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traditional Doenjang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제주 전통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 오현정;임자훈;이주연;전시범;강혜영;오유성;오영주;임상빈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8-308
    • /
    • 2009
  • 제주도내 된장 가공업체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의 함량은 각각 37.33~47.43%, 11.06~14.28%, 0.08~0.53%, 12.75~15.97%로 나타났다. 된장제품의 pH는 4.82~5.12, 산가는 17.84~27.55 mg/g, 염도는 10.66~13.91%, 아미노산성 질소함량은 301.06~573.89 mg%을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은 유기산 중에서 lac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당 함량은 4.21~24.19 mg/g으로 전화당인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0.68~6.21 mg/g와 0.81~10.44 mg/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중에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의 비율이 61.54~66.79%로 높았다. 된장의 구성아미노산은 모두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시료간에 13.89~16.46%의 범위를 보였다. 제주 전통된장의 isoflavone의 함량은 274.87~451.49 mg/kg으로 시료간에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된장의 제조에 사용된 콩의 품종, 발효기간, 발효미생물, 제조방법 등에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주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 분비능이 우수한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Producing Extracellular Enzymes from Jeju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 오유성;박지은;오현정;김정현;오명철;오창경;오영주;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3
    • /
    • 2010
  • 제주 전통된장으로부터 세포외효소(protease, fibrinolytic enzyme, amylase, cellulase, lipase) 분비능이 우수한 세균을 분리한 후 16S rRNA 유전자 분석과 생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균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Protease 분비능은 JR14, JR19, JR25, JR32, JR38, JR47과 JR64가 표준균주인 Bacillus subtilis KCCM12027보다 활성이 높았다. Amylase 분비능은 JR6, JR25, JR38, JR56, JR81에서 나타난 반면 표준균주인 KCCM12027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Cellulase 분비능은 JR6, JR14, JR48과 JR65가 다른 분리균주 또는 표준균주보다 높았으며, lipase 분비능은 JR14와 JR48이 높았다. 혈전용해 활성은 positive control인 plasmin의 용해 영역에 비하여 JR19가 192%로 가장 높았고, hemolysis 활성도 높았다. 혈전용해능이 있는 균주인 JR19, JR32, JR47, JR64의 배양액을 zymography한 결과, 25~75 kDa 사이에서 4~5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두 Bacillus species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혈전용해능이 가장 우수한 JR19는 B. stratosphericus $41KF2a^T$와 거의 일치하였다.

장류가공사업 농가의 장류 생산실태에 관한 연구 (Actual Production Conditions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on the Level of Farmhouses)

  • 김은미;정금주;이승교;원향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89-98
    • /
    • 2003
  • To assess the actual status of businesses selling fermented soybean products, this study surveyed 130 Farmhouse style small size soybean sauce processing sites support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wide. The sex composition of the businesses representatives of 2% male and 98% female showed that a farmhouse soybean processing business is generally operated by rural women as a non-filming business. The percentage of co-worked sites was 71.2 and that of sites with permits was 39.2. The main products were meju, doenjang, and kanjang. Total production volume was found to be 523 tons, 256 tons, and 135 k$\ell$s, respectively.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of the manufacturers of the kanjang and doenjang was found to be 25.7 on average which shows that long-experienced, skilled manufacturers are participating in this project. The traditional measuring unit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region. This difference in the measuring unit of soybeans resulted in a larg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doenjang and kanjang produced Per Province. For one kg of raw soybeans, the weight of Doenjang produced also varied from 2.14 kg in the Gyeongbuk area to 1.62 kg in Jeju. In the aspect of salt use, 1.75 $\ell$ (translated by volumetric unit 0.704 due) of salt pet kg of meju, in Jeju, was the highest in Korea. Government supervision would be beneficial in the areas of raw material products, standardization of measuring units and production methods,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 conference for the different groups of producers, and in construction of a nationwide database.

