnathus punctatus)의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y of Larvae and Juveniles of Spotted Knifejaw, Oplegnathus punctatus)

  • 박재민;이성훈;윤성민;나해춘;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71-77
    • /
    • 2015
  • 강담돔의 수정난을 부화시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과 자치어 발달과정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구형의 무색 투명한 분리 부성란이었고, 1개의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난의 크기는 1.01~1.15 mm 범위였다 (평균 $1.08{\pm}0.10mm$, n=20). 사육수온은 $22.5{\sim}24.5^{\circ}C$ (평균 $23.0{\pm}0.05^{\circ}C$), 염분농도는 33.5~34.5‰ (평균 $34.0{\pm}0.05$‰)의 범위를 유지시켜 주었다. 난 발생 과정은 수정 25분 후에 난막과 난황이 분리되면서 배반이 형성되었다. 수정 후 55분에는 난할이 2개로 분리되어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20시간 50분에는 배체가 머리 부분부터 난막을 뚫고 나오면서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0 mm (평균 $2.15{\pm}0.07mm$, n=10)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과 유구는 부화 2일 후 흡수되었다. 부화 후 12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4.43~4.80 mm(평균 $4.62{\pm}0.26mm$)로 꼬리지느러미는 부채꼴 모양으로 발달하였고, 흑색소포는 소화관 위쪽으로 침착하였다.

큰미끈망둑(Luciogobius grand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Embryonic and Larva Development of Nake-Headed Goby, Luciogobius grandis)

  • 윤성민;한경호;이성훈;임후순;황재호;연인호;김이청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2호
    • /
    • pp.133-139
    • /
    • 2008
  • 이 연구는 2006년 $2{\sim}5$월에 전라남도 여수시 오천동 주변 해역의 하천과 연계된 기수구역에서 간조시 돌 밑부분에 부착된 큰미끈망둑의 난을 채집하여 전남대학교 자원생물실험실로 운반하여 실내사육하면서 난발생 과정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관찰하였다. 큰미끈망둑의 수정란은 난막이 타원형으로 부풀어 장경이 $2.06{\pm}0.23\;mm$ (n=20), 단경이 $0.74{\pm}0.04\;mm$ (n=20)로 투명하였고,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돌에 부착하는 부착란으로 다수의 소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부화에 소요된 시간은 수온 $18.4{\sim}21.0^{\circ}C$(평균 $19.4^{\circ}C$)일 때 상실기로부터 120시간 54분이었으며, 그때의 근절수는 $34{\sim}36$개로 되었다. 난은 발생 후반에 배체의 머리 부분이 난황의 선단부를 향하는 정상란과 반대로 난막의 기부, 즉 부착사쪽을 향하는 역자란이 출현하였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30{\pm}0.07\;mm$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나뭇가지 모양의 흑색 소포는 부화 직전보다 증가하였으며, 근절수는 $34{\sim}36$개 였다. 부화 후 9일째 자어의 전장은 $5.06{\pm}0.18\;mm$ (n=30)로 눈의 앞쪽에서 부레의 앞까지 직선상으로 흑색 소포가 더욱 넓게 발달하였으며, 난황이 완전히 흡수되어 후기 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9일째 전장은 $11.46{\pm}0.12\;mm$ (n=30)로 모든 지느러미 수가 정수에 달하고, 근절수는 $40{\sim}41$개로 증가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 PDF

북한강 지류 상천천에 서식하는 대륙종개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s, Larvae and Juveniles of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nuda (Pisces: Nemacheilidae) in the Sang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Bukhangang River, Korea)

