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Seeker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2초

구직자 선호요인 기반 기업평가 지원시스템 구현 : 퍼지 AHP와 진로성숙도 활용 (Implementing a Company Assessment Support System on Job Seekers' Preferences : Using Fuzzy-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Career Maturity)

  • 류옥현;이충석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3-71
    • /
    • 2015
  • This study is about implementing an job matching web service system based on the Job seeker's company assessment model proposed by the researchers. Basically, the Job seekers' company assessment model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each job seeker can evaluate the recruitment company candidates using job seekers's own major consideration factors. Using the implemented information system, each job seeker's main considerations in job searching process are evaluated and stored and compared to those of other job seekers' or groups' characterized by sex, job experience residential area and etc. by finding out and listing up the companies in the order of the preference of job seeker own or belonging groups, job seekers can be helped to find suitable companies which fit well to themselves.

창업경험자에 대한 기업채용 선호도의 인식조사: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eferences of Corporate Recruitment for Start-up Experiencer: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Job Seekers with Start-up Experiences and the General Job Seekers)

  • 허제인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09-224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의 채용선호도는 창업경험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차이 없이 입사가 이루어질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구직자에 대한 기업의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 둘째 일반 구직자와 창업경험이 있는 구직자 간의 창업 관련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셋째 창업경험 구직자와 일반 구직자 간의 채용선호도 차이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모형의 독립변수는 기업가정신, 창업동기, 구직자특성으로 하고 종속변수로는 채용선호도로 설정하였으며, 조절변수로는 구직자 구분(창업경험자 vs 일반구직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설립 연도 5년 이상의 기업 100개, 설립년수 5년 미만의 신생기업 100개의 인사담당자이며 설문지는 총 두 종류로 배포되어 최종적으로 101명, 일반 구직자 88명 총 189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창업경험자와 일반구직자 모두를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정신만이 채용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직자 구분의 조절효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 간의 관계에서만 발견되었다. 셋째, 창업경험자를 기준으로 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창업동기와 채용선호도와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창업자 특성과 채용선호도는 기각되었다. 넷째, 일반구직자를 기준으로 한 연구결과에서는 구직동기가 오히려 채용선호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적은 표본과 다양한 업종과 전통적 기업과 벤처기업의 인식차이 결과는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창업경험자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창업경험자가 창업을 접고 자신의 진로를 취업으로 전환하였을 때 어떠한 준비를 하면 되는지에 대하 시사점과 기업가정신의 중요성과 일반 구직자들도 기업이 선호하는 채용선호도 무엇인지 정확히 인지하고 성공적인 취업을 준비할 수 있게 도움을 주고 앞으로의 창업 활성화의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50·60세대 취업 포털 사이트 구직자의 특성 및 구직 요구 분석 (Analysi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sire for Employment of Job seek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Using Portal Site)

  • 김애경;김기성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5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asic data on socio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ccupational careers, and desire for employment of job seek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using a portal site. Methods: For this research,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by the researcher from 704 job seekers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package.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Most job seekers want a job that suits their competence and career trajectory, but the reality is that as their age increases, jobs suitable for those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re hard to find; thus these job seekers accept simple labor or functional jobs. Conclusions: Differences were found in work conditions such as occupation level, job position, total career years, desired employment type, and expected salary depending on socio - demographic variables. Consequently, improvements should be made for various job searching paths for older adults as well as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of job searching information.

인재매칭을 위한 내용기반 척도학습모형의 설계 (A Design of Content-based Metric Learning Model for HR Matching)

  • 송희석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7권6호
    • /
    • pp.141-151
    • /
    • 2020
  • The job mismatch between job seekers and SMEs is becoming more and more intensifying with the serious difficulties in youth employment. In this study, a bi-directional content-based metric learning model is proposed to recommend suitable jobs for job seekers and suitable job seekers for SMEs, respectively. The proposed model not only enables bi-directional recommendation, but also enables HR matching without relearning for new job seekers and new job offer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proposed model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precision, recall, and f1 than the existing collaborative filtering model named NCF+GMF. The proposed model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an evolutionary model that improves performance as training data increases.

플랫폼 노동시장의 구직기간 단축 결정요인: 웹크롤링과 생존모형을 이용한 분석 (Determinants of Shortening Job-hunting Period in Platform Labor Market: Analysis by using Web Crawling and Survival Model)

  • 이종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1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임금수준이 첫 업무획득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최근 플랫폼 노동시장은 실업률 증가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고용인 간의 신뢰형성이 중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전 고용주의 피드백이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하였다. 다만, 첫 번째 업무를 획득하지 못한 신규 구직자의 경우 이전 고용주에 의한 피드백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는 플랫폼에서는 임금이 고용주가 아닌 구직자들에 의해 스스로 제시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이 구직기간 단축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Freelancer.com에서 발췌한 3,704명의 구직자 정보를 사용한다. 생존 분석 결과에 따르면, 플랫폼 노동시장에서 신규 구직자의 낮은 임금은 구직기간 단축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구직자의 취업준비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An Exploratory Analysis on the Employment Preparation Process of Young Job-Seekers)

