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Aspir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직무열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An Econometric Study of Job Aspiratio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using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 이재희;임성준;박진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6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job aspiration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at and job satisfaction for wage-earners using the four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KWCS). We use the stochastic frontier model for measuring the job aspiration and testing its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Fstochastic frontier model is introduced to explain that each company potentially produces less than it might due to a degree of job aspiration, measured by decomposing the residuals. In this model framework, it can be regard that the upper bound of the job satisfaction is the ideal frontier, and the bias between the ideal condition and the reality is the job aspiration. If this concept is applicable to the job aspiration, we can measure this bias and investigate a relationship with the job satisfaction. We find that there exists the job aspiration, and it i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job satisfaction. This result supports that if job aspiration increases, job satisfaction level decreases.

남녀사서직원들의 가치관, 직무지향성, 직무태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wpoint of Value, Job Aspiration, Job Attitude between Male and Female Librarians)

  • 홍기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63-292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f differences on the viewpoint of value, job aspiration, job attitude between male and female librarians. The objects of survey are 60 librarians at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In general, librarians have advanced propensity on viewpoint of value. But female librarians appear more traditional propensity than male librarians 2) Generally, the ranking of core factors in job aspiration appears ① realise professional value, ② self confidence in occupation, ③ recognized by specialist. On this, female librarians come out ① self confidence in occupation ② realise professional value, ③ recognized by specialist. 3) Generally, librarians appear more conservative attitude than male librarians about indirect service in library

  • PDF

대학생의 자아상태가 진로포부와 직업선택가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Ego Status on Career Aspiration and Job Choice Value)

  • 유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55-660
    • /
    • 2017
  • 본 연구는 관광경영학과 학생들의 교류분석 결괴에 따른 자신의 진로에 대한 포부와 직업 선택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경기도 소재 S대학 관광경영학과 재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총45문항으로, 직업선택 가치의 조사항목은 요인분석 결과에 따라 리더십욕구, 전문성향상, 직계향상, 사회적기여, 지적가치산출, 여가보장, 급여수준 등 7개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포부와 직업선택 가치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에고그램 구조에서는 성인 자아샹태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직업포부가 크고, 성인자아 활동이 높을수록 직업선택의 가치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류 분석이론을 기초로 한 자아상태 프로파일 분석은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향후 직업 선택 및 직업 선택의 가치 적성을 탐색하는데 매우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며, 직업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진로대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과의 관계: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 (Effects of Job Autonomy on Career Maturity in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6-97
    • /
    • 2017
  • 본 연구는 아르바이트의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여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고등학생 849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자율성, 업무만족도, 진로의식성숙은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교육포부에 따라서는 고졸 희망학생이 전문대졸, 대졸이상 학생보다 더 높았다. 둘째,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은 성별과 교육포부에 따라 진로의식성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업무만족도는 아르바이트 업무자율성과 진로의식성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였으며, Sobel test 결과 업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아르바이트를 통한 진로의식성숙을 위해 청소년들에게 일의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현장에서 부여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고용주들은 청소년 직업교육 협조자 역할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학교와 지역사회는 질 높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청소년들이 진로의식을 높일 수 있도록 아르바이트 진입경로를 공식화 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신임경찰관의 입직동기 (Effects of Police Officer's Job Motivation)

  • 조호대;박재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283-290
    • /
    • 2008
  • 조직에서의 인간행위의 보다 중요한 관점의 하나는 동기이다. 동기란 조직 구성원으로 하여금 특정한 방향으로 행위 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조직 활동에서의 인간의 동기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인 것이다. 따라서 조직의 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원들의 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요인을 규명 작동하여 동기부여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입직동기를 측정해보고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조직에 있어서 유효한 인적자원 관리방법과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각종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들은 적극적 모집의 필요성 함께, 현대의 경찰활동에서 요구되는 지역사회와의 관계의 개선, 협력치안 등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신임경찰관들에게 시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책임과 봉사의 태도를 갖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하고 새로운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경력단절 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 욕구형태에 따른 진로행동 분석 (Analysis of Career Behaviors o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165-17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reer behaviors(job exploration, job hunting) of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To obtain this objective 501 women, who quitted their job in 780 women randomly sampling completed questionnaire. To analyze data, $x^2$, ANOVA were executed. Research results were explained, there were no difference career behaviors, experience of career counseling, experience of career education, aspiration of career behaviors by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But, there were difference motivation of labor market entry, career barriers, preference of occupations, level of job competence of career behaviors by the need mode in the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n women's second labor market transition of developing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were discussed and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made.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자대학생들의 직업결정과정: 근거이론 접근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Undergraduates who Want the Male-dominated Job: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 김영실;임성문
    • 한국심리학회지:여성
    • /
    • 제16권3호
    • /
    • pp.303-329
    • /
    • 2011
  • 우리나라는 여성의 교육참여율이 과거 어느 때보다 높은데 비해 인력활용율은 OECD국가 중 최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렇게 고학력 여성인력의 활용률이 저조한 원인으로 진로상담영역에서 '진로선택'과 관련된 원인에 주목하였다. 전통적으로 직업을 여성중심 또는 남성 중심 직업으로 분류할 때 아직까지도 많은 여성들이 남성중심 직업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편중현상을 해소해야만 다양한 인력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남성중심적 직업을 희망하는 여대생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경험구조 및 직업결정 과정을 밝히고, 그 과정에서 부정적 또는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들을 밝혀 여성 진로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성중심적 직업을 선택하며 취업준비중인 대학교 3학년 이상 여학생 8명을 심층면접한 녹음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을 토대로 핵심범주인 '특별한 삶을 위해 의지를 갖고 도전해 나가기'가 도출 되었다. 또한 패러다임 분석을 통해 인과적 조건, 중심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를 구분하였다. 과정 분석을 통해 기질과 포부 인식 단계, 내적결의 단계, 지지와 수용 단계, 도전과 극복의 순환 단계, 긍정과 확신의 단계로 총 5 단계의 직업결정 과정이 밝혀졌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모음사이의 예사소리와 된소리의 구분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Korean Intervocalic Lak and Tense Stop Consonants)

