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gryu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장류산업의 현황과 향후 발전 방안 (Current status of the Jangryu industry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 나혜진;조성호;정도연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3권2호
    • /
    • pp.183-199
    • /
    • 2020
  • Traditional food is the basis of Korean food, but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Japanese soybean fermented product making method became standardization process of Korean soybean fermented product as a factory type. As a result, traditional fermented food was pushed behind the industrialization. At present, there is anxiety in the development of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 industry due to the gap in management level between the manufacturers, the decrease in consumption of Jangryu due to changes in dietary life, and the negative image as high salt food.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lead continuous growth, governmental industrial development policies such as traditional liquor and Kimchi are inevitably needed. By lay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making good use of it in industry, it will be the foundation for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market where fierce competition is accelerated.

국내에서 분리된 황국균을 활용한 된장 제조 및 특성 분석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oenjang made with Aspergillus oryzae Strains Isolated in Korea)

  • 이록경;조한나;신미진;양진화;김은성;김형회;조성호;이지영;박영수;조용식;이정미;김현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0-47
    • /
    • 2016
  • 국내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prote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 SCF-6, SCF-37, 그리고 JJSF-1 균주를 선발하여 된장을 각각 제조하고 60일간 숙성하면서 품질을 비교 평가하였다. 60일 숙성 동안 수분 염도 및 pH는 시료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된장의 숙성지표가 되는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숙성 경과에 따라 증가하여 60일 숙성 후 SCF-6을 활용하여 제조한 된장이 971.6 mg%로 다른 시료보다 높았으며, 유리아미노산 함량도 상대적으로 높은 8,064.9 mg%이었다. SCF-6과 37로 제조한 된장은 60일 숙성 후 GABA 함량이 각각 61.3과 53.7 mg%로 측정되었다. 색도는 숙성 경과에 따라 명도와 황색도는 점차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점차 증가하였다. 아플라톡신은 모든 된장에서 불검출 되었고, 바이오제닉 아민 중 histamine 함량은 2.55-5.60 mg/kg 그리고 tyramine은 3.70-5.87 mg/kg으로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본 결과로 A. oryzae SCF-6은 장류 제조의 종균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개량식 간장의 발효 초기 단계에서의 미생물 다양성 및 천이에 관한 연구 (Diversity and Succession of the Bacterial Community during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in Modernized Soy Sauce (Ganjang))

  • 정호진;하광수;이정미;송예지;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1-489
    • /
    • 2023
  • 콩을 주원료로 발효하여 제조되는 조미료인 간장의 맛과 품질은 발효 중 미생물의 대사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량식 간장의 초기 발효과정에서 미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원 보유 미생물을 스타터로 활용한 메주와 염수를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하였으며, 5주간의 발효과정에서 발효 1주차, 3주차, 5주차 간장 시료의 16S rRNA 유전자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에서는 Halomonadaceae과 미생물이 89.83%를 차지하였으며, 3주차 간장과 5주차 간장에서는 각각 14.46%, 13.78%로 나타나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 수준에서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에서는 Chromohalobacter beijerinckii와 Chromohalobacter canadensis가 가장 우점하는 미생물로 나타났으나, 발효 3주차와 5주차 간장에서는 Bacillus subtilis, Pediococcus acidilactici, Enterococcus faecalis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효과정 중 우점 미생물의 분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hromohalobacter는 Bacillus, Enterococcus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Beta-diversity 분석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은 발효 3주차, 5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효 3주차 간장과 5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 발효기간별 바이오 마커를 분석하기 위해 선형 판별 효과 크기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염성 미생물, Bacillus 속 미생물, 유산균의 상대적인 풍부도가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cereus가 선택적으로 제거된 볏짚유래 스타터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 및 품질특성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Starter Derived from Rice Straw Removed Bacillus cereus Selectively)

  • 이은실;송예지;김광표;임은정;정도연;조성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7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eonggukjang produced using rice straw-derived Bacillus cereus free starter culture (RiBS1). The Cheonggukjang was prepared in 0.1 and 1.0% inoculum concentrations of starter culture and fermented from 12 hr to 72 hr at 40 and $50^{\circ}C$. Amino-nitrogen contents after 48 hr fermentation were 559.6~590.2 mg% and 393.8~494.0 mg% at 40 and $50^{\circ}C$, respectively.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RiBS1 starter for 48 hr at $50^{\circ}C$ was better than the control. And we inspected on B. cereus and biogenic amine in the Cheonggukjang produced using RiBS1 starter. As a results, B. cereus was not detected and histamine and tyramine of biogenic amine were $5.53{\pm}0.13{\sim}39.96{\pm}0.62mg/kg$.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rice straw-derived B. cereus free starter culture (RiBS1) will be produce the Cheonggukjang with good flavour and tas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