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pnese colonial er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한방의약계(漢方醫藥界)』 제2호 '사진삽입(寫眞揷入)'에 소개된 한의사들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Medicine Doctors introduced in 'Photo Insert' of 『HanBangEuiYakGye』 No.2)

  • 김남일;국수호;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9-99
    • /
    • 2022
  • The figures listed under the title of 'Photo Insert' in 『HanBangEuiYakGye』 No.2 are all those who were engaged in East Asian medicine, but they can b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depending on the areas in which they were more focused. First, he served as a royal physician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or was an oriental medical doctor with outstanding medical skills during the family service. Second, he is an East Asian medicine doctor who established a school for Korean medicine education or conducted various academic activities. Third, he is an East Asian medical doctor who worked hard to lead a group of East Asian medical doctors by organizing Korean medical doctors. Looking at the reality of the oppression of ethnic medicine commit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hey continued to seek a way to live in national medicine, which played a major role in continuing the existence of Korean medicine without destroying i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13 Korean medical doctors introduced in the "Photo Insertion" and examined the activit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East Asian medical doctors.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일곽의 화계(花階) 조성과 변화 양상 (A Study on Creation of Terraced Flower Beds and Aspect of Change in the Seunghwaru Area, Changdeokgung Palace)

  • 오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5-25
    • /
    • 2022
  • 본 연구는 창덕궁 승화루(承華樓) 남측 공간에 위치한 화계(花階)의 조성 경위를 탐색하고, 화계 조성 전후의 실상을 파악하여 향후 내전(內殿) 지역의 복원정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대 초반 승화루 남측 공간은 낙선재(樂善齋) 일곽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지대(地帶)를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북고남저지형을 따라 행각으로 위요된 마당, 낙선재 서행각(西行閣)과 연결되는 장방형 공지(空地)가 조성되어 있었다. 특히 장방형 공지는 일정 간격으로 장대석 석렬을 배치한 계단형 경사지였다. 둘째, 승화루 화계는 1920년대 후반에 시행된 낙선재 서행각의 신관(新館) 개축공사로부터 비롯되었다. 신관 건립 과정에서 건축 및 부대공간 조성에 필요한 가용지(可用地)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승화루 남측 공간의 원지형을 절토한 이후 절개지를 따라 지형처리 목적의 화계가 조성되었다. 셋째, 화계 조성 이후 승화루 남측 공간의 지형지물에 많은 변형이 발생하였다. 승화루의 앞마당은 낙선재 일곽보다 고지대에 자리하고 있었지만, 화계가 조성되는 과정에서 대부분 절토되어 사라졌다. 계단형 경사지 역시 신관 건축과 화계 조성 이후 자취를 감추었다. 화계의 선형을 따라 승화루 기단과 담장이 새롭게 조성되었으며, 독특한 양식의 협문과 부속 계단도 신설 담장으로 이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