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ice leakag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Pancreatic Compression during Lymph Node Dissection in Laparoscopic Gastrectomy: Possible Cause of Pancreatic Leakage

  • Ida, Satoshi;Hiki, Naoki;Ishizawa, Takeaki;Kuriki, Yugo;Kamiya, Mako;Urano, Yasuteru;Nakamura, Takuro;Tsuda, Yasuo;Kano, Yosuke;Kumagai, Koshi;Nunobe, Souya;Ohashi, Manabu;Sano, Takesh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8권2호
    • /
    • pp.134-141
    • /
    • 2018
  • Purpose: Postoperative pancreatic fistula is a serious and fatal complication of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Blunt trauma to the parenchyma of the pancreas can result from an assistant's forceps compressing and retracting the pancreas, which in turn may result in pancreatic juice leakage. However, no published studies have focused on blunt trauma to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surgery. Our aim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ression of the pancreas and pancreatic juice leakage in a swin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ree female pig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pancreas was gently compressed dorsally for 15 minutes laparoscopically with gauze grasped with forceps. Pancreatic juice leakage was visualized by fluorescence imaging after topical administration of chymotrypsin-activatable fluorophore in real time. Amylase concentrations in ascites collected at specified times was measured. In addition, pancreatic tissue was fixed with formalin, and the histology of the compressed sites was evaluated. Results: Fluorescence imaging enabled visualization of pancreatic juice leaking into ascites around the pancreas. Median concentrations of pancreatic amylase in ascites increased from 46 U/L preoperatively to 12,509 U/L 4 hours after compression.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issues obtained 4 hours after compression revealed necrotic pancreatic acinar cells extending from the surface to deep within the pancrea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Conclusions: Pancreatic compression by the assistant's forceps can contribute to pancreatic juice leakage. These findings will help to improve the procedure for lymph node dissection around the pancreas during laparoscopic gastrectomy.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Biliary Leakage)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Both Decubitus Position)의 유용성 (Efficient of Hepatobiliary Scintigraphy both Decubitus Position in Biliary Leakage Patients)

  • 반영각;노동욱;강천구;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2권3호
    • /
    • pp.229-234
    • /
    • 2008
  • 간담도 스캔은 방사성의약품을 정맥주사 후 간세포에 섭취되어 담즙과 함께 담낭과 담도를 통하여 십이지장으로 배출되는 양상을 경시적으로 검사한다. 따라서 간세포와 담낭의 기능 정도 및 담도계의 폐쇄 여부를 알 수 있고 담즙의 누출 유무, 위치 및 정도를 확인하는데 가장 예민한 검사 방법이다. 하지만 담즙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의 간담도 스캔은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된 담즙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간담도 스캔 검사 시 양측와위 자세로 검사를 시행하여 누출된 담즙과 장으로 배출 된 방사능을 분리 구분하여 더욱 명확한 담즙 누출의 진단을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총 31명의 환자 중 남자는 14명, 여자는 17명이고, 평균나이는 $51.1{\pm}14.4$세였다. 정상위 자세에서 1분씩 60분간 경시적 영상을 획득하고, 지연검사는 2시간, 4시간, 24시간 간격의 정상위 자세와 좌우 측와위 자세로 각각 5분 동안 영상을 획득하였다. 단, 측와위 자세의 영상 획득 시 약 5분간 측와위 자세를 유지한 후에 영상을 획득 하였다. 간담도 스캔 시 담즙 누출 환자에서의 양측와위 자세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정상위 검사에서 누출이 바로 확인되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와 관심영역을 비교하여 누출 여부(크기, 위치, 농도)의 감별 편리성의 양상을 비교하였고, 의심되는 질환이 담즙 누출이지만 경시적 영상에서 누출부위를 확실히 구분할 수 없는 환자의 측와위 자세를 통해 누출부위를 우선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환자가 어느 정도인지를 검사대비 감별확률로 비교하였다. 31명의 담즙 누출 환자 중 23명의 환자는 기능영상 혹은 지연영상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하였고, 8명의 환자는 측와위에서 담즙 누출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영상에서 해부학적으로 누출 위치를 찾는 것은 정상위가 더욱 용이하였으나, 양측와 위 자세 변동으로 인한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담즙의 누출이 더욱 확실히 구분되었다. 또한 관심영역과 배후방사능의 섭취계수(Counts/Pixel)를 구하여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를 평가결과, 평균은 정상위 5.02, 좌측와위 2.08, 우측와위 2.68이었다. 관심영역의 화소 수를 분석하여 크기를 비교할 경우, 좌측와위는 정상위에 비해 평균 1.91배 컸고, 우측와위는 평균 1.05배 컸다. 결과적으로 31명의 환자 중 38.5% 정도만이 측와위가 의미가 있었지만, 위치 변동으로 인해 장내 담즙의 이동으로 누출의 위치는 더욱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그 38.5%의 환자에서 정상위와 양측와위에서의 관심영역/배후방사능비, 관심영역의 크기를 비교하면 측와위에서 관심영역의 넓이는 좌측와위 19%, 우측와위 5% 넓어지고, 농도는 좌측와위 약 60%, 우측와위 약 50% 옅어졌으며, 이는 복강 내로 관심영역의 담즙누출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간담도 검사시 담즙 누출을 의심하는 환자에게 양측와위 자세를 추가하여 검사를 한다면 담즙 누출을 정확하게 진단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Structural Changes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 Bang, Woo-Suk;Swanson, Barry 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102-1105
    • /
    • 2008
  • The structural change and leakage of cellular substanc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ttribut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treatment were observed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S. cerevisiae (ATCC16664) was inoculated in apple juice for 10 min at $23^{\circ}C$ and the apple juice treated at 138, 207, 276, 345, and 414 MPa pressure for 30 sec at $23^{\circ}C$. Increased of roughness, elongation, wrinkling, and pores on yeast cell surfaces, the yeast cell walls were severely damaged by HHP treatment from 276 to 414 MPa. Inactivation of S. cerevisiae by HHP is dependent on structural changes on the cell walls observed with SEM.