  • 김효숙
    • 대한음성학회지:말소리
    • /
    • 제33_34호
    • /
    • pp.1-10
    • /
    • 1997
  • Korean stop consonants are well known for their tripple distinction. In word initial position lax, tense and aspirated consonants are all voiceless. They are differentiated by the degree of tension, aspiration and VOT(voice onset time). But in intervocalic position, lax consonants become voiced. In this study I compare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s. The closure duration of lax stops is shorter than that of tense consonants. The preceding vowel length is longer in tan than that in tense consonants. I modify the abov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an experimental methods. For example, I shorten the closure duration of intervocalic tense stops by 5 steps. r also do auditory tests which will show us listener's reaction on the above examples. And do the same job with the preceding vowels. According to the auditory test, the closure duration does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Korean intervocalic lax and tense stops. But the preceding vowel length has almost nothing to do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lax and tense stops. So I conclude that acoustic features also have hierarchy. Some features hav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and others don't.

  • PDF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간호사 이미지 (Nurses′ Image Perceived by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Korea)

  • 강혜영;고미혜;양진주;김선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92-801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image and its related factors to make nurses' image among academic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in Korea. Method: Study samples were composed of 470 teachers who were from 12 high schools in G and J city located in southwestern part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6 to October 4, 2002.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total scale was Cronbach's $\alpha$=.940. Result: In order to make nurses' image, 76.4% of respondents were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their hospitalization in visiting hospitals.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n general was 3.19$\pm$0.55; in four subcategories, 3.46$\pm$0.60 for professional image, 3.28$\pm$0.69 for traditional image, 2.93$\pm$0.70 for social image, and 2.91$\pm$0.64 for vision of nursing career. The mean score of nurses' image in general was more positive significantly in the 50's age group (F=6.43, p=.002) and in male groups (t=2.92, p=.002). Conclusion: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nursing professionals need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aspiration in job, and autonomy of nurses in their practice fields, monitor the mass media and other publishing materials continuously, and share the appropriate information on nursing profession to the school teachers and the public.

근로자의 학업욕구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ers' Aspiration for Academic Needs on Particip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 이지훈;문복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231-241
    • /
    • 2021
  • 본 연구는 근로자의 학업 열망이 대학교육 참여에 미치는 연구를 통해 대학교 관계자들에게 신입생유치 및 맞춤 교육을 위한 전략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선행자료들을 분석하여 변수들을 도출하였고,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설정과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학교육 참여에 관심 있는 근로자 331명을 대상으로 대인면접법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화를 하였고,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와 각 개념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검증결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적성에 맞는 직업군으로 전환한 경험자와의 멘토·멘티 제도를 통해 동기부여를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미래를 위해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본인의 적성과 장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둘째, 대학 관계자들은 추천을 통해 입학을 한 근로자들이 직업전환을 이룬 사례와 정보를 입학 예정자가 알 수 있도록 홍보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 계발을 할 수 있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모전' 등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재가공을 통해 근로자에게 대학교육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대학 관계자들은 대학교육을 통해 직업전환과 자기계발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프로그램을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즉, 대학 입학시 해외 선진 기업 견학, 다양한 자격증 취득, 블루칼라·화이트칼라의 부서 간 이동, 이직 기회 획득 등 다양한 정보제공과 졸업 선배들의 성공 사례들을 제공함으로써 근로자들의 학습 동기 유발을 자극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 관계자들은 직업전환을 위해서는 대학교육에 참여하여 체계적인 교육과 사회 환경의 흐름 등을 교육받음으로써 한층 더 발전할 수 있는 곳이 대학이라는 것과 이와 관련된 대학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학 관계자들은 근로자가 대학교육 참여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이 발생하도록 근로자와의 상담 및 홍보를 실시해야 할 것이고, 근로자들의 수요조사 및 분석을 통해 자기계발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응방안들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