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nhae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4초

마산만 준설사업 및 하수처리장 가동에 따른 진해만의 수질변동 (Water Quality Variations in Jinhae Bay by Dredging & Operat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 윤석진;이인철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7-122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which based on 6 years' data(from 1989 to 1994) measured at 16 stations on Jinhae Bay.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monthly variations range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 of water quality had a tendency to increase and decrease, and appeared to be at the maximum value in August.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centration of COD ana nutrients(DIN and DIP), which obtained by correlation analysis of water quality, were shown $85\%$ and $74\%$, respectively. Using the cluster analysis to develop the division of the sea basin by the dendrogram, before and after dredging of Masan bay and operating a sewage disposal plant, the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of Jinhae Bay were discussed. Through it, we can see the serious pollution of northen sea basin of Jinhae Bay(B2) although dredging Masan bay and operating the sewage disposal plant. As the results, it doesn't appear the improvement effect of water quality in spite of carrying out the effor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 PDF

진해만해역의 수질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he Jinhae Bay)

  • 반영남;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5-26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진해만에서 수질환경에 대한 현장관측조사를 통하여 진해만 수질현황에 대한 해수유동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대상해역의 유통특성을 파악하고, 계산된 유통data를 이용하여 해양오염시뮬레이션을 행하였으며 해수유동시뮬레이션 결과를 해양조사원에서 실시한 조석 및 조류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결과를 검증하였으며, 유통결과를 해양오염 시뮬레이션의 유통 입력 자료로 이용하였다. 해수유통 Data 및 해양관측 Data를 이용하여 수질확산시뮬레이션을 행하여 실측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COD농도 분포를 계산하여서 진해만의 수질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PDF

도시확장에 따른 진해의 교육시설배치특징에 관한 연구 -도로구조의 공간통사론적 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position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Facilities due to the Expansion of Jinhae - Focused on the Space Syntax Analysis of the Street Composition -)

  • 양승정;이현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3-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ayout of Jinhae's educational facil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syntactic changes since the era of Japanese Imperialism. The observations that we made in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most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are located near the integrated space. Axes of roads near educational facilities display similar spatial patterns as those of entire Jinhae. Second, the level of local integration has been rising near the site of elementary schools for the past decades, and the level of local integration near middle and high schools recently began to rise around the new town. Third, the level of integration is strongly related with the levels of local integration, and the loca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re also related with the level of local integration. It implies that the locatio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re determined not by Jinhae's overall street composition but by nearby road composition.

  • PDF

진해만에 있어서의 COD의 시공간적인 특성 및 결정인자 (The Determining factors and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emical Oxygen Demand in Jinhae Bay)

  • 김종구;조은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89-195
    • /
    • 1999
  • Determining factors and temporal &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D(Chemical Oxygen Demand) at the sea surface in Jinhae bay have been examined by using seasonal data, taken at twenty six stations over the whole bay during 1989~1994 by NERDA. The data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long term means, anomalously large values. Jinhae bay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ed on the time mean : mouth of Jinhae bay, inner sea of Masan bay, western sea of Jinhae bay called region 1,2 and 3, respectively. The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similar to those of nitrogen and phosphorus. Characteristics of whole mean variation in the year shows high range of variation in region 2. It was appear to decreases every year in whole trend. Factors determining seasonal variation in whole COD mean are relative to salinity and nutrient, affected by precipitation in summer. Spatial variation shows high range of fluctuation in region 2 compare to other region. Factors determining of spatial variation of COD was appear to nutrient, affected by pollutant load of land area and bottom sediment. The long term mean of COD at each station is closely related with thats of nutrien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OD and nitrogen, phosphate phosphorus was found to be high as 0.75, 0.78, respectively. Anomalously large COD was observed 14 times at 6 stations. These stations are located in inner sea of Masan bay(Region 2) and Songjeong bay(Region 1). The seasonal frequency of the observed anomalous COD is large in April, and other seasons are much the same.

