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SS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검색결과 864건 처리시간 0.024초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가능한 정신모형 (THE STRUCTURES AND POSSIBLE SOURC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MENTAL MODELS ABOUT MOON PHASES)

  • 오준영;강용희;유계화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3호
    • /
    • pp.311-328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정신모형과 그 모형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교사는 교육대 학교 1학년(22명)과 2학년(21명) 학생이다. 자료 수집은 지필 검사와 개별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예비 초등 교사들은 달의 위상변화에 대한 설명들이 과학적 모형과는 다른 합성 정신모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리기 이론'이 그들의 정신 모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갖는 천문현상의 합성 정신모형의 구조와 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들의 정신 모형들을 형성하는 틀 이론과 특정 이론을 집중적으로 탐색하였다.

전리층 전기전도도의 추정과 관련된 불확실성 (UNCERTAINTIES INVOLVED IN THE IONOSPHERIC CONDUCTIVITY ESTIMATION)

  • 곽영실;안병호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4호
    • /
    • pp.243-254
    • /
    • 2002
  • Sondrestrom 비간섭 산란 레이더로부터 구한 전자밀도분포를 이용하여, 전리층의 전기전도도를 추정할때 야기되는 불확실성들을 검토하였다. 첫째, 실제로 관측된 전자밀도와 전자와 양이온의 온도차이 및 Debye length효과를 보정한 전자밀도를 사용했을 경우에 야기되는 전리층 전기전도도의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보정한 전자밀도로부터 추정된 전기전도도는 실측 전자밀도를 사용했을 때 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다. 둘째, 전기전도도 추정에 이용되는 전자-중성대기 및 양이 온-중성대기의 충돌빈도모델에 따른 차이점도 비교해 보았다. 약 110km 이하의 고도에서는 전기전도도가 충돌빈도모델에 크게 의존하지 않았지만, 약 110km 이상의 고도에서는 이용된 모델에 따라 전기전도도의 값이 달랐다. 셋째, 전자 및 양이온의 부정확한 온도측정이 전기전도도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전자 및 양이온의 온도측정에 약 10% 이내의 오차가 포함된 경우가 전기전도도의 계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고도 적분된 전기전도도의 추정시 적용되는 적분 구간에 대해서도 검토해 본 결과, Hall 및 Pedersen 전기전도도의 값이 각각 하부 및 상부 적분 고도의 선택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Observations of the Aurora by Visible All-Sky Camera at Jang Bogo Station, Antarctica

  • Jee, Geonhwa;Ham, Young-Bae;Choi, Yoonseung;Kim, Eunsol;Lee, Changsup;Kwon, Hyuckjin;Trondsen, Trond S.;Kim, Ji Eun;Kim, Jeong-Ha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8권4호
    • /
    • pp.203-215
    • /
    • 2021
  • The auroral observation has been started at Jang Bogo Station (JBS), Antarctica by using a visible All-sky camera (v-ASC) in 2018 to routinely monitor the aurora in association with the simultaneous observations of the ionosphere, thermosphere and magnetosphere at the station. In this article, the auroral observations are introduced with the analysis procedure to recognize the aurora from the v-ASC image data and to compute the auroral occurrences and the initial results on their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are presented. The auroral occurrences are mostly confined to the northern horizon in the evening sector and extend to the zenith from the northwest to cover almost the entire sky disk over JBS at around 08 MLT (magnetic local time; 03 LT) and then retract to the northeast in the morning sector. At near the magnetic local noon, the occurrences are horizontal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sky disk, which shows the auroral occurrences in the cusp region. The results of the auroral occurrences indicate that JBS is located most of the time in the polar cap near the poleward boundary of the auroral oval in the nightside and approaches closer to the oval in the morning sector. At around 08 MLT (03 LT), JBS is located within the auroral oval and then moves away from it, finally being located in the cusp region at the magnetic local noon, which indicates that the location of JBS turns out to be ideal to investigate the variabilities of the poleward boundary of the auroral oval from long-term observations of the auroral occurrences. The future plan for the ground auroral observations near JBS is presented.