  • 공수연;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0권2호
    • /
    • pp.47-64
    • /
    • 2012
  •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young job-seekers' preparation for employment process. Participants for the present research include 30 unmarried single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fter graduating four-year colleges. To follow the rule of data triangulation, data includes in-depth personal interviews, field notes, memorandums, coding books, and additional questionnaires. There are 556 abstracted meaning units, 15 subcategories, 11 main categories, and final 5 themes from the dat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young job-seekers were experiencing a typical cycle of preparation, attempt, failure, slump, and downgrade in job seeking standard. It is also observed that youth unemployment was a persistent phenomenon of vicious circle not easy to overcome. Especially, young job seekers were reported to restructure the perception on employment as they struggle for seeking a job, in particular, at times of experiencing hardship during the job hunting process. The interviewees responded that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declines as the job hunting period drags on eventually ending up with applying for a job of lower qualification standard.

퍼지-AHP를 활용한 구직자의 기업평가 모형 개선 연구 (An Improved Company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Job Seekers' Preferences Using Fuzzy-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 이충석;류옥현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0-100
    • /
    • 2015
  • This study i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mitigate the mismatch phenomenon between job seekers who want to find right company for themselves and companies looking for appropriate new employe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mproves the company assessment framework reflecting job seekers interests by using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improved evaluation framework is a three-level hierarchical structure, where there are 4 groups at the top level, 12 factors at the intermediate level and 36 indexes at the bottom level.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applicants preferences based on the improved model, a survey for F-AHP analysis is carried out to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priorities of components in the evaluation model are calculated. Moreover, the differences of priority of the company assessment framework are analyzed for different genders, college years, and major divisions. The results show that job seekers' most concerning factors are wages, stability, working environments, and labor deal, which are ranked highly in this order and the differences in preferences for each type of job seekers (genders, college years, and major divisions) are obvious.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male prefers wages to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female does working environment to wages.

중소기업 '좋은 일자리'를 위한 자가평가 모형 (A self-assessment model for 'good jobs' in SMEs)

  • 이정환;김태성;백동욱;노민규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1호
    • /
    • pp.35-50
    • /
    • 2021
  •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청년 일자리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청년구직자가 일하고 싶은 우수한 중소기업을 쉽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는 '참 좋은 일자리 플랫폼'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청년 구직자의 선호 일자리를 파악하고 중소기업 스스로가 평가하는 '좋은 일자리' 자가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실제로 이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직자 관점의 좋은 일자리 특성을 연봉수준, 성과보상, 근무환경, 기업건전성, 조직문화 관점에서 컨조인트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산·학·연 전문가 대상으로 AHP 분석을 통해 세부 평가항목 13개의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자가평가 모형은 중소기업 환경을 청년구직자가 선호하는 일자리로 변화시키는 인식개선의 도구로 일자리 문제를 비용 중심적인 지원 중심에서 질적 체질을 개선하는 계기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청년구직자의 중소기업 고용주 브랜드 인식이 취업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Young Job Seekers' SME Employer Brand Awareness on Their Intention to Work)

  • 이정환;김동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92-300
    • /
    • 2022
  • 본 연구는 정확한 중소기업 일자리 정보를 알지 못하는 상황, 선호 기준에 맞는 일자리 파악이 어려운 현실을 브랜드 범주화 이론을 반영한 '고용주 브랜드(Employer Brand)' 관점에서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자 700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5가지 가치 요인(Interest Value, Social Value, Economic Value, Development Value and Application Value) 중심의 취업의향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청년구직자는 인재육성이나 제품, 서비스, 경영진 등 기업 측면의 특성보다 구직자 개인에게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업무문화와 환경, 자신의 전공 활용 등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취업의향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중소기업 일자리 정책이 기존 양적 지원 중심에서 플랫폼 중심의 일자리 정보 활용을 강화하는 질적 체질 개선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구인기업과 구직자 간에 인식하는 인재상의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Talented Human Resources Between Enterprises and Job Seekers)

  • 허성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51-257
    • /
    • 2020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관련기업의 채용경향에 있어서 구인기업과 구직자가 인식하는 인재상의 차이를 16개로 구성된 요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업과 구직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빅데이터 유형의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연결망 분석과 변량분석을 혼합한 융합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음의 몇 가지를 검증하였다. 첫째, 대기업은 소통을 강조하고, 중소기업은 역량과 자신감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조업에서 구인기업은 자신감과 역량을 강조하고, 구직자는 스펙과 열정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업에서 구인기업은 인성과 역량을 강조하고, 구직자는 스펙과 글로벌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직자들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 따른 인재상이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인재상에 대한 인식 불일치 현상을 줄이기 위한 기업의 채용 정보개방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