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leucine

검색결과 521건 처리시간 0.029초

고로쇠 및 대나무 수액간장의 성분조성 (The Components of the Fermented Soy Sauce from Gorosoe and Bamboos SaP)

  • 정미자;조종수;김행자;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7-174
    • /
    • 2001
  • 기존의 간장 담금 용수 대신에 고로쇠와 대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하였고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유기산, 무기물, 유리당,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등을 분석하였다. 90일간 숙성시킨 후 무기질의 총량을 보면 일반간장에 비해 고로쇠수액 간장에서 약 2.0배, 대나무수액 간장에서는 약 4.4배 높게 정량되었다. 무기질 중 특히 칼슘,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유리당은 대조구에서는 glucose와 galactose, 수액 간장에서는 상기 유리당 외 fructose와 sucrose가 검출되었고, 유기산은 butyric acid가 월등히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은 재래식 간장에서는 leucine, phen-ylalanine, isoleucine, lysine 그리고 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았고, phosphoserine을 포함한 11종류의 아미노산은 숙성중 계속 증가하였다. 수액간장의 숙성 중 유리아미노산의 증감 양상은 대조시료와 유사하였다. 총질소, 아미노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의 함량은 대조시료, 수액간장 모두 일정기간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표고버섯의 아미노산(酸) 및 비타민분석(分析) (Analysis of Amino Acid and Vitamin in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Sing))

  • 황병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8-24
    • /
    • 1983
  • 추용(椎茸)버섯의 영양학적(營養學的) 기초자료(基礎資料)의 보강(補强) 및 미분석자료(未分析資料)를 제공(提供)하기 위하여 일반분석(一般分析), amino 산(酸) 분석(分析), vitamin 분석(分析)을 행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분석(一般分析)은 이미 발표(發表)된 영양분석표(榮養分析表)의 기본(基本) 분석치(分析値)와 유사(類似)하였으며, 2) Amino 산(酸)은 모두 17종 즉,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glutamic acid, proline, glyc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cucine, tyros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ysine, bistidine, arginine 등이 검색(檢索)되었는데, 가장 많이 함유(含有)된 성분(成分)은 glutamic 산(酸)이었다. 3) 필수(必須) 아미노산 8종(種) 즉, threonine, valine, methionine, isoleucine, lecuc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ysine 등이 모두 함유(含有)되어 있어서 매우 중요(重要)한 식품(食品)이라는 것을 알수 있었다. 4) Vitamin은 총(總) 7종(種) 즉, A(${\beta}$-carotene), $B_1$ (thiamin), $B_2$(riboflavin), C (ascorbic acid), E (${\alpha}$-tocopherol), Niacin, Cholinechloride이 분석(分析)되었으며 가장 많은 양(量)은 Cholinechloride 이었다.

  • PDF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of protein sources associated with exogenous enzymes for broilers

  • Fortes, Bruno Duarte Alves;Mello, Heloisa Helena de Carvalho;Cafe, Marcos Barcellos;Arnhold, Emmanuel;Stringhini, Jose Henrique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1030-1038
    • /
    • 2022
  • Objective: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nzyme complex (EC) on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corn gluten meal (60%) (CGM), soy protein concentrate (SPC), dried bovine plasma (DBP), and poultry offal meal (POM). Experiments I and II were conducted with broilers in the pre-starter (1 to 7 days of age) and starter (1 to 21 days of age) phases, respectively. Methods: The treatments consisted of a protein-free diet (PFD) containing feedstuffs either supplemented with EC (xylanase, amylase, and protease) or not. In Experiment I, a total of 360 one-day-old male Cobb-50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housed in 45 pens, resulting in five replicates with eight birds each, totalizing eight treatments and one PFD group. In Experiment II a total of 270 one-day-old male Cobb-50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housed in 45 pens, resulting in five replicates with six birds each, totalizing eight treatments and one PFD group. The PFD groups were used to assess the endogenous AA losses. The birds were slaughtered to collect the ileal content. Results: In the pre-starter phase, the SID of arginine, branched chain-aminoacids, glycine, serine, aspartate, and glutamic acid increased with EC addition. The EC improved the SID of arginine and glutamic acid of CGM; the SID of valine and cystine of SPC; the SID of leucine, glycine, and aspartate of POM and the SID of isoleucine of DBP. In the starter phase, the SID of isoleucine, phenylalanine and glycine increased in EC-supplemented diets. The EC improved the SID of isoleucine of DBP; the SID of phenylalanine of CGM and POM. The SID of AA of SPC was not influenced by the EC. Conclusion: The addition of an EC to broiler pre-starter and starter diets is efficient in increasing the SID of AA on SPC, POM, and DBP.