  • 곽영호;송미영;송하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3
    • /
    • 2022
  • 대륙종개의 난발생 및 초기생활사 연구를 위해 2020년 4월 26일 북한강 지류인 상천천에서 대륙종개를 채집하였다. 성숙한 암컷과 수컷의 복강에 HCG 10 IU/g를 주사하였고 15시간 후에 건식법으로 인공수정하였다. 대륙종개 암컷 전장 70.64~79.24 mm (n=3)의 포란수는 1,308±293개였고, 성숙란은 황회색의 침성점착란이었다. 수정란의 난경은 1.13±0.01 mm (n=10)였고 수정 후 104시간 만에 부화하였다. 난발생 시 수온 15℃ 그룹의 부화율은 평균 80.1±1.2%로 나타났고, 수온 20℃ 그룹은 61.5±6.8%로 나타나 발생 수온은 15℃에서 적합하였다 (p<0.05).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3.12±0.06 mm (n=10)였으며 몸은 투명하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4.89±0.09 mm (n=10)로 입과 항문이 열리면서 먹이활동을 시작하였고 난황이 모두 흡수되면서 전기자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4일에는 전장 8.66±0.14 mm (n=10)로 척색말단이 위로 휘어지기 시작해 중기자어기로 이행하였고 부화 후 21일에는 전장 10.98±0.40 mm (n=10)로 척색말단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26일에는 전장 13.47±0.37 mm (n=10)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초기 발달 동안 성장 및 생존에 있어 먹이와 염분의 효과 (Effect of Food and Salinity on Larval Growth and Survival of the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강희웅;강덕영;조기채;이진호;박광재;김종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황복, T. obscurus의 초기발달동안 자치어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종류와 염분별 영향을 조사하였다. 먹이별 실험에서는 Artemia공급 시기인 부화 25일의 자어를 이용해 Artemia (대조구)와 5가지의 먹이 (실지렁이, 물벼룩, 바지락육질, 배합사료, 곤쟁이)를 30일간 혼합 공급하여 실험구별 성장과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일령 15일 자어(전장 5.8$\pm$0.4 mm: Stage I), 일령 36일 치어(전장 12.0$\pm$0.2 mm: Stage II) 및 일령 70일 치어(전장 44.5$\pm$0.7mm: Stage III)를 대상으로 4개의 염분 농도구(0, 10, 20 및 30 psu)를 설정하여 성장과 생존을 비교분석하였다. 먹이실험 결과, 성장도는 배합사료, 실지렁이, 물벼룩 공급구들이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생존율은 물벼룩 공급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빠른 성장을 보였던 배합사료와 실지렁이 혼합 공급구는 오히려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염분별 실험에서는 Stage I 경우 성장에 있어 염분별 뚜렷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으나, 생존율은 10∼20 psu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Stage II의 경우 성장과 생존 모두 10∼20 psu에서 양호하였으며, Stage III에서는 0∼30 psu의 모든 염분 조건에서 정상적인 성장과 생존을 나타내었다.

Nematicidal Activity of Some Fluorescent Pseudomonads on Cyst Forming Nematode, Heterodera cajani and Growth of Sesamum indicum var. RT1

  • Kumar, Tarun;Kang, Sun-Chul;Maheshwari, Dinesh Kumar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161-166
    • /
    • 2005
  • Among 24 isolates of fluorescent Pseudomonads, 5 isolates named as LPT1, LPT2, LPT3, LPT4 and LPT5 were screened in vitro for their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cyst forming nematode, Heterodera cajani causing patchiness, poor and stunting growth besides discoloration in Sesamum indicum. Second stage juveniles of H. cajani hatched from egg masses were collected from roots of host plant and subjected to fresh and heat-treated culture filtrate of isolates for 24 h. Mortality of H. cajani was recorded on the basis of parameters used for test organism bioassay. Among these isolates, Pseudomonas aeruginosa LPT5 caused maximum mortality towards second stage juvenile of H. cajani in vitro. Five isolates were used as seed coating for the management of cyst forming nematode H. cajani on sesame in green house condition. The strains LPT5 was better than the other strains in reducing the population of H. cajani both in vitro and in vivo. The reduction in cyst and juveniles population was found to be 49 and 60%, respectively when seeds were coated with strain LPT5. Among other strains, LPT4 was also found to inhibit the cyst and juveniles population 12 and 36% respectively. Increases in early vegetative plant growth parameters recorded in both in vitro and in vivo further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indigenous bacteria in comparison to introduced strain.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Acanthopagrus schlegeli

  • Kang, Chung-Bae;Lee, Sung-Hoon;Hwang, Jae-Ho;Han, Ky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4호
    • /
    • pp.311-319
    • /
    • 2014
  • Newly hatched black porgy larvae (Acanthopagrus schlegeli) swam to the surface, with the mouth and anus still closed and were 1.90-2.11 mm (mean, 2.0 mm) in total length (TL). The larvae were 2.71-2.94 mm TL (mean, 2.82 mm) on day 2 after hatching. At this time, about two-thirds of the yolk was absorbed, the bladder and intestines had formed, and the mouth and anus were open. Total length was 4.32-4.66 mm (mean, 4.45 mm) at the post-larval stage on days 5-6 after hatching, and the yolk and oil globule were almost absorbed. The end of the notochord began to flex, and 6-8 caudal fin rays were visible. The larvae were 15.37-16.1 mm TL (mean, 15.83 mm) at the juvenile stage on days 30-32 after hatching, and the number of rays in all fins was completely reveal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