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venile growth

검색결과 571건 처리시간 0.032초

넙치 치어의 품질향상된 배합사료 개발을 위한 효과시험 (Evaluation of the improving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강웅;허샛별;김경덕;손맹현;김신권;박민우;배승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562-56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f improving extruded pellet (EP) for growth of juvenile flounder by comparing with raw fish-based moist pellet (MP) diet. Two replicate groups of 80 fish per each tank (initial weight of $36.0{\pm}1.2 g$) were fed one of the three EPs (EP1, EP2 and CEP) and (MP for 16 weeks.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experimental diets (P>0.05). Weight gain of fish fed the M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EP1 & EP2 (P>0.05), but that of fish fed CE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fish fed MP (P<0.05). Specific growth rate of fish fed the CE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fish fed EP1, EP2 and MP (P<0.05).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EP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CEP and MP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fish fed EP2 (P>0.05).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in whole bod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P<0.05). Therefore,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EP1 & EP2 diets could be developed to replace MP diet for flounder without advers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arlic powder and garlic extract in the diets on growth, serum chemistry and immune response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Cho, Sung-Hwoan;Lee, Sang-Min;Kwon, Mun-Gyeong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9-420
    • /
    • 2010
  • Effects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garlic powder and garlic extract in the diets on growth, serum chemistry and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were determined. Thirty-five juvenile fish averaging 5.1 g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21 of 180 L flow-through tanks. Seven experimental diet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garlic powder (GP) and garlic extract (GE) were prepared in triplicate: GP-0 without garlic supplementation, GP-0.5, GP-1, GP-2, GP-3 and GP-5 diets containing garlic powder at the concentrations of 0.5, 1, 2, 3 and 5%, respectively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finally, GE-0.4 diet containing 0.4% garlic extract were prepared. At the end of the 8-week feeding trial, serum chemistry of fish was measured. In addition, twenty fish from each tank were artificially infected with E. tarda for the following 96 h to monitor cumulative mortality. Weight gain of fish fed GP-0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GP-1, GP-2, GP-3 and GP-5 diets. No difference in serum criteria (total protein, glucose,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of olive flounder was found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except for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Lysozyme activity of fish fed GP-0, GP-1, GP-3 and GE-0.4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GP-5 diet. The highest cumulative mortality was 93.3% in fish fed GP-0 diet at 96 h after E. tarda infection, followed by GP-3, GP-1, GP-5, GP-2, GP-0.5 and GE-0.4 diets.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dietary inclusion of garlic powder and garlic extract has no distinctive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growth, serum chemistry and immune response of olive flounder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s, therefore, its application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사료 내 어유(Fish oil) 대체원으로써의 diacylglycerol 이용성 평가 (Evaluation of Diacylglycerol as an Alternative to Dietary Fish Oil in Diets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오대한;김민기;윤관식;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66-373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of diacylglycerol (DAG) as a new dietary ingredient replacing fish oil in feed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ish oil based control diet (CON) was prepared and four other diets were formulated by replacing 50% of the fish oil in CON with one of five DAG: DAGL (1,3-lauryl glycerol) or DAGP (1,3-palmityl glycerol) in low or high concentrations (designated as DAGLL, DAGLH, DAGPL and DAGPH). Another diet was prepared replacing 100% of the fish oil in CON with a 1:1 mixture (DAGLP) of DAGL and DAGP. Olive flounder (13.4 g) were fed to apparent satiation, twice a day, for 12 weeks. Following the feeding tria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rowth performance, blood parameters and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between CON and any of the DAG groups. Poly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lusion of DAGs. Thus, DAGL or DAGP could be used to replace up to 50% of fish oil in fish feed without reducing growth performance, health or innate immunity. The replacement of up to 100% of dietary fish oil in olive flounder feed by DAGLP is also feasible.

Synergistic effects of dietary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Sungchul C. Bai;Park, Gunjun;Kim, Joon-Hyung;Cui Hua;Kim, Youngchul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68-69
    • /
    • 2003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BAISM) as a feed additive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ight experimental diets supplemented with $\beta$-1,3 glucan and feed stimulants at 0%,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beta$-1,3 glucan 0.10% + Baism 1.90%, $\beta$-1,3 glucan 0.15% + Baism 1.3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 of diets as a dry-matter(DM) basis were prepared.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ing 9.2 $\pm$ 0.1g (Mean $\pm$ SD) were randomly distributed in each aquarium as a group of 15 fish and fed one of eight experimental diets for seven weeks. After the feeding trial,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beta$-1,3 glucan 0.10% + Baism 1.90% diets had a higher weight gain (WG), feed efficiency(FE), specific growth rate(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PER) than did fish fed 0%,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fish fed $\beta$-1,3 glucan 0.05% + Baism 0.45%, $\beta$-1,3 glucan 0.05% + Baism 0.95%, $\beta$-1,3 glucan 0.15% + Baism 2.85% and $\beta$-1,3 glucan 0.30% + Baism 2.70%(P>0.05). and $\beta$-1,3 glucan 0.10% + Baism 0.90% diets had a higher peak value of CL(Chemiluminescence) and lysozyme activity, than did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dietary sipplementation of $\beta$-1, 3 glucan and Baism affected growth, feed efficiency, specific growth rate, protein efficiency ratio, Peak value of CL and Lysozyme activity, and the optimum dietary supplementation level of $\beta$-1, 3 glucan and Baism as a feed additive could be approximately $\beta$-1, 3 glucan 0.10% + Baism 0.90% of diet in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PDF