Digestibility of amino acids in fish meal and blood-derived protein sources fed to pigs

  • Park, Chan Sol;Adeola, Olayiwola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9호
    • /
    • pp.1418-1425
    • /
    • 2022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fish meal (FM) and blood-derived protein sources including spray-dried porcine plasma (SDPP), porcine red blood cells (PRBC), and blood meal (BM) fed to growing pigs. Methods: Ten barrows (mean initial body weight of 22.1±1.54 kg) surgically fitted with T-cannulas at the distal ileum were allotted to a duplicated 5×4 incomplete Latin square design with 5 experimental diets and 4 period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to contain FM, SDPP, PRBC, or BM as the sole source of nitrogen. A nitrogen-free diet was prepared and included to estimate the basal ileal endogenous losses of AA. For the 7-day experimental period, pigs were fed for 5 days as adaptation, and ileal digesta samples were collected for 9 hours on days 6 and 7. Results: The SID of crude protein in BM (48.0%) was less (p<0.05) than in FM, SDPP, and PRBC (83.4%, 83.9%, and 87.3%, respectively). Pigs fed the diet containing BM had less (p<0.05) SID of AA, except isoleucine and proline, than those fed the diet containing FM, SDPP, or PRBC. Among FM, SDPP, and PRBC,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ID of crude protein and all AA, except isoleucine. The SID of isoleucine in PRBC and BM (62.7% and 48.3%, respectively) was less (p<0.05) than in FM and SDPP (88.0% and 84.9%, respectively). The SID of lysine in FM, SDPP, PRBC, and BM was 85.4%, 84.9%, 89.7%, and 51.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SID of most AA was not different among FM, SDPP, and PRBC, but BM had lower SID of most AA than FM, SDPP, and PRBC.

탱자 과피와 과육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in Peel and Flesh of Trifoliate Oranges(Poncirus trifoliata))

  • 정헌식;이주백;성종환;최종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2-346
    • /
    • 2004
  • 탱자의 식품학적 가치평가와 활용을 위한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완숙한 과실을 수확하여 껍질과 육질의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 총당, 비타민 C, 유리당, 유기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탱자의 조단백질 함량은 과피에서 5.15$\%$, 과육에서 3.31$\%$를, 조지방은 과피에서 3.82$\%$,과육에서 6.65$\%$를, 조회분은 과피에서 2.62$\%$, 과육에서 2.09$\%$를 각각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과피에서 4.70mg$\%$, 과육에서 70.93 mg$\%$를 나타내었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확인되었고 각 성분 및 전체 양이 과육보다는 과피에서 약 2배정도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및 oxalic acid가 확인되었으며 총 함량은 과피보다 과육에서 3.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으로 과피에서는 aspartic acid, histidine, tyrosine, arginine, valine, lysine, ammonia, cysteine, alanine, glutamic acid, isoleucine, leucine 등이 검출되었고, 과육에서는 Iysine, valine, ammonia, arginine, tyrosine, isoleucine, methionine,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등이 검출되었다.

Brevibacterium Flavum의 Auxotrophic Mutants에 의한 L-Threonine 생성(生成)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ormation of L-Threonine by auxotrophic mutants of Brevibacterium flavum)

