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thoracic les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8초

Supradiaphragmatic Liver Confirmed by a Hepatocyte-specific Contrast Agent (Gd-EOB-DTPA): A Case Report

  • Cho, Young Jong;Kim, Hyuk Jung;Bae, Young A;Jang, Suk Ki;Yeon, Jae W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9권1호
    • /
    • pp.52-55
    • /
    • 2015
  • Supradiaphragmatic liver is a rare condition. Establishing an accurat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Operative exploration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is lesion from intrathoracic masses, such as a pleural based tumor, diaphragmatic tumor and peripheral lung tumor. However, with the aid of the hepatocyte-specif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contrast agent, gadoxetic acid (Gd-EOB-DTPA), functional hepatocytes in the lesion can be identified in the hepatobiliary phase, potentially allowing an accurate and non-invasive diagnosis. We report a case of supradiaphragmatic liver diagnosed by Gd-EOB-DTPA-enhanc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dolent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of Unknown Primary in the Intrathoracic Lymph Node: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 Kim, Min Jin;Lim, Sang Hyok;Han, Su Jung;Choi, Kang Hyug;Lee, Sun Hyo;Park, Min Woo;Kang, HyeRan;Na, Ju Oc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8권1호
    • /
    • pp.23-26
    • /
    • 2015
  •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from a cancer of unknown primary (CUP) affecting the intrathoracic lymph node is very rare. We reported a case of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hilar and interlobar lymph node from a patient with CUP and reviewed the associated literature. Abnormal mass in the right hilar area was incidentally detected.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a 2.5-cm diameter mass in the right hilum that had changed little in size for 3 years. The patient underwent a right pneumonectomy and mediastinal lymph node dissection. A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hilar and interlobar lymph nodes without a primary lung or other lesion was diagnosed. The patient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for a diagnosis of T0N1M0 lung cancer.

경피적 폐생검의 진단성적 및 합병증 (The Diagnostic Yield and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for the Intrathoracic Lesions)

  • 장승훈;김철현;고원중;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6호
    • /
    • pp.916-924
    • /
    • 1996
  • 연구배경: 경피적 폐생검은 흉부 병소의 진단을 얻기위해 흔히 이용되는 검사 방법으로써, 축적된 경험, 검칩의 개발, 영상 유도 방법의 개선으로 진단 성적이 높아지고 있으며, 기존의 논문들이 28 - 98%의 진단 성적을 보고하며 시술에 의한 합병증은 그 정도가 가벼워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병원에서 1년 동안 시행된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그의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진단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법: 1994 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흉부병소를 가진 236명의 환자에게 시행된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 결과를 검토하여 양성 및 악성 질환에 대한 진단 성적과 합병증의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다. 병소는 21- 23 G Chiba needle로 흡인하였고, 필요시 19 - 20 G Biopsy gun으로 생검을 실시 하여 미생물학적 검사, 세포진 검사,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및 합병증의 발생 빈도는 병록지만을 참고하여 산출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은 chi square 방법으로 통계 처리하여 비교하였다(P<0.05). 결과: 병변의 위치는 우상엽 26.3%, 우중엽 6.4%, 우하엽 21.2%, 좌상엽 16.8%, 좌하엽 10.6%, 2엽 이상의 부위에 병변이 있었던 경우가 17.4%, 종격동 1.3% 였다. 병변의 형태는 경화성 병변이 19.9%, 결절 또는 종괴성 병변이 80.1% 였다. 236명 중 양성 질환자는 74명, 악성질환자는 142명, 경피적 폐생검을 포함한 어떤 검사로도 진단이 밝혀지지 않은 환자는 22명 이었고, 2명은 폐암과 폐결핵을 같이 가지고 있었다. 236 명을 대상으로 총 287 회의 경피적 폐생검이 시행되었는데, 이것으로 확진된 경우가 양성 질환자의 경우 46명으로 62.2%, 악성 질환자의 경우 117명으로 82.4%의 진단 성적을 보였다. 경피적 폐생검을 1차로 시행하여 진단에 이르지 못한 경우 2차, 3차 재 시술 함으로써 양성 질환의 경우 44.6%, 60.8%, 62.2%로, 악성 질환의 경우 73.9%, 8 1.7%, 82.4%로 진단 성적을 높일 수 있었다. 악성 질환자 43 명과 양성 질환자 9명에서 개흉술을 실시하였는데 개흉술과 경피적 폐생검의 병리학적 검사 결과가 일치하였던 경우는 악성과 양성에서 각각 25 명과 4명 으로 58.1% 와 44.4 %의 일치율을 보였다. 또한 약성 질환자 4명과 양성 질환자 2명은 개흉술 후 악성과 양성의 진단이 바뀌었다. 287례의 시행 중 합병증은 각혈 3 례, 경미한 혈담 55 례, 기흉 36례, 발열 3례로 빈도는 각각 1.0%, 19.2%, 12.5%, 1.0 % 였다. 합병증 발생시 각혈과 혈당은 모두 치료를 요하지 않았고, 기흉은 8례에서 흉관 또는 픽테일 카테터를 삽입하였으며, 발열은 모두 48 시간 내에 자연 소실되었다. 병변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진단 성적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경피적 폐생검은 진단 성적이 비교적 높고 합병증의 정도가 낮아 흉부 영소의 진단에 유용하지만 병리 조직학적 진단의 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다발성 낭종과 기흉을 보이는 흉곽내 병변 (Intrathoracic Lesion Showing Multiple Cysts and Pneumothorax)