  • PDF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한 진해만 해역의 저서건강도 평가 (The macrobenthic community health was assessed using the Benthic Pollution Index(BPI) in Jinhae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서진영;최진우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510-524
    • /
    • 2022
  • 2011년 2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진해만에 23개 정점을 선정하여 저서오염지수를 이용하여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건강도를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거제도 북쪽과 칠천도 부근의 정점을 제외한 모든 진해만 해역에서 저서동물군집의 건강도가 4~5등급으로 매우 오염된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산만과 고성만, 통영만의 일부 정점들에서는 기회종이 속한 4그룹의 비중이 90% 이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서환경이 오염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진해만에서는 마산만, 행암만, 통영만, 고현만에서 여름철 hypoxia 현상으로 인해 무생물 상태를 보였고, 종료 후 기회종이 대량 가입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hypoxia 후 기회종이 가입되지 않은 일부 정점들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저서건강도가 과대평가되는 현상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진해만의 저서건강도는 경기만의 시화호, 부산항만 등 다른 특별관리해역들에 비해서도 매우 낮게 나타나 심각하게 오염된 저서환경임을 시사하였다.

진해만 북부해역 저서다모류 군집의 시$\cdot$공간적 분포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Benthic Polychaetous Community in the northern Jinhae Bay)

  • 임경훈;신현출
    • 환경생물
    • /
    • 제23권3호
    • /
    • pp.238-249
    • /
    • 2005
  • 2002년 9월, 12월 그리고 2003년 3월에 걸쳐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조사해역에서 총 27개 정점을 선정하고 저서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전 조사기간 모두 각각 총 9개 동물군이 확인되었고, 평균 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2,324ind.m^{-2}$으로, 일반적인 한국 연안의 저서동물 서식밀도보다 다소 높은 값이었다. 이중 전 계절에서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은 다모류로서, 3회 평균 $1,713ind.m^{-2}$의 서식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출현 개체수에 있어 전체 출현동물의 $73.7\%$를 차지하여 그 중요도가 가장 높았다. 다모류의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는 전 계절 조사기간동안 $61\~$66종, $1,445\~l,899ind.m^{-2}$으로 계절 변동은 크지 않았다. 전반적으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았고, 비교적 해수 소통이 원활한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높았다. 진해만에서 3계절동안 우점한 다모류는 Lumbrineris longifolia, Tharyx sp., Mesochaetopterus sp.,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sp., Glycinde sp. 등이었다. 우점 다모류 역시 진해 국가산업단지 인근의 해역에서 출현종수 및 서식밀도가 낮은 편이었고, 초리도 인근 해역에서 대체적으로 높았다. 이중 Mesochaetopterux sp.만 유독 수하식 홍합양식장이 위치한 일부 정점에서 극우점 하였다. 집괴분석에 의해 본 연구 해역을 구분한 결과, 진해 국가산업단지에서부터 외해쪽으로 나가면서 정점군들의 위치가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경제자유구역 입주결정 선택기준 및 만족도 평가: 인천, 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중심으로 (A Study on Location Determining Choice Factor and Satisfaction Evaluation of Companies in Free Economic Zones: Focusing on Incheon and Busan·Jinhae Free Economic Zones)

  • 김현아;김태승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7-1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경제자유구역의 운영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기 위해, 인천경제자유구역과 부산 진해경제자유구역 두 지역을 대상으로 기업이 입주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 우선순위를 제시하고자 계층화 분석법(AHP) 방법을 활용하여 입지, 경제 사회, 정책 상위요인과 세부 하위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과 병행하여 경제자유구역 내 기업의 필요사항에 얼마만큼 부흥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AHP분석 종합 결과에서 항만 및 공항 등 물류 인프라 시설과 국내외 인접 시장과의 접근성을 감안하여 부지확보 용이성 및 인접시장과 접근 편리성 등의 입지적 측면이 경제자유구역 입주 결정 시 높은 중요도로 평가되었다. 둘째, 입주기업의 만족도를 조사 결과에서 인천의 경우 대도시 및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어 물류 인프라 시설 및 배후시장의 가치가, 부산 진해는 경제자유구역 주변의 기 조성된 산업단지와 도로, 항만등의 교통 인프라 시설에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도-만족도(IPA)조사 결과에서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부문은 '입지영역'으로 부지 확보 용이성, 인접시장과 접근편리성으로 나타났으며, 부지 임대료, 전문 인력 수급에 있어서는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지원 항목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산 진해 경제자유구역은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할 부문은 '정책영역'으로 조세감면 및 인센티브로 나타났으며, 부지 임대료, 인접시장과 접근 편리성, 전문 인력 수급, 정부 투자의 지속성 및 물류 시설의 규모에서는 중점적으로 강화해야 할 지원 항목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경제자유구역 투자 활성화 및 입주 촉진을 위한 정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HP 기법 기반 진해만 태풍 피항지 내 안전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Measures for Typhoon Shelter in Jinhae Bay Based on AHP Assessment)