  • 이갑랑;박동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1-261
    • /
    • 1987
  • 본(本) 실험(實驗)은 세균(細菌)에 의한 L-threonine의 효율적인 생성(生成)을 검토할 목적(目的)으로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을 사용하여 L-threonine 생성능(生成能)이 우수한 균수(菌株)를 선발(選拔)하기 위해 변이원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NTG)로 처리하여 돌연변이주(突然變異株)를 유도(誘導)한 후(後), 다시 methionine 영양요구주, lysine 영양요구주, isoleucine 영양요구주, lysine 영양요구주, isoleucine 영양요구주, methionine 및 isoleucine 영양요구주를 선발(選拔)하였다. 또한 선발(選拔)된 영양요구성 변이주들 중에서 L-threonine 생성능(生成能)이 원균(原菌)에 비(比)해 $3{\sim}4$배(倍)정도 우수한 B-13균주(菌株)$(met^-)$를 선발(選拔)하여 L-threonine 생성력(生成力), 배지(培地) 조성(組成) 및 배양(培養)에 따른 몇가지 요인(要因)들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L-threonine생성량은 원균주가 1.4mg/ml에 비해 methionine 영양요구성 변이주인 B-13은 4.86mg/ml로서 약 3.5배(倍)의 높은 생성량을 나타내었다. 2. B-13에 의한 L-threonine 생성(生成)에 적당한 배지조성(培地組成)은 glucose 10%, ammonium sulfate 2%,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0.2%, magnesium sulfate 0.05%, biotin $200{\mu}g/l$ thiamine $300{\mu}g/l$이였으며 nicotinic acid 0.05% 첨가시 더욱 증가 되었다. 3. B-13에 있어서 유기영양원에 대한 효과는 yeast extract와 Peptone이 양호하였으며 영양요구물질인 metionine은 $100{\mu}g/ml$가 적당하였으며 aspartic acid와 homoserine 첨가시 L-threonine 생성이 증가되었으며 lysine 첨가시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4. B-13에 의한 L-threonine 생성에 가장 적절한 pH는 $7.0{\sim}8.0$이였으며 배양일수(培養日數)는 4일(日)이 적당하였다.

  • PDF

단백질(蛋白質) 분해효소(分解酵素) 첨가시(添加時) 우육(牛肉)의 숙성(熟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Papain처리(處理)에 의한 우육(牛肉)의 유리(遊離) Amino Acid변화(變化)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Ripening of Beef at Adding the Proteolytic Enzyme I. Changes of Free Amino Acid in Beef According to the Papain Addition)

  • 윤정의;오석흔;황칠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71-77
    • /
    • 1973
  • 한우(韓牛)의 사태근육에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해서 유리(遊離) amino acid를 automatic amino acid analyzer 로 분석(分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효소(酵素)를 첨가(添加)하지 않은 사태근육에서 유리(遊離) amino acid 의 함량(含量)은 alanine, glutamic acid, lysine, glycine, histidine, leucine, threonine, arginine, cystine, serine, proline, iso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methionine, aspartic acid, valine 의 순서(順序)로 함유(含有)되었다. 2) 효소(酵素)를 0.01%, 0.05%, 0.1%로 첨가(添加)함에 따라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cyst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rginine 의 9개(個) 유리(遊離) amino acid는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3) Proline, histidine 은 control에서 높은 함량(含量)을 보이다가 0.01%의 효소첨가(酵素添加)에서 감소(減少)된후 효소량(酵素量)이 증가(增加)됨에 따라 유리(遊離) amino acid 의 량(量)이 증가(增加)되었다. 4)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 은 0.05%의 효소첨가(酵素添加)까지 증가(增加)하다가 0.1%에서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육(肉) 조리시(調理時) 효소(酵素)의 첨가량(添加量)은 육중량(肉重量)의 0.05%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다.

  • PDF

굴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분해 (Decomposition of Glycogen and Protein in Pickled Oyster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김장양;변재형;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6-71
    • /
    • 1981
  • 굴의 주요구성분인 글리코겐과 단백질의 굴젓갈 숙성중의 분해과정과 분해생성물 상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글리코겐의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의 생성 유리아미노산과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의 젓갈 숙성 전후의 구성변화 및 유리환원당과 유리아미노산간의 첫갈숙성조건에서의 반응성의 지표로서 유효성라이신의 양의변화 등을 분석 검토하였다. 글젓갈 숙성중 글리코겐과 단백질은 분해생성물인 유리환원당과 젓산, 그리고 유리아미노산에로 분해하여 갔으며, 유효성라이신의 양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 생굴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proline이 많았으며, tryptophan과 methionine, histidine 및 tyrosine은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굴젓갈 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에는 생굴단백질 구성아미노산중 valine과 histdine isoleucine 및 lysine이 감소된 것이 주목을 끌었다. 유리아미노산의 구성을 보면 생굴중에는 proline, taurine, glycine, glutamic acid, alanine이 특히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아미노산의 전체 생굴 유리아미노산에 대한 비율은 약 $69\%$에 달하였다. 그리고 젓갈중에는 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및 lys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 유리아미노산은 전체 굴 젓갈 유리아미노산의 약 $65\%$에 달하였다. 굴젓갈 숙성중에 증가한 유리아미노산은lysine,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cysteine, isoleucine, tyrosine등을, 그리고 감소한 아미노산은 taurine, proline, leucine등을 들 수 있었다.

