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seon Palace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영조가 복용한 죽(粥)에 대한 고찰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의 영조 기록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Porridge that King Yeongjo Had Been Served - Based on The Daily Record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during King Yeongjo period -)

  • 엄동명;김영현;송지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29
    • /
    • 2017
  • Objectives : Many curative methods are used utilized in order to rid human body of disease when people become sick. Traditional Korean medicine generally prescribe methods that involve acupunture, moxibustion, or herb formulae. However, different types of foods are sometimes used as well. While wondering the history and efficacy of Qi-elevation foods that were consumed by Koreans in the past, the author discovered that a record from the Joseon Dynasty, called The Daily Record of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henceforth the Records, contained information about different types of porridge. Hence, the author looked through the records of porridge as written in the historical material in an attempt to learn the examples and efficacy of medicine-porridge consumed in Joseon's royal palace. Methods : After searching for the keyword, 'porridge', in the Records a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the author extracted the porridges recorded during the Yeongjo period that each has its own special name. Results : Different types of porridge were recorded in the Records as following: arrowroot porridge, bean-leaf porridge, mung bean porridge, bean porridge, malt-rice porridge, oriental arborvitae seed porridge, crucian porridge, lotus seed porridge, adlay porridge, red bean porridge, welsh onion porridge, milk porridge, seashell porridge, ginko nut porridge, black sesame porridge, and mandarin porridge. Each porridge was used for the purpose of alleviating any disease that afflicted the king Yeongjo or his royal family members in relation with the ingredient herb's medicinal function. Conclusions : These porridges consumed by the king Yeongjo and his royal family members were used not only with a purpose of aiding their body's recovery from disease, but with the goal to actively curing them of ailments.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한국의 차문화 (Korean Tea Therapy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이상재;정지훈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28
    • /
    • 2013
  •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 know that korean ancestors confuse tea prescription with green tea. It makes cultural misunderstanding Tea doesn't mean green tea but tea prescription. It is caused that tea prescription has been called tea habitually in Korea. Korean don't drink green tea much. Instead, they have had a habit of drinking decoction of medicinal herbs and they called it tea. This habit has developed into Korean traditional tea culture. In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Ginseng tea was used in the tea ceremony. When the king had poor health or had a disease or was even on the eve of death, a royal physician tried to cure him by tea. They used about 30 kinds of tea according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uch as ginseng tea, astragalus tea, ginger tea. Tea in korea is not a drink but the way to cure a disease. Korean people usually get to drink decoction of other herbs instead of green tea. This became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tea culture. We need to change a definition of Korean tea like this way and study about it much more. With this research paper, korean tea culture should be studied on more various ways and established itself as original and unique tea culture. On the basis of this studies, Korean tea brand can be famous in the world like Chinese tea or Japanese tea.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Emandoo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 오순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1호
    • /
    • pp.1-12
    • /
    • 2016
  • 조선시대 의궤 15책과 고문헌 8권에 수록되어 있는 어만두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1종, 중기에 2종, 후기에 15종으로 모두 18종이 소개되었다. 만두소의 재료로는 꿩, 닭, 소고기, 전복, 해삼 등이 사용되었다. 어만두는 생선살을 얇게 저며 소를 넣고 녹말을 입힌 후 물에 삶은 것으로 현재의 '물만두'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어만두의 크기는 작은 모시조개 크기로 만들었다. 초장에 '고초(苦椒)'의 사용은 "무신 진찬의 궤"(1848년)의 '어만두'를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만두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왕조 옥책의 암석학적 특징과 산지검토 (Li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Consideration on the Jade Investiture Books of Joseon Dynasty in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이찬희;박준형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5호
    • /
    • pp.485-497
    • /
    • 2019
  • 조선왕조의 옥책을 구성하는 암석은 다양한 산출상태를 보이지만, 색을 기준으로 녹색과 백색으로 구분된다. 녹색을 띠는 암석은 방해석과 사문석으로 구성된 옥질 암석이며, 백색의 암석은 결정질 방해석으로 이루어진 대리암질암이다. 옥질암은 녹색조가 강할수록 X-선 회절분석에서 사문석의 강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옥의 품위는 사문석의 함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옥책 252점의 암종분류 결과, 옥질암으로 제작한 옥책은 104권(41.3%), 대리암질암 98권(38.9%), 혼합사용 50권(19.8%)으로 세분되었다. 두 암종을 혼합사용한 옥책에서는 대리암질암이 우세한 것이 47권(18.6%)으로, 전체 옥책의 절반 이상에서 대리암질암이 사용되었다. 대체로 옥책의 품질은 조선의 말기로 갈수록 떨어지며, 대리암질암의 사용 빈도가 증가한다. 또한 글자의 안료나 금속제 부속품 및 직물의 품질도 저하되는 경향이 함께 나타난다. 이는 조선 말기로 갈수록 약화된 왕권, 국력 및 재정 등 사회상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옥책에 사용된 옥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춘천 연옥이나 부여 귀사문석과는 다른 광물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고문헌 자료에는 경기도 화성의 남양 일대에서 채석했다는 기록이 있다. 남양 일대는 편마암 지대에 해당하며, 백운모 편암 사이에 석회암 및 석회규산염암이 협재하고 있다. 이 석회규산염암은 투휘석을 포함하여 변질작용을 통해 사문석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규모로 형성된 옥을 채굴하여 옥책 제작에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제조선시대 궁중혼례용 '진주선(眞珠扇)'의 받침못을 통해 본 감장(嵌裝) 기법 고찰 (A Study of the Bezel Settings of a JinjuseonUsed for Joseon Royal Weddings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Washers)