Frequency of Solar Spotless Days and Flare Index as Indices of Solar Cycle Activity

  • Oh, Suye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145-148
    • /
    • 2014
  • There was a research on the prolongation of solar cycle 23 by the solar cyclic variation of solar, interplanetary geomagnetic parameters by Oh & Kim (2013). They also suggested that the sunspot number cannot typically explain the variation of total solar irradiance any more. Instead of the sunspot number, a new index is introduced to explain the degree of solar activity. We have analyzed the frequency of sunspot appearance, the length of solar cycle, and the rise time to a solar maximum as the characteristics of solar cycle. Then, we have examined the predictability of solar activity by the characteristics of preceding solar cycle.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hemispheric variation of flare index for the periods that the leading sunspot has the same magnetic polar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preceding solar cycle and spotless days. When the length of preceding solar cycle gets longer, the spotless days increase. It is also shown that the shorter rise time to a solar maximum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sunspots at a solar maximum. Therefor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spotless days and the length of solar cycle are more significant than the general sunspot number as an index of declining solar activity. Additionally, the activity of flares leads in the northern hemisphere and is stronger in the hemisphere with leading sunspots in positive polarity than in the hemisphere with leading sunspots in negative polar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magnetic polarity's effect on the flares and to interpret the period from the solar maximum to solar maximum as the definition of solar cycle.

통신해양기상위성 데이터 송수신 서브시스템의 구축 및 시험 (COMS DATS Implementation and Test)

  • 박덕종;김수진;안상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4호
    • /
    • pp.459-470
    • /
    • 2008
  • DATS는 IDACS시스템을 구성하는 3개의 서브시스템중의 하나로써 통신해양기상위성과의 RF통신링크를 통해 L-대역의 Sensor Data, LRIT, HRIT의 수신 및 S-대역 LRIT, HRIT의 송신을 담당한다. 이 논문에는 DATS의 구축 후 위성과의 접속에 필요한 기능 및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 구성이 제안되어 있고 실제 수행된 결과들이 정리되어 있다. 우선 성능 확인을 위해 태양을 이용하여 G/T 및 EIRP를 측정하였고 요구되는 사양이 만족됨을 확인하였다. 기능 확인을 위해 RF loop-back test를 수행하여 DATS내부에서 MODEM/BB의 implementation loss외에는 BER열화 요인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13m 안테나와 연동하여 일본의 기상위성인 MTSAT-1R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인 LRIT와 HRIT를 수신 받아 영상을 복원함으로써 L-대역의 수신기능을 검증하였다. S-대역 송신 기능은 13m 안테나의 외부에 시험용 안테나를 설치하고 이로부터 S-대역 LRIT와 HRIT의 스펙트럼을 획득함으로써 확인하였다. 수행된 시험결과를 통해 DATS는 발사 후 L-대역과 S-대역을 통해 위성과 통신을 함에 있어 필요한 기능 및 성능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ECTRICAL GROUND SUPPORT EQUIPMENT (EGSE) DESIGN FOR SMALL SATELLITE

  • Park, Jong-Oh;Choi, Jong-Yoen;Lim, Seong-Bin;Kwon, Jae-Wook;Youn, Young-Su;Chun, Yong-Sik;Lee, Sang-Seol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215-224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EGSE design for the small satellite such like KOMPSAT-2 satellite. Recent design trend of small satellite and EGSE is to take short development time and less cost. For this purpose, the design for KOMPSAT-2 satellite and EGSE are not much modified from KOMPSAT-1 heritage. It means that it is able to be accommodated the verified hardware and software modules used in KOMPSAT-1 satellite program if possible. The objective of EGSE is to provide hardware and software for efficient electrical testing of integrated KOMPSAT-2 satellite in three general categories. (1) Simulators for ground testing (e.g. solar-simulation power, earth scenes, horizons and sun sensor). (2) Ground station type satellite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test sets. (3) Overall control of satellite using hardline datum. In KOMPSA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program, KOMPSAT-2 EGSE was developed to support satellite integration and test activities. The KOMPSAT-2 EGSE was designed in parallel with satellite design. Consequently, the KOMPSAT-2 EGSE was based on the KOMPSAT-1 heritage since the spacecraft design followed the heritage. The KOMPSAT-2 baseline was elaborated by taking advantage of experience from KOMPSAT-1 program. The EGSE of KOMPSAT-2 design concept is generic modular design with preference in part selection with commercial off-the-shelf which were proven from KOMPSAT-1 programs, flexible/user friendly operational environment (graphical interface preferred), minimized new design and self test capability.