  • PDF

야산개간지(野山開墾地)에서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및 석회(石灰) 비종별(肥種別) 시용(施用)이 땅콩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II. 종실(種實)의 양분함량(養分含量) (Effect of Inoculation with Bradyrhizobium sp. and Lime Types on Peanut Plant at Newly Reclaimed Area II. Nutritional Content in Seed)

  • 이덕배;최송열;권태오;임건재;소재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86-292
    • /
    • 1991
  • 신개간지(新開墾地)에 근류균(根瘤菌) 접종(接種) 및 비종별(肥種別) 석탄시용(石炭施用)에 따른 땅콩 종실성분(種實成分) 변화(變化) 및 이와 식물체(植物體) 성분간(成分間)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균접종(菌接種)으로 종실중(種實中) 조단백질(粗蛋白質), Phenylalanine, Isoleucine, Lysine, Histidine,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함량(含量)이 유의적(有意的)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조지방함량(粗脂肪含量)은 무접종구(無接種區)에서 높았다. 2. 석회무시용구(石灰無施用區)는 조지방(粗脂肪), 황산석회(黃酸石灰)는 Glutamic acid, 소석회(消石灰)는 Valine, Phenylalan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Aspartic acid, Serine, Glycine, Alanine, 탄산석회(炭酸石灰)는 Histidine함량(含量)이 유의적(有意的)으로 가장 높았다. 3. 종실중(種實中) 조단백질(粗蛋白質)은 조지방(粗脂肪)과 부(負)의 유의(有意), 상관(相關), 엽중(葉中) 엽록소(葉綠素), Allantoin, 암모니아,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전실소(全室素), 인산(燐酸), 칼슘함량(含量)은 종실중(種實中) 조단백질(粗蛋白質), 각종(各種) 아미노산(酸)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조지방(粗脂肪)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으며 초산태(硝酸態) 실소(室素)는 이와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 PDF

저식염 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6. 저식염 멸치젓 및 조기젓의 정미성분 (Studio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6. Taste Compounds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and Yellow Corvenia)

  • 차용준;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2
    • /
    • 1985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인 젓갈을 식염농도를 낮추어 저장성이 있으면서도 풍미에 손색이 없고 또한 기호에 맞는 저식염젓갈을 가공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서, KCI을 $50\%$ 까지 대체하여 식염농도를 $4\%$ 까지 낮추어 제조한 저식염멸치젓과 조기젓 숙성중의 정미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완숙기(숙성 60일경)의 멸치젓에서 양적으로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lysine, alainne, leucine, valine, isoleucine, histidine, threonine 및 glycine 등 8종이었고, 조기젓(숙성 90일경)에서는 lysine, leucine, alanine, valine, threonine, isoleucine, glutamic acid 및 methionine 등 8종이었다. 그리고 멸치젓 및 조기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질소의 비율은 각각 $57\%$$41\%$ 범위였으며, 저식염젓갈과 재래식젓갈제품 상호간의 차이는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멸치첫, 조기젓 모두 hypoxanthine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또한 완숙기의 멸치젓 엑스분질소에 대한 총 creatinine질소의 비율은 $5.5{\sim}6.2\%$범위였고, 조기젓에서는 $8\%$ 범위였다. 결론적으로 저식염젓갈은 어종에 관계없이 재래식으로 담근 젓갈에 비해 별 손색이 없었으며 멸치젓 및 조기젓 정미성분의 주체는 유리아미노산이었고 핵산관련물질과 총 creatinine이 보조적인 구실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