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red pin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3초

Fungi Colonizing Sapwood of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 Kim, Jae-Jin;Ra, Jong-Bum;Son, Dae-Sun;Kim, Gyu-Hyeok
    • Mycobiology
    • /
    • 제29권4호
    • /
    • pp.205-209
    • /
    • 2001
  • The Korean sawmills have recent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of fungal discoloration due to increased losses in revenue. Before establishing integrated control strategies of fungal discoloration, more complete knowledge about causal organisms is needed. As a first step, we initiated a through survey of fungi colonizing commercially important softwood(Pinus dens flora, Pinus koraiensis, and Pinus radiata) logs and lumber in Korea. In this paper we report results obtained from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log study. In summer 2000, fungi were isolated from Japanese red pine logs in storage, and identified based on their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 total of 595 fungi were isolated, representing 21 genera and 30 species. Mold fungi, mostly Trichoderma species, were the most frequently isolating fungi, representing more than half of all isolates. Dematiaceous fungi represented approximately one fifth of the isolates, and Rhinocladiella atorvirens was the most abundant in all samples. Opiostoma species represented 7% of all isolates from cores planted on malt extract agar(MEA) and the incidence of these species doubled with the addition of streptomycin and cycloheximide to MEA. The results indicate that Japanese red pine sapwood is susceptible to colonization by a variety of fungal species. As a result, control strategies that concentrate on one fungus may have limited success because of interference from competing flora.

  • PDF

국산 침엽수 철물접합부의 인장하중 특성 (Tensile Properties of Metal Plate Connector in Domestic Softwood Lumber)

  • 심국보;박정환;이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5호
    • /
    • pp.96-103
    • /
    • 2003
  • 국산 주요 침엽수재인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의 철물접합부 인장하중 특성 구명을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철물 접합부의 최대 인장하중은 AA형의 경우 소나무가 3,612 kgf로 낙엽송, 잣나무에 비해 각각 1.2배, 1.7배, EA형의 경우 2,704 kgf로 1.1배, 1.5배 우수하였다. 또한 AA형은 EA형에 비해 3 수종 모두 약 1.2배 이상 높은 인장하중을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의 파괴모드는 주로 이의 빠짐, 철물의 인장파괴와 목재의 전단파괴로 이루어지며, 특히 소나무 접합부는 철물의 인장파괴를 나타내었다. 철물접합부재의 인장하중-변위 특성은 Foschi 모형으로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었으며, 철물접합부의 초기강성은 소나무 접합부재가 높게 나타났다. 국산 침엽수재의 철물접합부에 대한 설계하중은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AA형의 경우 이당 설계하중이 소나무 25 kgf, 낙엽송 22 kgf, 잣나무 15 kgf이었으며, EA형의 경우 소나무 19 kgf, 낙엽송 17 kgf, 잣나무 13 kgf 이었다.

남산과 광릉지역 소나무림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과 토양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Fertilizers on Was Content, Contact Angle, Mineral Nutrient Content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and Soil Acidity of Japanese Red Pine Communities in Na)

  • 최기영;이용범;조영렬;이경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55-262
    • /
    • 1996
  • 다양하고 복잡한 환경요인에 의해 발생된 산림쇠퇴에 대한 회복책의 하나로 1990년 1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3년에 걸쳐 서울시 중심에 위치한 남산과 광릉지역의 소나무 우점종인 군집에 석회, 마그네슘, 석회+마그네슘+ 복합비료를 시용한 후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접촉각 및 무기양이온 함량, 토양의 산도를 분석하여 시비처리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산, 광릉지역 소나무잎의 왁스함량 및 접촉각값은 토양시비에 따라 증가하였고, 엽령이 증가함에 따라 접촉각값은 작아졌다. 2. 소나무잎의 K, Ca 함량은 남산에서 높았으나, Mg 함량은 광릉지역에서 높았다. 소나무잎의 K, Mg 함량은 남산과 광릉 모두 시비가 계속됨에 따라 증가하여 시비의 효과가 나타났다. 3. 토양산도는 남산지역이 pH 4.2$\sim$4.3, 광릉지역이 pH 4.6$\sim$4.9이였고, 토양시비처리에 따른 토양 산도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토양시비처리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시비구에 비하여 시비처리구의 토양 pH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서 변재변색 발생 (Development of Fungal Sapstain in Logs of Japanese Red Pine and Korean Pine)