  • PDF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Production in Korea

  • Ryu, So Young;Lee, Sang Yoo;Woo, So Young;Kang, Seung Yoon;Song, Jeonghun;Jeong, A-Yeong;Chun, Hyang Soo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production. Nine hundred forty-three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 nationwide, questionnaire-based survey (2018-2019) with non-probabilistic snowballing samp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pondents were primarily over the age of 50 years (97.1%) and female (97.9%). In addition to soybeans, the most used ingredients were red pepper (85.8%) and charcoal (85.5%), which most respondents obtained through direct farming (50.4-59.9%). Seasonal production occurred later in the higher latitude regions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p < 0.01), which have lower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r in the lower latitude regions (Jeolla-do, Gyeongsang-do, Jeju-do) (p < 0.01), which have higher ave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eason when doenjang was made, with most production occurring during January and February (81.1%). Most respondents (71.3%) made doenjang using homemade meju (soybean block used as a starter) in a traditional way to allow the microorganisms to be naturally inocul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opics such as starter development, standardized production, and safety of household doenjang.

한국전통발효식품 - 유익미생물의 잠재적인 자원과 응용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A Potential Resour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Their Applications)

  • 숩라마니얀 다라니다란;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6-502
    • /
    • 2016
  • 본 논문은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잠재적 기원으로서의 중요성으로 한국 발효식품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소비되고 있는 발표식품들은 여러 물질들을 기반으로 나눌 수 있다. 김치, 메주, 된장, 간장, 젓갈, 막걸리와 같은 발표식품은 중요한 약리적인 성질들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발효 식품들은 지역 주민들에게 규칙적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이들 발효식품들은 Weissella spp.,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 Mucor, Penicillium, Scopulariopsis, Aspergillus, Rhodotorula, Candida, Saccharomyces, Bacillus와 유산균을 포함한 다양한 유익 미생물을 기반으로 만들어 진다. 발효식품들은 음식으로서의 이용가치의 경계를 넘어서 약리적인 식품으로써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까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발효식품은 잠재적 항산화, 항암, 항콜레스테롤, 항당뇨, 항노화의 물질이 풍부한 기원으로 여기고 있다. 전반적으로 전통발효 식품은 식품공급원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을 높여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여러 다양한 발효식품이 식이에 대한 효과가 과학적 보고들이 많이 출판되었고 전통발효식품이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에 대한 인식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영역에서 현재 많은 보고서가 있다. 식품미생물학자가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발효식품의 탐험과 신종균주의 분리, 미생물연구에 잠재적 응용가치를 높일 수 있다.

제주 재래식된장의 생리적 특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Jeju Traditional Doenjang)

  • 황준호;오유성;임자훈;박지은;김미보;윤훈석;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56-1663
    • /
    • 2009
  • 곰취(Ligularia fischeri, GC), 고추잎(Capsicum annuum L., GCY), 취나물(Aster scaber, CNM), 머위대(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 MYD) 및 고구마순(Ipomoea batatas L. (Lam), GGM)과 같은 산채들의 물 추출물의 항산화능력을 평가하고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과 비교하였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물 추출물들의 항산화력 측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작용,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과 같은 방법에 의해 알아보았다. 산채 물 추출물은 그들의 동결건조 물 추출물보다 총 페놀함량이 더 높았다.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추출물들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471.66{\pm}3.52\;{\mu}g/mg,\;141.33{\pm}2.51\;{\mu}g/mg,\;177.33{\pm}2.88\;{\mu}g/mg,\;238.66{\pm}9.50\;\mu}g/mg\;그리고\;122.67{\pm}3.51\;{\mu}g/mg$이었다. 1000 ppm GC, GCY, CNM 그리고 GGM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그들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보다 더 높았고, 1000 ppm CNM, GC, GCY, MYD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작용은 각각 90.9%, 89.9%, 76.6%, 71.1% 그리고 57.4%였다. 10000 ppm GC, GCY, CNM, MYD 그리고 GGM 물 추출물들은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각각 38.8%, 33.4%, 35.9%, 34.3% 그리고 33.8%까지 증가시켰고, GCY, CNM 그리고 GGM의 물 추출물은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GC와 MYD의 물 추출물이이들 동결건조 블록들의 물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산채 물 추출물들과 이들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들은 실험된 모든 농도에서 DPPH radical 소거작용 및 hydroxyl radical 소거작용을 나타내었다.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은 현저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GC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그것의 동결건조 블록 물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작용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동결건조블록이 산채와 비교하여 산채가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