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gunsan Form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중부오오도비스기 직운산층 점토광물의 광물학적 및 화학적 연구: 변성정도에 대한 의의 (The Mineralogy and Chemistry of Clay Minerals of the Middle Ordovician Jigunsan Formation: Implications for the Metamorphic Grade)

  • 고희경;이용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42
    • /
    • 1991
  • 직운산층의 열적변성도를 밝히기위해 일라이트의 '결정도'와 녹니석의 화학성분을 이용하였다. 직운산층의 일라이트 '결정도'값은 Weaver index로는 4.48에서 32.5에 이르며, Kubler index로는 $0.14{{\Delta}{\circ}}\;2{\Theta}$에서 $0.03{{\Delta}{\circ}}\;2{\Theta}$에 이른다. 대부분의 일라이트 '결정도'값은 epizone의 영역 (K. I.< $0.21{{\Delta}{\circ}}\;2{\Theta}$)에 속한다. 직운산층 녹니석에 의해 계산된 온도와 그 화학 분석치(Fe/(Fe+Mg)=0.45, Tet. Al/Octa. Al=0.84, the calculated temperature=250-270${\circ}C$)는 기존의 epizone 녹니석의 연구결과와 잘 일치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직운산층의 변성정도가 epizone에 속하고 직운산층은 과거에 적어도 300${\circ}C$의 온도에 도달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예미각력암 : 성인과 층서적 의미 (The Yemi Breccia : Origin and Stratigraphic Implications)

  • 우경식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5권1_2호
    • /
    • pp.16-26
    • /
    • 1997
  • 강원도 예미부근에는 예미각력암 (Yemi Breccia)이라는 층이 보고되어 있다. 이 층은 두위봉형 조선누층군 막골층을 부정합으로 덮고 있으며, 이 층 위에 고성 셰일이 정합적으로 놓인다고 알려져 왔다. 예미각력암의 야외조사와 조직적 관찰결과, 예미각력암은 막골층 상부가 퇴적될 당시에 퇴적된 증발암이 속성작용에 의해 용해됨으로써 생성된 속성산물인 용해-붕락 각력암 (solution-collapse breccia)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예미각력암은 기존에 독림된 층으로 제안된 바와는 달리 막골층의 상부층의 일부로 간주되어야 하며, 상위의 고성셰일은 직운산층으로, 고성석회암은 두위봉층과 대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화학조성으로 다시 보는 일라이트-백운모, 파이로필라이트 및 녹니석의 혼합상: 강원도 삼척시 석개재에 분포하는 직운산층 셰일에 대한 EPMA 정량분석 (Illite, Review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 The Mixed Phase among Muscovite, Pyrophyllite and Chlorite: EPMA Quantitative Analysis of Shale from the Jigunsan Formation at Seokgaejae in Samchuk-City, Gangwon-do)

  • 최승현;문향란;이영부;이정후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43-153
    • /
    • 2012
  • 강원도 삼척시 석개재에서 산출되는 직운산층 셰일의 운모류 광물(일라이트)에 대한 EPMA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량분석으로 계산된 운모류 광물의 평균 화학식은 $(K_{1.17}Na_{0.04}Ca_{0.01})(Al_{2.80}Mg_{1.17}Fe_{0.78})(Si_{6.34}Al_{1.66})O_{20}(OH)_4$로, 소위 일라이트에 해당되는 화학조성을 보인다. 낮은 층간 양이온 값과 팔면체 자리의 높은 Mg, Fe값으로 보아 일라이트는 백운모, 파이로필라이트 및 녹니석의 혼합상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일라이트에 해당되는 화학식을 각각의 구성광물로 분리하였고, 그 분리 방법을 새로이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일라이트의 화학식으로부터 K(Na, Ca 포함)를 기준으로 백운모의 함량을, Mg+Fe로부터 녹니석의 함량을 추산하고 나머지를 파이로필라이트로 간주하였다. 파이로필라이트는 이상화학식을, 녹니석은 평균 분석값을 사용하여 일라이트의 분석값에서 빼면, 나머지는 백운모의 화학식이 되는데 이는 원칙적으로 백운모의 이상화학식이 된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운모류 광물의 평균 분석값을 이 방법으로 분리하면 백운모 61%, 녹니석 27.3%, 파이로필라이트 11.7%로 되며, 여기에서 계산된 백운모의 화학식은 $(K,Na,Ca)_{2.00}Al_{3.69}(Si_{6.75}Al_{1.25})O_{20}(OH)_4$이다. 이 백운모의 화학식은 대체로 낮은 Al값을 보이나 암석의 낮은 Al 함량과 녹니석 화학조성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대체로 합리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또한 이 연구에서 제시한 분리 방법이 합당하다는 것을 뒷받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