  • 심명보;김선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1권
    • /
    • pp.17-28
    • /
    • 2019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진주선은 궁중혼례에 사용된 화려한 보석장식 부채로, 현재는 보석 장식이 사라진 상태이다. 유물의 명칭처럼 진주선이 처음 제작 당시에는 진주 등의 보석이 감장되었는지를 유추하기 위해 현재 남아 있는 받침못의 표면관찰과 성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유사한 기법의 유물들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받침못을 따라 둥글게 돌면서 표면을 덮고 있는 회색의 이물질은 주석(Sn)-납(Pb) 합금이며, 못의 꺾인 흔적이 찍혀 있는 점을 보아 납땜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난집이 적용된 유물들에서 보이는 충진재의 흔적을 통해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진주선은 처음 제작 당시에는 원통형의 난집에 주석-납 합금을 채워서 진주나 보석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감장기법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강도외규장각고

  • 배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6권
    • /
    • pp.53-103
    • /
    • 1979
  • Kyujang-gak was an institution established by the King Jungjo's order to enshrine and edit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d to help the revival of learning with more active services in collection, control, and use of the important materials. Furthermore, it was aimed in its establishment to promote the settlement of an innovative and ideal Royal Regime. In this paper, the Outer Kyujang-gak(外奎章閣) of Kangwha Magistracy(江華府), which was one of the lower branches of the Kyujanggak(奎章閣), will be treated, especially about its details of establishment, location, functions,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its collectio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史庫) was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to take custody of the royal writings and autographs. An Annex(別庫) was built near by the Historical Deposit Library to enlarge the space in the reign of the King Hyojong. These spaces, however, become insufficient as the amount of materials deposited expanded, and custody for them was also not successful. Therefore, at the April of the 6th year of the King Jungjo's rule, the Outer Kyujang-gak was built at the east of the Temporary Palace(行宮) within Kangwha Magistracy, where the royal materials were deposited. This Outer Kynjang-gak was also called 'Kangdo Oe-gak(江都外閣)', 'Kyujang Oe-gak(奎章外閣)' or 'Simdo Oe-gak(心都外閣)', and its major function was to take custody of the materials and to hand them down to the next generations forever. The Kandwha Magistrate(江華留守) wa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Outer Kyujang-gak. Regular events for the book keeping were enshrinement, inventory and airing. In the 6th year in the reign of the King Jungjo, 4,892 volumes consisting of 762 titles were moved here from the Bon-gmodang(奉謨堂), the Seoseo(西序) in Main Palace, the Annex(別庫), the Deposit Library(史庫) mentioned above, the Kaegsa(客舍) and Chaeg-go(冊庫) within Kangwha Magistracy.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fourteen times of addition altogether, the number of collection enshrined here reached 6,400 volumes consisting of 1,212 titles. The significance of this Outer Kyujang-gak established at the Kangwha Magistracy is in the point that this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opsit libraries of the Joseon Dynasty.

  • PDF

창덕궁 대보단(大報壇)의 공간구성과 단제(壇制) 특성에 관한 고찰 (Studies on the Spacial Compos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ter System at Daebodan in the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1호
    • /
    • pp.318-345
    • /
    • 2013
  • 본 연구는 고문헌 및 도상자료의 분석을 통하여 조선 후기 정치사에 큰 비중을 점유하고 있는 창덕궁 대보단의 시대별 공간구성을 조명하고 단제(壇制) 형성에 이입된 요소를 고찰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보단에는 병자호란 이후 지배질서의 위기를 느낀 조선의 지배층이 타개책으로 내세운 존명의리의 이념적 장치가 녹아들어 있으며, 조선중화의식의 자부심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맞물려 있는 등 복합적 요인이 한데 얽혀 조적(組積)되어 있었다. 표면적으로 대보단은 사직단의 구성요소와 부속건물의 배치를 그대로 가져오되 지형의 제약과 후원의 출입 제한으로 인해 변통한 배치를 보이고 있었으나, 입면적 구조에서 9급의 계단, 5척의 단고(壇高), 단유(壇?)에 나타난 2성(成)의 정황 그리고 황장방 내부의 형태 등 황명제의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수용되었다. 또한 "예기 교특생"에서 따왔다는 단명(壇名)은 다분히 교천(郊天)을 상징하고 있었으며, 중국과 조선의 사직단의 제도를 적절히 조합하여 참례(僭禮)의 혐의를 피하여 건립되었다. 이러한 점은 대보단의 단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으로서 중화계승의식과 역대 임금에게 내재된 제천의 욕구가 제단의 구조와 형식을 통해 표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보단의 창건, 확장, 쇠퇴, 훼철의 과정을 편년적 방법으로 살펴보았는데, 각 변천의 기점에서 당대의 정치 문화적 배경에 따른 조선 통치엘리트 집단의 지배이데올로기가 제단의 공간형식에 투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도상자료에 나타난 대보단에 조응되는 위치를 찾아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창덕궁 천연기념물 다래나무 주변에서 대보단의 석재, 전돌과 와편 등의 유구가 발견되어 향후 발굴조사를 통한 확인이 요구된다.

