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sothermal adsorption experiment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Recommendation for selecting the optimal stabilizing agent for in situ stabilization of metal-contaminated soil at difficult-to-remediate sites (정화곤란부지 중금속 오염토양의 원위치 안정화를 위한 최적 안정화제 선정에 관한 제언)

  • Kim, Haeun;Lee, Jaehui;Yoon, Sang-Gyu;An, Jinsung
    • Journal of Urban Science
    • /
    • v.13 no.1
    • /
    • pp.1-8
    • /
    • 2024
  • 정화곤란부지 내 중금속(Pb) 오염토양의 원위치 안정화를 위한 최적 안정화제 선정의 일환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선정한 3종의 후보 안정화제(mono ammonium phosphate (MAP), iron(III) phosphate (IP) 및 gypsum)에 대해 납에 대한 등온흡착실험을 실시했다. Langmuir 등온흡착식을 적용하여 산출된 각 안정화제의 납 최대흡착량은 MAP, IP 및 gypsum에서 각각 391, 42.4 및 32.2 mg/g으로 나타났다. Freundlich 상수(KF; 단위 = mg(1-1/n)·L1/n/g) 또한 MAP, IP 및 gypsum에서 각각 72.8, 24.5 및 14.3을 나타내, 최대흡착량 및 흡착 친화도 측면에서 MAP가 납의 안정화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했다. 3종의 후보 안정화제가 적용된 납 오염토양에 대해 fluorescein diacetate (FDA) 가수분해효소 활성도 평가를 실시하여 안정화제의 적용이 토양의 생태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했다. 안정화를 진행하지 않은 대조군 토양의 경우 FDA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지시하는 토양중 fluorescein의 농도가 0.239 mg/g·h을 나타냈으며, MAP, IP 및 gypsum으로 안정화된 토양에서는 각각 0.026, 0.135 및 0.073 mg/g·h를 나타냈다. 안정화제를 첨가한 모든 토양에서 대조군에 비해 FDA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이 감소했으며, 이는 안정화제 첨가로 인한 토양 염류농도의 증가에 따른 염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정화곤란부지 위해도 저감조치로서의 안정화 공법 고려 시, 안정화 처리 이후 대상 중금속이 안정한 형태로 유지되어 낮은 화학적 추출능을 나타내는지 여부도 중요하지만, 잔류 중금속 또는 주입한 안정화제 함유물질 및 중화제 등이 야기할 수 있는 토양 생태계에의 부정적 영향 또한 반드시 고려해야 함을 확인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