  • 송현모;이흥범;이용철;이양근;한영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3호
    • /
    • pp.419-423
    • /
    • 1995
  • Pulmonary histiocytosis X is an idiopathic benign disease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and infiltration of lung tissue by characteristic Langerhans cells and eosinophils. Pulmonary histiocytosis X is common in young male adults, and shows variable clinical characteristics. We experienced a case of pathologically proven pulmonary histiocytosis X in a 30-year-old man who visit to our hospital due to chest discomfort and cough. The chest radiograph of our patient shows right pneumothorax and characteristic multiple thin-walled cysts on the both upper lung fields. The HRCT shows multiple thin-walled cysts, a few scattered nodules in both upper and right middle lung, and right pneumothorax.

  • PDF

폐문부에 발생한 양성 임파절 비대증 1 치험예 (Benign Lymphnode Hyperplasia hyaline-vascular type in pulmonary hilum: One Case Report)

  • 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0권1호
    • /
    • pp.44-48
    • /
    • 1977
  • Benign hyperplasia of hilar lymph glands is rare. Most of the lesions were intrathoracic cavity. The lesions were discovered most often on routine roentgenograms of the chest or because. of pressure symptoms or the presence of a palpable mass if outside the thorax. Diagnosis is. made after removal of gland, a procedure which may also have therapeutic value. They have been divided into 2 histol0gic types: the hyaline-vascular lesions, which were, most numerous, were characterized by small hyaline-vascular follicles and interfollicular capillary proliferation ;the plasma cell lesions were characterized by large follicles with! intervening sheets of plasma cells. We experienced one case of benign hyperplasia of lymph gland in left hilum, which were. most numerous, characterized by small hyaline-vascular follicles and interfollicular capillary proliferation-hyaline-vascular type. This 29 years old male patient was treated by right upper lobectomy with excision of lesion. The postoperative courses was uneventful.

