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g

검색결과 138,102건 처리시간 0.095초

고려후기 정몽주의 불교이해 (A Study on Jeong Mong-joo's Buddhist interpretation in the late Goryeo Dynasty)

  • 정성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59호
    • /
    • pp.241-260
    • /
    • 2018
  • 본고는 고려후기 유학자인 정몽주의 불교이해를 탐구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고려시대 불교는 오랜 기간 동안 사회적 순기능을 맡아왔다. 그러나 고려후기에 이르러서는 그것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점차적으로 신유학인 성리학이 수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불교로부터 유학으로 사상적 전환이 진행되었다. 정몽주의 학문세계는 사장학보다 유학의 기본경전에 기반하였다. 그는 유학의 기본경전 가운데 특히 "주역"에 조예가 깊었다. 그는 불교이해의 밑바탕으로서 "주역"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정몽주는 불교의 여러 경전을 통해 교리들을 접하였다. 그는 불교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승려와의 교유도 적지 않았다. 이런 까닭으로 정몽주는 불교와의 관계성을 무시할 수 없다. 한편으로는 불교를 이해하면서도 유학자로서 비판의식을 보이는 지불유자(知佛儒者)적 입장이 정몽주의 특징적 모습이라 하겠다.

"소문(素問).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의 기전화(氣轉化) 과정(過程)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Gi(氣) Conversion in "Somun(素問).Eumyang-eu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4
    • /
    • 2009
  • In this study, we try to solve some issues of Gi(氣) conversion in "Somun(素問) Eumyang-eungsangdaeron(陰陽應象大論)", through comparison of related annotations.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again review the cognition of movement and changes of Gi(氣),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in Oriental medicine, so to have a chance to criticize a view of the world in western science, excessively leaned to material viewpoint. In the process of Gi conversion, the creation of Jeong(精), one of the most essential elements, is the last goal, but physical element for example Mi(味, taste) or Hyeong(形, shape) could not be directly converted to Jeong(精) without Gihwa(氣化, vaporization) and circulation of Gi(氣). And who controls conversion to Jeong(精) is human spirit, that joins with Jeonggi(精氣), it has been kept in and come from Jeong(精). That spirit based on Jeong manages the whole process of Gi conver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