겨울철에 부상사료 공급횟수가 넙치 치어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Frequency of Extruded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During the Winter Season)

  • 김근업;장현석;서주영;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1-36
    • /
    • 2005
  • 본 연구는 겨울철 넙치 사육시 부상 배합사료의 적정 공급횟수와 공급률을 조사하기 위해 평균 체중 45.0 g의 넙치를 각 수조마다 20마리씩 3반복으로 수용하여 60일간 사육하였다. 사료 공급횟수는 1일 3회, 1일 2회, 1일 1회 및 2일 1회로 설정하였으며 사료 공급량은 만복 및 만복의 $80\%$로 설정하였다. 생존율은 모든 실험구에서 $96\%$이상이었으며, 증중량은 1일 2회 만복 공급구가 1일 3회 공급구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가장 높았고. 2일 1회 제한 공급구가 가장 낮은 결과를 보였다. (P<0.05). 그리고 동일한 공급횟수에서 만복 공급구가 제한 공급구보다 높은 성장을 보였다. 일일사료섭취율은 만복 공급구와 제한 공급구 모두 공급횟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1일 2회 공급구 이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료효율과 단백질효율은 1일 3회 제한 공급구가 가장 높았고 2일 1회 제한 공급구가 낮은 값을 보였으며(P<0.05), 나머지 실험구들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육 실험 종료시 전어체의 수분, 단백질, 지질 및 회분함량은 모든 실험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평균체중 45-53 g의 넙치치어를 겨울철에 사육할 때는 부상배합사료를 1일 2회 만복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라 판단된다.

조피볼락 습사료에 대한 건조사료의 사육효과 (Evaluation of Dry Pellet on Growth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by Comparing with Moist Pellet and Raw Fish-Based Moist Pellet)

  • 이상민;전임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47-254
    • /
    • 1996
  • 조피볼락 배합 사료로써 dry pellet (DP)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회에 걸쳐 사육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실험에 사용된 사료 조성은 단백질원으로 북양어분이 $56\%$ 첨가된 사료(실험1)와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북양어분을 $38\%$로 줄이는 대신, 대두박과 콘글루텐 밀을 $25\%$ 첨가한 사료(실험 2)를 설계하여 각각 DP 및 moist pellet (MP) 형태로 제조하였고, 양어가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생사료(법동 메가리)와 시판 분말 사료를 1 : 1로 혼합한 생사료 MP(raw h-based MP : RMP)를 제조하였다. 4.7 g 전후의 치어를 11주간 3반복으로 사육한 실험 1의 결과, 최종적으로 평균체중 및 일일 증체율이 DP, MP 및 RMP 사료간에서 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전어체의 단백질, 지질 및 수분 함량도 사료간에 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효율은 세 실험구 중에서 RMP구가 가장 높았고(P<0.05), 사료 조성비가 같은 DP와 MP사이에서는 유의차가 없었다. 11 g 전후의 조피볼락을 8주간 사육한 실험 2에서는 성장 및 일일증체율이 RMP 실험구가 DP 실험구보다 좋았지만, MP와 RMP 실험구간에서는 유의한 성장차이가 없었다(P>0.05), 사료효율은 DP구가 가장 낮고 RMP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5). 이러한 차이는 사료 단백원 중 식물성 대체 단백원(대두박, 콘글루텐 밀)이 차지하는 비율과 RMP구의 단백질 함량이 $57\%$로 타 실험구보다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1과 2의 결과들로부터 실험 배합 사료의 물성은 조피볼락의 성장이나 사료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보다 적합한 실용배합 사료가 개발되면, DP도 조피볼락의 배합사료로써 손색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PDF

저수온기 넙치 치어에 있어서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사료 내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and Astaxanthin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Low Temperature Season)

  • 김성삼;;이경준;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3
    • /
    • 2006
  • 본 실험은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첨가가 겨울철 저수온기 넙치 치어의 성장과 조직 내 항산화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180마리의 치어기 넙치(초기 평균무게, $27.8{\pm}0.3g$)를 3반복으로 12개의 수조에 배치하였다. 4가지 실험사료는 기초사료를 이용한 대조구와 기초사료에 아스타잔틴을 0.5% 첨가한 AST사료, 스피룰리나를 0.5% 첨가한 SPI사료, 그리고 아스타잔틴과 스피룰리나를 각각 0.5% 씩 혼합하여 첨가한 AST+SPI사료로 제조되었다. 6주간의 사육실험 후,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을 첨가한 실험구의 성장률,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전환효율, 혈액분석 및 전어체분석 결과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활성도를 위한 실험사료와 간에서의 DPPH 저해활성 분석결과에서도 모든 실험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분석결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스피룰리나 첨 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DPPH 저해활성 경향을 보였으며, 생존율은 아스타잔틴 첨 가구에서 84.4%, 대조구에서 60.0%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0.5%첨가는 넙치치어의 성장과 사료효율, 혈액성상, 체성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구리 노출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만성독성 (Chronic Toxicity of the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Exposed to Copper)