  • PDF

폐결핵에 의한 전폐자가절제 환자에서의 흉부 자상 치험 1례- (Penetrating Chest Trauma in Autopneumonectomy Status due to Pulmonary Tuberculosis : 1 Case Report)

  • 홍윤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9-93
    • /
    • 2005
  • Penetrating chest trauma by stab injury may result in massive hemothorax from damage to single or multiple intrathoracic organs such as heart, aorta, internal mammary artery, intercostal artery or pulmonary parenchyme. Prognosis of massive hemothorax necessitating emergency thoracotomy is fatal especially so if there exists concomitant underlying compromise of cardiopulmonary function. A 56 year old man with destroyed left lung due to old pulmonary tuberculosis was stabbed in right parasternal lesion through third intercostal space. Intub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closed thoracostomy were performed to resuscitate from cardiac asystole from hemorrhagic shock and acute respiratory distress. Midsternotomy was made to expose active bleeding foci in right mammary artery, subclavian vein, intercostal artery and anterior segment of right upper lung showing severe bullous change and pleural adhesion. Postoperative care included ventilator support, inotropic instillation and cautious, balance fluid therapy ; successful extubation was done on third postoperative day and patient was discharged on tenth postoperative day without any complication.

  • PDF

흉강내 식도재건시 늑간동맥을 이용한 유리 공장 전이술 (Free Jejunal Transfer Used by Intercostal Artery in the Intrathoracic Esophageal Reconstruction)

  • 김한수;최상묵;정찬민;서인석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5권1호
    • /
    • pp.99-105
    • /
    • 1996
  • The reconstruction of esophageal defect after ablative surgery have more difficult than other digestive tract tumor because the restoration of anatomical and physiologic function is difficult, the risk of tumor invasion into the adjacent tissue is large. The reconstruction of cervical esophus was depended on the degree of resection of the esophagus, various reconstruction method was developed to minimize functional deficiency and deformity of cervical region. Recently, the free jejunal transfer or free radial forearm flap was commonly utilized for esophageal reconstruction due to development of technique of the microvascular anastomosis. After the esophageal reconstruction used by free jejunal transfer was reported by Seidenberg in 1951, jejunum is most commonly used for reconstruction of esophgus. Becaue of, it have been tubed anatomical similarity with muscular layer, relative small risk of complication, possible of oral intake within 10 days after operation, and early rehabilitaion. Authors have been treated esophageal defect with free jejunal transfer in 7 patients after resection of lesion in 6 eshageal cancer and 1 esophageal stricture from December 1994 to January 1996. We were transferred jejunum used by intercostal artery as recipient artery in 3 cases, it was satisfied with results. If intercostal artery was utilized as recipient artery for free jejunal transfer, we believe that any site of intrathoracic or intraabdominal esophageal defect is possible to recontruction.

  • PDF

국소성 폐결절에 대한 경피적 세침 흡인술의 진단적 유용성 및 합병증 (Diagnos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by Transthoracic Fine Needle Aspiration Biopsy of Localized Lung Lesions)

  • 성낙천;김기중;윤기헌;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39-347
    • /
    • 1996
  • 연구배경 : 폐암의 증가로 방사선 검사상 폐결절의 발견이 증가되고 있어 지금까지 비교적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알려진 경피적 세침 흡인술의 진단적 유용성과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4년간 말초성 병변이 있거나 중심성 병변이나 기관지경으로 진단하지 못해 경피적 세침 흡인술을 시행한 125명의 병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 1) 대상환자에 대한 TNAB의 전체적인 진단율은 61.6%였다. 2) TNAB에 의한 악성 병변의 진단율은 89.9%로 높고, 양성 병 i연의 진단율은 30%로 낮았다. 3) TNAB에 의한 세포학적 검사와 수술에 의한 조직학적 검사와의 일치도는 88.2%로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4) TNAB에 의한 진단율은 말초성 병변은 62.1%, 중심성 병변은 45.5%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3cm 이상인 병변은 73.3%, 3cm 미만인 병변은 38.1%로 3cm 이상인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5) 합병증은 대상환자의 12.8%에서 발생하였으나 경미하여 특별한 치료를 요하는 경우는 1.6%에 불과하였다. 결론 : TNAB는 객담검사나 기관지경 검사 등으로 진단을 내리지 못하는 국소성 폐병변의 진단에 안전하고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생각된다. 특히 악성 병변인 경우 진단율이 높고 조직학적 소견과 일치도가 높아 진단과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매우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생각되며 양성 병변의 경우 진단율이 낮지만 향후 진단율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법을 사용할 경우 진단율이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ook Wire를 이용한 폐결절의 위치선정 및 생검 (Lung Biopsy after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s with Hook Wire)