Effect of postharvest condi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berries harvested from various mulberry cultivar Morus alba

  • Kim, Hyun-Bok;Kwon, O-Chul;Kweon, HaeYong;Jo, You-Young;Ju, Wan-Teak;Lee, Ji Hae;Kim, Yong-S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0권2호
    • /
    • pp.33-40
    • /
    • 2020
  • Recently mulberry has been commercialized but it loses its marketability rapidly after harvest.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mulberry were examined at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 after harvest using the typical Korean mulberry cultivars. Postharvest spoilage fungi on the various mulberry cultivars, Cheongilppong, Daeshim, and Gwasang No. 2 was observed 2, 2, and 1 d, respectively, after harvest at 28℃. However, at 4℃, the day was 8, 7, and 4 d, respectively. At 28℃ storage condition, the weight loss behavior of mulberry did not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m. However, at 4℃ storage condition, mulberry Cheongilppong loses its weight rapidly compared to Daeshim and Gwasang No. 2. Sugar content of mulberry stored at 4℃ was nearly constant, but stored at 28℃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acidity of mulberry slightly decreased with storage time and then increased. Juice leakage of frozen mulberry leaked abruptly within 6 h from the fruit body and then flattened at 25℃. The results of our study, the postharvest characteristics of mulberry were affected by mulberry cultivar and need to further study to increase the shelf life.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and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 Kim, Chan Gy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4호
    • /
    • pp.199-206
    • /
    • 2013
  • Since the first transgastric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was described,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ed procedures have been investigated. Transgastric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for periotoneoscopy, cholecystectomy, and appendectomy all seem viable in humans, but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their benefits and roles in clinical practice. The submucosal tunneling method enhances the safety of peritoneal access and gastric closure and minimizes the risk of intraperitoneal leakage of gastric air and juice. Submucosal tunneling involves submucosal tumor resection and peroral endoscopic myotomy. Peroral endoscopic myotomy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achalasia, and the most promising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procedure. Endoscopic full-thickness resection is a rapidly developing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procedure for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and can be performed with a hybrid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technique (combining a laparoscopic approach) to overcome some limitations of pure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Studies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role of endoscopic full-thickness resection are anticipated. In this article, I review the procedures of 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 associated with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간엽유착과 담낭염을 동반한 선천성 복막심낭 횡격막 허니아의 효과적 수술처치 (Surgical Correction of Congenital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with Adhered Hepatic Lobes and Cholecystitis)