  • 김규혁;김재진;나종범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28-133
    • /
    • 2002
  • 본 연구는 동절기(1월 중순)에 벌채된 후 목재집하장으로 운반되어 야적장에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을 대상으로 변재변색의 발생시기와 변색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벌채 후 3, 4, 5, 6, 8개월 경과시 변색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매 평가시 원목 3개를 임의로 선정하여 원목당 수축방향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7~9개의 두께 3 cm 원판을 채취하여 변색 원인균을 분리한 후 변재변색의 방사방향 최대 침투깊이와 % 변색율을 측정하였다. 변재변색은 전적으로 충형변색이었으며, 주요 변색원인균인 Ophiostomatoid 균을 매개하는 수피천공충은 소나무좀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은 5월 이전까지는 변재변색의 위험없이 저목할 수 있으나 5월 이후부터는 원목의 변재변색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변색의 정도는 소나무보다 잣나무에서 심하였으며, 장마철 저목 중에 소나무 원목에서 개떡버섯과 치마버섯의 자실체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앞으로 동절기에 벌채되어 저목 중인 소나무와 잣나무 원목에 발생하는 변재변색을 예방하기 위한 제반 조치를 취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변재부에서 CCA와 CCFZ의 정착특성 (Fixation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in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Sapwood)

  • 김규혁;김형준;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52-59
    • /
    • 2001
  • 본 연구는 양생방법과 양생온도에 따른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변재부에서 CCA와 CCFZ의 정착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부제 유효성분의 정착 정도는 6가크롬의 3가크롬으로 환원율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종, 방부제, 양생방법, 양생온도의 조합별 적정 양생기간을 예측하였다. 양생방법에 관계없이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방부제 유효성분들의 정착이 크게 가속되었으며, 건조양생에 비하여 비건조양생시 정착이 빨리 진행되었다. 수종간의 양생속도는 양생방법과 방부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소나무>낙엽송>북양가문비나무 순으로 빨랐고, 소나무를 대상으로 비교한 방부제간의 정착속도는 CCA 2호>CCA 3호>CCFZ의 순이었다. 양생방법에 관계없이 양생온도와 양생 소요기간간의 상관이 매우 우수하여 처리재 양생장소의 대기온도에 의해 수종과 방부제의 조합별 적정 양생기간을 거의 완벽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난연처리된 소나무와 잣나무의 연소특성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re Retardant Treated Pinus Densiflora and Pinus Koraiensis)

  • 최정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244-25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잣나무(Pinus Koraensis)에 대한 연소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 수종은 한옥의 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체적밀도는 소나무가 잣나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고 있다. 목재의 연소특성은 해당 수종의 체적밀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방염성능에 있어서는 뚜렷한 차이를 확인하기는 어려웠지만 콘칼로리미터 시험방법에 있어서는 총 방출열량, 평균 열방출률 비교를 통하여 목재 수종의 체적밀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CO/$CO_2$의 비로부터 알 수 있는 연소가스의 유해성은 난연처리에 의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주가공재의 CCA 가압처리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Round Posts with CCA)

  • 김규혁;김재진;김형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42-47
    • /
    • 2000
  • 본 연구는 CCA 2호를 이용한 소나무, 낙엽송, 북양가문비나무 원추가공재의 가압 방부처리시 처리변수가 처리도(방부제의 침투깊이와 보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처리변수로는 전배기 시간(30, 45, 또는 60분)과 최대 가압력 (8.5, 10.5, 또는 14.0 kg/$cm^2$)이 조사되었으며, 가압은 목재 내로 방부제가 더 이상 주입되지 않는 refusal point까지 지속되었다. 수종에 관계없이 전배기 시간의 30분 이상 연장은 처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가압력의 증가는 방부제 침투깊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보유량에는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볼 때, 방부제의 침투깊이는 소나무>북양가문비나무${\geq}$낙엽송의 순이었는데 변재폭이 넓은 소나무는 적용된 압력에 관계없이 사용환경구분 H5 지역에 사용할 수 있는 CCA 처리재의 최소 방부제 침투깊이를 만족하였다. 그러나 변재폭이 좁은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는 방부제 침투깊이가 깊지 않아 자상처리 등 처리도 개선을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였다. 소나무의 보유량은 가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난주입수종인 낙엽송과 북양가문비나무의 경우 가압력 14.0 kg/$cm^2$ 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는 보유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방부제의 목재내 침투가 종료되는 시점인 refusal point에 대한 처리조건의 영향은 불분명하였으나, 가압 소요시간은 북양가문비나무>낙엽송>소나무 순으로 변재율이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가압 소요시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Treated Domestic Softwood Species