  • 김진식;황재준;이송암;이우성;김요한;김준석;지현근;이정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681-686
    • /
    • 2010
  • 배경: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이 보편화되면서 기존의 단순흉부촬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던 작은 폐결절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렇게 발견된 폐결절중 크기가 작거나 폐실질 내부에 위치한 결절은 육안 및 촉진으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생검을 시행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본원에서는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시행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0년 6월까지 31명의 환자(남자 17명, 여자 14명)에서 34개의 폐결절을 대상으로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 하에 Hook wire를 사용하여 위치선정을 한 후, 흉강경하 폐쐐기절제술을 시행하였다. Hook wire의 이탈 여부, 개흉술 전환 빈도, 위치선정 후 수술 시작까지의 시간, 수술시간, 수술 후 합병증, 대상 병변의 조직학적 진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34예 중 12예는 간유리 병변이었으며 22예는 고형의 폐결절이었다. 병변 크기의 중앙값은 8 mm (범위: 3~23 mm)였으며 병변 깊이의 중앙값은 12.5 mm (범위 1~34 mm)였다. 위치선정 후 마취 시작까지 걸린 시간의 중앙값은 86.5분(41~473분)이었으며, 수술시간의 중앙값은 103분(25~345분)이었다. 1예에서 wire의 흉강 내 이탈이 있었으나 성공적으로 목표 병변을 절제하였다. 4예에서 흉막유착으로 인해 개흉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목표 병변을 찾지 못해 개흉술로 전환한 예는 없었다. 조직학적 진단에서 전이성 암이 15예로 가장 많았으며, 원발생 폐암 9예, 비특이적 염증소견 3예, 결핵성 염증소견 2예. 림프절 2예, 활동성 결핵 l예, 비정형 샘 증식증 1예 및 정상폐조직 1예로 보고되었다. 결론: 폐실질 내에 위치한 간유리 음영 및 폐결절의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위해 본원에서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 유도하 Hook wire를 삽입하여 폐결절의 위치를 선정한 후 폐 생검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이 방법이 정확하면서 최소침습적이고 합병증 발생 및 진료비 상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용한 술기라고 생각한다.

흉막 생검법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leural Biopsy in the Intrathoracic Lesion with Pleural Effusion)

  • 안광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4호
    • /
    • pp.298-302
    • /
    • 1993
  • The 40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ief complaints of pleural effusion and were performed closed thoracostomy and pleural biopsy at the same time with only one incision during the period from Mar,1990. To Feb. 1992.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HanYang University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ge of patients ranged from 16 to 73-years old [Mean 44.3-years old]. The peak incidence was fifth decade [25 %] and the next was third decades [22.5 %]. 2. 28 patients were male and 12 patients were female with male preponderance[More than 2 times]. 3. The etiologic of pleural effusion were 25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62.5 %], 8 cases of empyema [20 %], and 7 cases of malignant diseases [17.5 %]. 4. The most common chief complaints were dyspnea[21 cases:29.2%], chest discomfort[16 cases:22.2%], and the coughing with sputum [12 cases: 16.7 %]. 5. The duration of symptom were varied from 3 days to lyear [Mean 3.2 weeks]. 6. The amounts of drained pleural effusion after closed thoracostomy were ranged from 100ml to 2,400 ml [Mean 650 ml], but the amounts in cas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were varied from 400ml to 1,700ml [Mean 950ml]. 7. The diagnostic rate was 84.6 % with routine examination of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Lymphocyte predominance] and the same rate was acquired by pleural biopsy. 8. The diagnostic rate by pleural biopsy in case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was 57.1% and lower tha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9. The etiology of malignant pleural effusion were squamous cell carcinoma [3 cases:42.8 %], adenocarcinoma [2 cases:28.6 %] and metasiatic breast cancer [1 case:14.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