  • 김니은;이명기;교칸 참르율트;박도형;김대원;박영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07-514
    • /
    • 2022
  • 진해만 해역은 태풍 내습 시에 우리나라 남동권 해역의 주요 태풍 피항지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태풍 내습 시 진해만 내 선박이 폭주하고 주묘가 다수 발생하는 등 해양사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태풍 내습 시 진해만 피항지에 대해 안전 확보 및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해당 해역의 VTS 관제사로부터 도출하고, 이를 선박 운항자에게 AHP 기법을 통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도출하여 관리자와 이용자 의견이 반영된 안전대책을 제시하였다. AHP 설문조사를 위한 안전 대책 요소를 선정하기 위하여 진해만 내 태풍 내습 시 VTS 관제사의 대응 조치 평가 내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선정된 안전대책 요소를 기반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정된 요소에 대해 선박 운항자는 선박의 안전을 효율적 관리보다 약 2배 이상 중요하게 생각하며, 종합적으로 피항선 관리, 정박구역 관리, 피항정보 관리, 규정 및 지침 마련, 시스템 장비 개선, 교육 및 홍보·알림 활동 순으로 중요하게 고려함을 파악하였다. 본 논문에서 식별된 방안 및 상대적 중요도를 통해서 진해만 태풍 피항지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진해-마산만 유역에서 비점오염물의 유출양상 분석 (Analysis of Non-Point Pollutants Outflow Pattern in Jinhae-Masan Basin)

  • 이범희
    • 공학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7-118
    • /
    • 2006
  • 연안수질 개선 및 환경회복도 추정을 위한 3차원 수질 모델의 구성에서 나타나는 어려운 점들로는 실측자료가 부족하다는 점과 지속적 관측이 어렵다는 점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연안역에 대한 수질모의 및 관리기법 개발 연구의 중간 단계로서 진해-마산만 유역에 대한 강우 및 비점오염물 유출 양상을 실측하였고, 유량 및 오염물 유출양상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위성영상시스템 및 지리정보체계 기법을 적용하였다. 지리정보체계(IDRISI 사용)를 통한 진해-마산만 유역의 용지 사용분포, 지점오염 부하량과 유역정보 결과를 사용하여 수질모의 모형(SWMM 사용)을 적용하였고, 관측되어진 비점오염물들의 유출양상을 통하여 오염물들의 유출특성을 고려한 관측기법의 개선방안과 GIS기법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형태 및 분자 특징에 의한 한국산 꼼치(Liparis tanakae)의 집단 구조 (Population Structure of Liparis tanakae (PISCES, Liparidae) from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Traits)

  • 명세훈;반태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98-207
    • /
    • 2016
  • Tanaka’s snailfish, Liparis tanakae (Gilbert and Burke, 1912),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asts of Korea. To clarify the population structure of L. tanakae, we analyzed the morphological and genetic variation among individuals sampled from three localitie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Boryeong in the Yellow Sea, Jinhae in the Korea Strait and Pohang in the East S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20 morphometric characteristics revealed two slightly distinct groups (Boryeong vs. Jinhae and Pohang). However,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clearly revealed three groups, separated according to locality. Pairwise differentiation index (FST) comparisons based on 762-base pairs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s showed that Boryeong significantly differed from Jinhae and Pohang, but Jinhae and Pohang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each o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L. tanakae comprise at least two groups. Further studies using more sensitive DNA markers, such as microsatellite DNA,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