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pum whea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Proteomics Approach on Puroindoline Gene of Pre-harvest Sprouting Wheat

  • Kamal, Abu Hena Mostafa;Park, Cheol-Soo;Heo, Hwa-Young;Chung, Keun-Yook;Cho, Yong-Gu;Kim, Hong-Sig;Song, Beom-Heon;Lee, Chul-Won;Woo, Sun-Hee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5-212
    • /
    • 2009
  • Wheat (Triticum aestivum L.) grain texture i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milling properties and end product use. Two linked genes, puroindoline a (PINA) and puroindoline b (PINB), control most of the genetic variation in wheat grain texture. Wheat seed proteins were examined to identify PINA and PINB gene using two pre-harvest sprouting wheat cultivars; Jinpum (resistant) and Keumgang (susceptible).Wheat seed proteins were separated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with IEF gels over pH ranges: pH 3-10. A total of 73 spots were digested with trypsin resulting peptide fragmentation were analyzed by 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MS). Mass spectra were automatically processed and searched through NCBInr, SWISS-PORT and MSDB database with mono isotopic masses and complete gene sequence were found by UniProt database. Puroindoline a and puroindoline b that is responsible for grain texture related with baking performance and roughness. Two spots were found Pin b (16.7 kDa) and Pin a (16.3 kDa) in Jinpum compare to seven spots were identified Pin a (16.1 kDa, 16.3 kDa) and Pin b (16.7 kDa, 9.5 kDa and 14.4 kDa) in Keumgang. Some selected spots were identified puroindoline like grain softness protein (16.9 kDa, 17 kDa and 18.1 kDa) in Keumgang. Moreover, to gain a better inferring the identification of puroindoline related proteins using proteomics, we accomplished a complete gene sequence of PINA and PINB gene in pre-harvesting sprouting wheat seeds between resistant (Jinpum) and susceptible (Keumgang).

양절형 밀 생장에 대한 온도의 영향과 유전자 발현 양상 (Effect of Temperature on Growth and Related Gene Expression in Alternative Type Wheat Cultivars)

  • 허지혜;성혜주;양운호;정우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4호
    • /
    • pp.384-394
    • /
    • 2019
  • 국내에서 육성된 파성3으로 분류된 밀의 생장에 대한 고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얼기부터 등숙기까지 일평균 17℃, 20℃, 23℃, 26℃ 온도 처리에 의해 나타나는 밀의 생육 특성과 유전자 발현양의 변이를 분석하였다. 1. 밀의 생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유효분얼수, 건물중은 수안밀과 조은밀은 일평균 온도 23℃ 이상에서 감소하였고, 진품밀은 20℃ 이상에서 감소하였다. 2. 진품밀의 경우 온도 처리 50일 후 온도 조건에 따라 생육상이 뚜렷이 구분되었는데, 17℃에서 영양생장 단계를 보였고, 20℃ 이상에서 출수·개화 단계를 나타냈다. 3. 온도와 관련된 생리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유전자 16개를 대상으로 RT-qPCR을 진행하여 온도 처리 50일 후 진품밀의 17℃와 23℃ 처리구에서 유전자 발현 수준의 차이를 확인해본 결과, 23℃ 처리구에서 발현이 증가한 유전자에는 HSP70, HSP101, VRN2, ERF1, TAA1, YUCCA2, GolS, MYB73, Histone H2A이 있고, 감소한 유전자에는 VRN-A1, DREB2A, HsfA3, PIF4, PhyB, HSP17.6CII, rbcL이 있다. 4. 16개 유전자 중 MYB73, YUCCA2, HSP101, ERF1, VRNA1이 저온과 고온 조건 사이에서 유전자 발현양에 큰 차이를 보였다. 5. 온도에 의한 진품밀의 출수 표현형은 평균온도 17℃와 20℃ 사이에서 결정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온도에 의한 생육상과 형태적 특성의 차이는 단일 유전자 발현이 아닌 고온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된 여러 유전자의 복합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