  • 남현숙;곽호현;이세호;박경미;박인철;한정희;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7-92
    • /
    • 2012
  • A six months old, male Shih Tzu dog was referred to the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r lethargy, respiratory embarrassment. Survey radiography revealed enlarged cardiac silhouette due to displacement of gas-filled intestine in the pericardium. Although there were no specific clinical signs, this case was diagnosed as peritoneopericardial diaphragmatic hernia (PPDH) based on the results of positive contrast radiography and thoracic ultrasonograpic findings. In addition, the thickened gall bladder wall observed in ultrasonography, increase of alkaline phosphatase and neutrophils indicated cholecystitis. Two hepatic lobes and gall bladder were severely necrotized and adhere to the diaphragm. Direct reduction of the herniated organs might cause hepatic hemorrhage and bile juice leakage which may induce very poor prognosis. To solve the problems, the adhered organs were dissected with part of diaphragm, and lobectomy with cholecystectomy was performed for prevention of some possible complications including peritonitis. This is case report describing resection of part of diaphragm adhered to herniated organ reduce the risk of possible hepatic hemorrhage during surgical correction of PPDH followed bycholecystectomy and lobectomy.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미생물 세포의 생리특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Microbial Cells Treated by Pulsed Electric Field(PEF))

  • 김경탁;김성수;최희돈;홍희도;하상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68-374
    • /
    • 1999
  • 식품공정에 있어서 비가열 살균 기술로 개발되고 있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pulsed electric fields, PEF)을 과실주스의 품질 향상에 응용하고자 pilot-scale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살균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이것을 과실 주스의 모델로 선정한 사과주스의 대표적 오염지표균 또는 품질을 저하시키는 미생물 중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Rhodotorula minuta에 적용시켜 세포의 생리특성을 조사하였다. 내염성, 자외선 흡수 물질, 세포염색, 세포의 회복도, 세포의 표면구조 등을 조사함으로서 PEF의 미생물 생리특성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E. coli, B. subtilis, R. minuta를 40 kV/cm, 84 pulse, $10{\mu}s$ pulse duration의 PEF 조건에서 처리하여 내염성을 조사한 결과 1 log cycle 정도의 생존율 감소를 나타내었다. PEF 처리에 의한 세포 내부 성분의 유출 여부를 살펴본 자외선 흡수물질 측정결과 260 nm, 280 nm에서 모두 PEF 처리 세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흡수물질 농도를 나타내었다. PEF 처리된 R. minuta를 세포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세포막이 터져서 개열됨에 따라 염색시약이 세포 내, 외부로 고루 염색되어 세포 본래의 형태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PEF 처리후 세포의 회복도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E. coli와 B. subtilis가 약 5시간, R. minuta가 약 8시간 정도 지연된 lag time을 보였다. 그리고 PEF 처리후의 E. coli, B. subtilis, R. minuta는 정상적인 세포와는 달리 세포막이 상당한 손상을 입어 허물어진 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위 전절제술에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의 합병증 및 보완술식 (Complications Following and Supplementary Procedures for a Pancreas-preserving Total Gastrectomy)

  • 이문수;강길호;조규석;김용진;김성용;백무준;김창호;조무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1호
    • /
    • pp.31-37
    • /
    • 2007
  • 목적: 위 전절제술 시 췌장의 합병 절제로 인한 술 후 합병증의 감소를 위해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이 소개되었으나, 이 술식을 적용했던 몇몇 보고에서 여전히 합병증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른 보완술식의 필요성과 해부학적 검토가 요구되어 본원에서 시행한 술식의 결과를 통해 그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위 전절제술 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술식을 시행한 38예(A군)와 췌장 미부의 괴사에 대해 보완 개발된 술식을 시행한 103예(B군)를 각각 두 군으로 구분하여 술 후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A군과 B군 두 군 간 술 후 합병증 비교에서는 췌장루가 각각 4예와 0예, 복강내 농양이 1예와 0예였고 췌미부 괴사는 2예와 0예에서 수술 중 발생되었으며 2예 모두 췌미부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그 외로 경미한 췌즙누출이 각각 2예씩 발생하였으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두 군 간 합병증 발생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1). 결론: 위 전절제술에서 췌장보존 비장적출술의 합병증에 대한 보완을 위해 혈관 겸자를 이용해 임시적으로 비동맥의 혈류를 차단하여 췌 미부의 허혈성 변화를 관찰한 후 비동맥을 절단하는 술식을 적용한 보완된 췌장 보존 비장 적출술은 간편하면서도 술후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