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gamsa Templ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정암사 수마노탑의 유래와 양식적 특성 (A Study on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Jeongamsa Sumano Stupa)

  • 천득염;정지윤;한승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5호
    • /
    • pp.63-78
    • /
    • 2020
  • Jeongamsa Sumano Stupa(Korean National Treasure No. 332) is a brick like stone stupa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pa was built in the Later Silla period or in the early part of the Koryo period, considering its structure and style. This Buddhist stupa is highly significant in Korean Buddhism since it was built to enshrine Buddhist sarira reliquaries that 'Jajang' brought from China in the 7th century, according to the 『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三國遺事』』. However, the stupa was positioned at the very unique location. It was positioned not at the center of Jeongamsa Temple, but at the separate edifice. The location of Jeongamsa Sumano Stupa indicates that this stupa embodies the nature of Mahaparinirvana treasure palaces and that this stupa was recognized as a solemn symbol, which reflected a sarira faith. Jeongamsa Sumano Stupa is the only brick stone stupa built in Gangwon province. It is worth noticing that this stupa was mostly made of dolostones, found around this region, and thereby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in this stupa. The other interesting fact about Jeongamsa Sumano Stupa is that there are many records available which include information about stupa's reconstruction, considering that there aren't many records of other stupas. The most representative records are 5 pieces of memorial stones which include information about when and on what ground the stupa was reconstructed as well as information about originators of the stupa. In conclusion, Jeongamsa Sumano Stupar could be regarded as the academically valuable material since i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and helpful for understanding not only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stupas, but also so many other things such as construction techniques, styles of brick pagoda and brick stone stupa, and such.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의 손상현황과 보존처리연구 (Present Deterioration Situation and Study 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even-story Stone Pagoda of Jeongamsa Temple)

  • 황정은;김사덕;정희수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4호
    • /
    • pp.110-122
    • /
    • 2013
  •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의 부재는 탄산염암 중에서 돌로마이트이다. 이 탑은 전면에 걸쳐 백화에 의한 화학적 풍화가 진행되고 있고 기단부와 5층 이상의 옥개에서 부재간의 이격이 관찰되고 있다. 또한 부재 이격사이로 생물학적 풍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3,5,6,7층 옥개에서 이탈부재가 관찰된다. 건 습식세척으로 생물과 백화일부를 제거하고, 스팀세척으로 잔여백화를 제거하였으며 기단부의 녹흔은 옥살산을 사용한 습포법으로 제거하였다. 이탈부재는 L-30과 Por-rok을 사용하여 고정시켰고, 기단부와 5층 이상의 옥개상부는 Por-rok을 사용하여 방수처리 하였다. 시공 후 방수처리한 구간에서는 백화현상이 나타나는 정도가 미약한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방수효과와 동시에 백화저감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정암사 수마노탑 탑지석(塔誌石) 연구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the Sumanotap in Jeongamsa Temple)

  • 손신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116-133
    • /
    • 2014
  • 수마노탑 탑지석은 1석부터 5석까지 차례로 1719년, 1773년, 1874년, 1653년, 1874년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연호(年號)와 간지(干支)를 분석해본 결과, 제2석과 제4석 모두 1713년의 기록임을 알게 되었다. 동시기의 기록이 둘로 나눠진 것은, 중수대상을 탑신과 찰간으로 나누어 각기 소임을 맡은 이와 시주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수마노탑 탑지석 5매에는 모두 중수불사의 역할을 맡은 승려들의 이름은 물론이고 일반인 시주자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중 법호법명(法號法名)으로 기록된 제3석의 승려들 이름을 19세기 후반 불사 기록과 비교하여 12명의 동명(同名)을 파악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수마노탑 중수불사 전후로 강원도 서울 경상북도 사불산 일대와 경남 해인사 등지에서 활약했다는 사실은, 당대 불사의 경향과 수마노탑의 위상을 시사하고 있다. 1874년 탑 내에 봉안된 금은합 시주자인 김좌근은 청신녀양씨와 함께 기록되어, 수마노탑 시주자 중 유일하게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실재는 그의 애첩, 나합이라 불리던 나주 출신 기생 양씨가 그의 사망 이후 시주한 것이다. 영의정을 지낸 김좌근의 애첩이던 양씨가 왕과 왕비 왕대비 대비 부대부인 등이 대거 참여한 불사에 개인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더구나 1874년 수마노탑중수는 원자 즉 순종의 탄생 '백일'을 기념하기 위해 왕실에서 사적(私的)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할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탑지석에 기록된 10여 곳의 사찰 중 빈번히 등장하는 곳은 경북 봉화의 각화사와 강원도 영월 보덕사이다. 각화사는 사고사찰(史庫寺刹)로서 조정의 관리대상이었고, 보덕사는 단종 능의 원찰로서 왕실에서 돌보는 곳이었다. 따라서 이 두 사찰이 수마노탑 중수 불사에 참여했다는 기록은 이 두 사찰의 조력으로 수마노탑이 중수되었다는 점과 당시 수마노탑의 위상이 사고사찰이나 능침수호사찰 못지 않았음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