  • 강주찬;김재원;김성길;황운기
    • 환경생물
    • /
    • 제21권1호
    • /
    • pp.36-41
    • /
    • 2003
  • 연안지역의 환경오염 및 양식용수의 이용과정에 파생될 수 있는 구리의 오염에 따른 넙치의 생존, 대사율, 사료효율 및 성장율에 미치는 구리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4개의 아치사구리 농도(50, 80, 180, 320 $\mu\textrm{g}$ L$^{-1}$)에서 6주동안 실험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넙치는 대조구에서는 실험종료시 까지 사망개체가 전혀 나타나지 않아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구리 노출농도 180 $\mu\textrm{g}$ L$^{-1}$에서는 노출 4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노출 6주에는 84.0%까지 감소하였다. 또한 구리 노출농도 320 $\mu\textrm{g}$L$^{-1}$에서 노출 2주부터 감소하여 노출 6주에 82.0%로 높은 두 개의 농도구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산소 소비량은 노출농도 180, 320 $\mu\textrm{g}$ L$^{-1}$에서 대조구보다 각각 27.0, 42.0%가 저하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사료효율은 대조구가 43.6%로서 가장 높은 효율을 나타냈고, 노출농도가 320 $\mu\textrm{g}$ L$^{-1}$에서는 30.0%로서 가장 낮은 성장 상태를 보였으며, 노출농도 80 $\mu\textrm{g}$ L$^{-1}$이상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성장율은 대조구에서 평균 16.8%로 나타나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노출농도 320 $\mu\textrm{g}$ L$^{-1}$에서는 5.4%로서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성장률의 전체적인 양상은 노출농도가 증가할수록 성장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사료효율과 마찬가지로 노출농도 80 $\mu\textrm{g}$ L$^{-1}$ 이상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냈다.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 치어의 배합사료 적정 공급률과 공급횟수 (Optimum Feeding Rate and Frequency in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Fed a Commercial Diet)

  • 이진혁;김강웅;이봉주;박건현;이준호;윤현호;배승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3-760
    • /
    • 2013
  • Two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eeding rate and frequency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reared at $15.0{\pm}0.3^{\circ}C$. In the first trial, three replicate fish groups averaging $2.07{\pm}0.03g$ were fed a commercial diet with one of seven different daily feeding rates: 1.00%, 2.00%, 2.50%, 2.75%, 3.00%, 3.25%, and satiation (3.34%) based on body weight (BW). After four weeks of feeding, fish fed the 3% die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eight gain (WG) and feed efficiency (FE) than fish that received the other feeding rates. In the second trial, the optimum feeding frequency was evaluated with three replicate fish groups averaging $2.04{\pm}0.03g$. Fish were fed a commercial diet at 2.87% BW with six different daily feeding frequencies: 2, 3, 4, 5, 7, or 9 meals. After four weeks of feeding, WG, specific growth rate, FE, and protein efficiency rate in fish fed 3 meals $d^{-1}$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7 or 9 meals $d^{-1}$. In both feeding trials,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entire body changed depending on the feeding rate or frequency. A broken-lin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weight gain suggested that the optimum daily feeding rate and frequency for juvenile Korean rockfish at $15^{\circ}C$ was 2.9% BW $d^{-1}$ and 2-3 meals $d^{-1}$, respectively.

배합사료 급여 횟수가 조피볼락의 성장, 사료효율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Frequency on Grwoth, Feed Efficiency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김성희;전임기;김선명;장영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85-394
    • /
    • 1996
  • 배합사료의 적정 급여 횟수를 조사하기 위해 사료조성이 다른 두 종류의 사료, 즉 어분이 $58\%$ 함유된 대조사료(D-1)와 어분을 육분, 콘글루텐밀, 대두박 및 혈분으로 $30\%$ 대체한 실험사료 (D-2)를 설계하고 d교 pellet 형태로 제조하여 각각 사료급여 횟수를 달리하여 사육실험하였다. 사료급여 횟수는 1일 2회(09 : 30, 16 : 00), 1일 오전 1회(09 : 30), 1일 오후 1회(16 : 00) 및 2일 1회(09 : 30)로 구분하였고, 절식 실험구도 설정하였다. 평균체중 25 g의 조피볼락 치어를 사료별, 사료급여 횟수별로 각각 2반복으로 배치된 실험수조(100 ${\ell}$ FRP)에 30마리씩 수용하여 15주간 사육실험한 결과, 성장율, 사료효율, 단백질효율, 어체성분 및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1일 1회 또는 2일 1회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