조선조 숙종대 혼전조성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 창경궁 문정전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haracter and Formation of the Honjeon during the Reign of Sukjong in Joseon Dynasty - Centering on Munjeongjeon in ChangkyeongGung -)

  • 신지혜
    • 건축역사연구
    • /
    • 제19권3호
    • /
    • pp.31-49
    • /
    • 2010
  •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management and architectural space composition of Honjeon during the reign of Sukjong. Also it purposes to inspect how to affect management of the Royal Palace. The study is based on each Binjeon Honjeon Dogam Eugwe between late 17C and 18C. And the data on management of the Royal Palace is based on Joseonwangjosillok and Seungjeongwon Ilgi. Because Sukjong used ChangDeokgung and GyeongDeokgung alternately, Honjeon located at Munjeongjeon of ChangGyeonggung during Sukjong stayed at ChangDeokgung and located at Gyesangdang of GyeongDeokgung during Sukjong stayed at GyeongDeokgung. At that time, often movement of the King modified procedure of moving Honjeon. Between the first year of Hyenjong and the 9th year of Sukjong, architectural space of Honjeon was settled. In 1659, territory of Jeongjeon was settled. Also between 1674 and 1684, Goklimcheong was built. Construction of Goklimcheong is noticeable character. As Munjeongjeon was being used as Honjeon continually, it was recognized as Honjeon. Due to its long utilization as Honjeon, several gonvernment offices were transferred. Also it influenced utilization of Myeongjeongjeon.

조선왕릉 연지(蓮池)의 특성과 전형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 of Lotus Pond in Joseon Royal Tombs)

  • 고승관;구본학;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6-123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왕릉 연지보존 및 복원을 위한 기초연구로 고문헌(춘관통고, 광릉지)에 그 기록이 남아 있으며,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남양주 광릉, 효릉, 김포 장릉, 숭릉의 연지를 대상으로 형태, 재료, 구조 및 공법, 식생적 특성 및 전형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왕릉 연지형태는 평면적으로는 방지원도형 혹은 방지형이며, 크기는 가로 7.5~81m, 세로 6.5~45m, 섬의 직경은 8~16m, 수심은 0.5~1.2m, 단면은 연지의 밑 부분은 좁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넓은 형태로 조성되었다. 연지바닥은 진흙이 쓰인 것으로 볼 때 흙이 주재료이며, 연지의 구조 및 공법은 토축으로 들여쌓은 지안이 전형으로 보이며, 물의 입수와 배수는 암거수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지식생은 현재 많은 수종이 재식되어 있으나, 문헌과 현황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연지 내부는 연꽃, 연지 주변은 소나무 전나무 기타 화훼류 그리고 섬 안은 소나무가 재식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궁궐 연지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식생적인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장대석이라는 재료의 차이에 따라 그 구조 및 공법에도 차이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릉 연지의 특성을 분석하고 전형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조선왕릉 연지를 재현하는데 기본적 준거를 제공하였다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경복궁 구(舊) 선원전 모란도2폭장지(牡丹圖二幅障子)의 보존 (Conservation on Jang-ji(障子) of two-peony paintings in the old Seonwonjeon of Gyeongbokgung Palace)

  • 박경임;천주현;김재휘;신용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35-50
    • /
    • 2022
  • 본 연구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모란도2폭장지(牡丹圖二幅障子)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보존처리를 진행한 결과이다. 모란도2폭장지는 병풍과 유사하나 크기와 형태, 용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림을 벽에 붙이기 위해 두꺼운 장지(壯紙)가 사용되었고, 장지의 후면에는 격자틀의 흔적과 건물 구조물에 주로 사용되었던 석간주(石間硃)가 남아있었다. 건물의 벽면이나 문을 장식하는 장지(障子)의 형태로 지금은 훼철되어 사라진 1867년 경복궁 선원전 내부를 장식하던 모란도임이 밝혀졌다. 또한 현존하는 창덕궁 선원전 모란도 장지의 장황과 다른 색상으로 마무리하여 19세기 조선시대 장황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료 분석과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궁중 모란도에 사용된 채색 안료에 대해 재접근하고자 하였고, 이번 보존처리를 통해 향후 조선시대 궁중회화의 참고자료로써 장지(障子)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