통신해양기상위성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의 감시 및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COMS DATS C&M S/W)

  • 김수진;박덕종;구인회;안상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6권1호
    • /
    • pp.127-140
    • /
    • 2009
  • COMS DATS C&M 소프트웨어는 통신해양기상위성(CONS)의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에 대하여 상대감시 및 원격조정기능을 제공하는 통합관리시스템이다. DATS C&M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관리 모듈, 감시 및 제어 모들, 데이터 관리 모듈, 그리고 상태 데이터 분석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감시 및 제어 모듈은 위성운영센터가 기상위성센터의 백업 시스템으로 송수신자료전처리시스템을 운영하도록 결정됨에 따라 동일만 두 시스템의 동기화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DATS C&M 소프트웨어의 설계, 구현, 그리고 개발 결과에 대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상대론적 전자 이벤트와 자기 부폭풍 및 자기 부폭풍 사이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RELATIVISTIC ELECTRON EVENTS, MAGNETIC STORMS, AND MAGNETIC SUBSTORMS)

  • 황정아;이대영;이은상;민경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43-5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수 MeV 이상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들(electrons)의 비정상적인 증가 현상 즉 Relativistic Electron Events(REE)와 자기 폭풍(magnetic storm) 및 자기 부폭풍(magnetic substorm) 사이의 상관 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1996-1998년의 3년 동안 일어났던 자기 폭풍을 조사하여 REE를 동반하는 자기 폭풍과 동반하지 않는 자기 폭풍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두 그룹 각각의 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한 자기 부폭풍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수십에서 수백 keV 에너지대의 고에너지 입자 수 증가(energetic particle injection) 현상과 자기장 쌍극자화(magnetic dipolarization) 현상을 분석한 결과, REE를 동반하는 자기 폭풍 동안에 발생한 자기 부폭풍이, REE를 동반하지 않는 자기 폭풍이 일어나는 동안 발생한 자기 부폭풍보다 더 강하게 나타난다.

Energy Balance and Power Performance Analysis for Satellite in Low Earth Orbit

  • Jang, Sung-Soo;Kim, Sung-Hoon;Lee, Sang-Ryool;Choi, Jae-Ho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253-262
    • /
    • 2010
  • The electrical power system (EPS) of Korean satellites in low-earth-orbit is designed to achieve energy balance based on a one-orbit mission scenario. This means that the battery has to be fully charged at the end of a one-orbit mission. To provide the maximum solar array (SA) power generation, the peak power tracking (PPT)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a spacecraft power system. The PPT is operated by a software algorithm, which tracks the peak power of the SA and ensures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in one orbit. The EPS should be designed to avoid the stress of electronics in order to handle the main bus power from the SA power.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energy balance to achieve optimal power sizing and the actual trend analysis of EPS performance in orbit. It describes the results of required power for the satellite operation in the worst power conditions at the end-of-life, the methods and input data used in the energy balance, and the case study of energy balance analyses for the normal operation in orbit. Both 10:35 AM and 10:50 AM crossing times are considered, so the power performance in each case is analyzed with the satellite roll maneuver according to the payload operation concept. In addition, the data transmission to the Korea Ground Station during eclipse is investigated at the local-time-ascending-node of 11:00 AM to assess the greatest battery depth-of-discharge in normal operation.

웨이블렛을 이용한 ∈ AURIGAE SYSTEM 주성 F별의 주기분석 (PERIOD ANALYSIS FOR THE F COMPONENT OF THE ∈ AURIGAE SYSTEM USING WAVELETS)

  • 김혁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1-1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장주기 변광쌍성 ${\in}$ Aurigae의 주성에 대한 측광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그 별의 변광주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842년부터 2006년까지 약 160여년에 걸쳐서 여러 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였다. 식 바깥 부분의 자료를 선별하여 CLEANest와 Wavelet 알고리즘으로 주기를 분석한 결과 ${\in}$ Aurigae의 주성 F별은 시간에 따라서 진폭이 변하기는 하지만 몇개의 특정 주파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진동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두 개의 주기(67일과 123일)가 지속적으로 나타난 것은 지금까지 부분적으로 주기를 구하였던 결과에서 주기가 시간에 따라서 불규칙하게 변한다고 판단되어졌던 것과는 달리 ${\in}$ Aurigae의 주성이 이중 모드 또는 다주기적 변광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고 하겠다. 이는 ${\in}$ Aurigae의 주성이 post-AGB의 단계에 있다기 보다는 질량이 큰 초거성 상태임을 암시하는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황색 초거성의 변광기작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는 현재의 입장에서 ${\in}$ Aurigae의 식 바깥부분에서의 추가적인 관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