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t Fire & Flar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플레어스택의 화염 형상 분석 (Analysis of Flame Shape in Flare Stack)

  • 이헌석;김범수;정상용;유진환;박철환;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9-53
    • /
    • 2009
  • 릴리프시스템은 공정 내에 과압 방지하여 공정의 안전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릴리프 시스템에서 방출되는 폐가스로 인한 폭발, 복사열, 독성가스 확산을 막기 위하여 플레어스택을 설치한다. 플레어스택에서는 공정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안전한 연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안전한 연소를 위하여 방출되는 가스량과 속도 제어는 API 521 code의 기술기준을 따르며,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형상은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과 질량유속에 의하여 jet fire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화염의 형상은 완전 연소와 열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이 논문에서는 화염의 형상을 분석하였다. 화염의 길이는 API code와 jet fire 모델이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화염은 지면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플레어스택의 정량적인 복사열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rmal Radiation in Flare Stack)

  • 정상용;이헌석;김범수;유진환;박철환;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7-41
    • /
    • 2010
  • 공정내의 가연성 혹은 독성가스를 연소시켜 안전한 물질로 전환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플레어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플레어시스템은 공정의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폐가스의 안전한 연소가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연소의 복사열이 공정의 위험요인이 되지 않도록 API 521 Code에 규정되어 있다. 플레어스택에서 발생하는 화염의 형상은 방출되는 가스의 압력과 질량유속에 의하여 jet fire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이를 API 521 Code 방식이 아닌 Chamberlain Model을 이용하여 화염의 형상을 확인하고, 이로 인한 복사열을 분석하였다.

위험물 취급설비 화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 개발 방향 (Development Direction of Fire Consequence Analysis Programs for Hazardous Materials)

  • 유재환;김용수;이영순;이경봉;이성우;박달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6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취급설비에 대하여 4가지 화재유형으로 나누어 사고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작성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SuperChems Pro., 3.1, SAFER Trace Ver., 8.2, PHAST Pro., Ver., 5.2 등 외국의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고결과 영향평가 프로그램의 적용 특성을 분석·평가하였으며 이들 프로그램의 분석, 적용 평가 결과 및 관련이론을 활용하여 이를 전산화 할 수 있는 화재모델 및 서브모델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 PDF

THE MILLIMETER-RADIO EMISSION OF BL LACERTAE DURING TWO γ-RAY OUTBURSTS

  • Kim, Dae-Won;Trippe, Sascha;Lee, Sang-Sung;Park, Jong-Ho;Kim, Jae-Young;Algaba, Juan-Carlos;Hodgson, Jeffrey A.;Kino, Motoki;Zhao, Guang-Yao;Wajima, Kiyoaki;Kang, Sincheol;Oh, Junghwan;Lee, Taeseok;Byun, Do-Young;Kim, Soon-Wook;Kim, Jeong-Sook
    • 천문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167-178
    • /
    • 2017
  • We present a study of the inexplicit connection between radio jet activity and ${\gamma}$-ray emission of BL Lacertae (BL Lac; 2200+420). We analyze the long-term millimeter activity of BL Lac via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with the Korean VLBI Network (KVN) obtained at 22, 43, 86, and 129 GHz simultaneously ove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3 to March 2016); during this time, two ${\gamma}$-ray outbursts (in November 2013 and March 2015) can be seen in ${\gamma}$-ray light curves obtained from Fermi observations. The KVN radio core is optically thick at least up to 86 GHz; there is indication that it might be optically thin at higher frequencies. To first order, the radio light curves decay exponentially over the time span covered by our observations, with decay timescales of $411{\pm}85$ days, $352{\pm}79$ days, $310{\pm}57$ days, and $283{\pm}55$ days at 22, 43, 86, and 129 GHz, respectively. Assuming synchrotron cooling, a cooling time of around one year is consistent with magnetic field strengths $B{\sim}2{\mu}T$ and electron Lorentz factors ${\gamma}$ ~ 10 000. Taking into account that our formal measurement errors include intrinsic variability and thus over-estimate the statistical uncertainties, we find that the decay timescale ${\tau}$ scales with frequency ${\nu}$ like ${\tau}{\propto}{\nu}^{-0.2}$. This relation is much shallower than the one expected from opacity effects (core shift), but in agreement with the (sub-)mm radio core being a standing recollimation shock. We do not find convincing radio flux counterparts to the ${\gamma}$-ray outbursts. The spectral evolution is consistent with the 'generalized shock model' of Valtaoja et al. (1992). A temporary increase in the core opacity and the emergence of a knot around the time of the second ${\gamma}$-ray event indicate that this ${\gamma}$-ray outburst might be an 'orphan' flare powered by the 'ring of fire' mech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