  • Kim, Jae-Jin;Kim, Hyung-Jun;Ra, Jong-Bum;Chun, Su Kyoung;Kim, Gyu-Hyeo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6호
    • /
    • pp.55-59
    • /
    • 2003
  • The fixa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Type C) and chromium- copper-fluoride-zinc (CCFZ) in domestic softwood (Japanese red pine, Korean pine, and Japanese larch) sapwood were investigated using the expressate method to follow chromium fixation and the American Wood-Preservers' Association (AWPA) leaching procedure to determine leaching properties after fixation. The rates of fixation were affected by preservative types; CCA was fixed much faster than CCFZ for all species evaluated. There were definite differences in the fixation rates of different species, with Korean pine requiring shorter to fix than the other species evaluated. Chromium fixation was greatly enhanced by elevated temperatures, and fixation time can be estimated according to fixation temperatures applied. The percentage of arsenic and zinc leached from domestic softwood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chromium and copper, indicating that there is still a relatively high unfixed arsenic and zinc components after complete chromium fixation in CCA-and CCFZ-treated samples, respectively.

Dimensional Stability and Bending Properties of Small Diameter Log Treated by Sap-displacement Method

  • Lee, Jun-Jae;Koo, Ja-Il;Chun, Su-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4호
    • /
    • pp.61-71
    • /
    • 2000
  • The effect of the treatment with CCFZ, FR-4, and PEG400 from butt end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and bending properties was examined. Three softwood species such as red pine, Korean white pine and Japanese larch and three hardwood species such as poplar, alder and oak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Shrinkage of red pine, Korean white pine, poplar, and alder treated with PEG400 de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ecrease of shrinkage in Japanese larch and oak. The decrease of shrinkage when moisture content changed from about 20% to 10% was larger than that at any other phase. In regard to the effect of treatment on bending properties, bending MOE and MOR of all specimens treated with PEG400 decreased significantly. Especially in the case of red pine, poplar, and alder treated with PEG400, bending MOR reduced 9%, 14%, and 12%, respectively. Reductions of MOR of the hardwood was also much larger than that of the softwood. However, in all species, treatment with CCFZ and FR-4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bending MOE and MOR significantly. Comparing the large specimen which also included heartwood with the small specimen which included only treated sapwoo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hange of bending MOE and MOR between them. The large specimens of Korean white pine, alder and Poplar, which had a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sapwood(18~22%), showed the decrease of MOR by 11~13% more than that of small specimens, whil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oak, which had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of sapwood(35~40%), showed little decrease. It means that bending MOE and MOR of structural wood treated from butt end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sapwood proportion as well as effect of treated chemicals.

  • PDF

단판 적층성형 학생용 책상.의자의 제조적성 (Feasibility of Manufacturing Desk and Chair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 서진석;박종영;한기만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9-65
    • /
    • 2005
  • As physical condition of students improves, there is a need to develop human body-friendly desk and chair for students. In this study, desks and chairs were manufactured with curved veneer lamination under high frequency heating and pressing, using ten wood species such as Japanese red pine, Korean pine, pitch pine, Japanese larch, yellow poplar, black locust, oak, radiata pine, beech, and birch. The performance of these products were evaluat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high frequency heating, the turned lamination of veneers with full size sheet ($3{\times}6\;feet$) prepared by rotary lathe peeling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making the members of desk top, leg frames of desk and chair. Bending strengths of desk tops were relatively greater for yellow poplar, black locust and red pine,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beech and birch. Bending strengths of desk legs were classified into greater species group (red pine, yellow poplar, larch) and lower species group (radiata pine, Korean pine, pitch pine). Compressive strengths of chair legs in parallel direction to the lamination were greater in black locust and larch. On the other hand, differences between outer and inner gap at the top and drawer bottom of desk top were rather larger for the laminations of birch and beech, and less for those of yellow poplar and pitch pine, showing greater stability of open drawer space. In results, yellow poplar, larch, pitch pine and red pine showed good appearance and strength properties at the curved veneer lamination. Accordingly, it was believed that these domestic woods were able to substitute for birch which was being imported for the use of veneer-laminates type furni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