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mural hematoma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7초

상행대동맥 벽내 혈종에 의해 발생한 심낭 압전의 지연 진단 - 1예 보고 - (Delayed Diagnosis of Cardiac Tamponade That Was Caused by Intramural Hematoma of the Ascending Aorta -A case report-)

  • 황유화;송석원;이기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2호
    • /
    • pp.194-198
    • /
    • 2010
  • 대동맥 벽내 혈종은 대동맥 내벽의 열상 등 손상이 없으면서 대동맥의 혈관벽내의 출혈로 정의되며 고전적인 대동맥 박리로 진행할 수 있는 질환으로 대동맥 박리의 변형된 형태로 여겨지기도 한다. 대동맥 벽내 혈종은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나 궁극적 치료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하지만 상행 대동맥에 발생한 대동맥 벽내 혈종은 대동맥 파열과 심낭 압전의 위험성으로 인해 보통 수술적인 치료가 고려되고 있다. 저자들은 실신을 주소로 내원한 71세 남환에서 대동맥 벽내 혈종 1예를 수술 치험 하였다. 잘못된 진단으로 인해 응급실 내원 5시간 뒤 시행된 대동맥 단층 컴퓨터 촬영 검사 결과 상행대동맥 벽내 혈종과 심낭 압전 소견이 동반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급성 신부전, 허혈성 장기손상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응급 수술로 상행대동맥 및 대동맥궁 치환술을 진행하였고 환자는 수술 14일 뒤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Exploring Differences in Surgical Outcomes Depending on the Arterial Cannulation Strategy for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A Single-Center Study

  • Tae-hong Yoon;Han Sol Lee;Jae Seok Jang;Jun Woo Cho;Chul Ho Le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4호
    • /
    • pp.380-386
    • /
    • 2024
  • Background: Type A aortic dissection (AD) and intramural hematoma (IMH) are critical medical conditions. Emergency surgery is typically performed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immediately after diagnosis, which involves lowering the body temperature to induce total circulatory arrest. Selection of the arterial cannulation site is a critical consideration in cardiac surgery and becomes more challenging in patients with AD. This study explor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different cannulation methods by comparing each cannulation strategy and analyzing the reasons for patients' outcomes, especially mortality and cerebrovascular accidents (CVAs).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for type A AD or IMH between 2008 and 2023, using the moderate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pproach at a single center. Results: Among the 146 patients reviewed, 32 underwent antegrade cannulation via axillary, innominate artery, aortic, or transapical cannulation, while 114 underwent retrograde cannulation via the femoral artery. The analysis of surgical outcome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urgical time, with 356 minutes for antegrade and 443 minutes for retrograde cannulation (p<0.001). The mean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retrograde group (5±16 days) than in the antegrade group (3±5 days, p=0.013). Nevertheles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groups in the 30-day mortality or postoperative CVA rates (p=0.2 and p=0.7, respectively). Conclusion: Surgeons should consider an appropriate cannulation strategy for each patient instead of adhering strictly to a specific approach in AD surgery.

급성 심근경색후 좌심실벽 파열 -2례보고- (Postinfarction Left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 김도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0호
    • /
    • pp.834-838
    • /
    • 2000
  • Left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follow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the second most common cause of death and has been reported to be responsible for 4 to 24% of all infarction deaths. The rupture occurs anywhere from a few hours to several days after AMI. The common findings of ventricular rupture are persistent chest pain bradycardia and shock. This may be often mistaken for the ruptured dissection of the ascending aorta. The different points from dissection are 1) persistent chest pain 2)persistent ST segment elevation and 3) only intramural hematoma in ascending aorta. We have sucessfully managed two patients with postinfarction myocardial rupture. Surgical management consisted of infarctectomy repairi of the ventricular rupture and coronay artery bypass grafting. We conclude that successful surgical management of ventricular free wall rupture should require prompt diagnosis and emergency operation.

  • PDF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of the Duodenum in a Teenage Girl: Misdiagnosed as an Intramural Duodenal Hematoma

  • Sriphongphankul, Hansa;Tanpowpong, Pornthep;Ruangwattanapaisarn, Nichanan;Thirapattaraphan, Chollasak;Treepongkaruna, Supor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6호
    • /
    • pp.571-575
    • /
    • 2019
  • We report a case of a 13-year-old girl who presented with a 2-month history of intermittent abdominal pain. Laboratory examination showed hepatitis and pancreatitis. Because of persistent vomiting, computed tomography (CT)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a circumferential soft tissue density in the duodenal wall, causing partial obstruction. Supportive therapy failed. Repeat CT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from the initial study. The patient underwent upper endoscopy, which revealed a mass in the second portion of the duodenum, which occluded most parts of the lumen.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 was consistent with an anaplastic large cell lymphoma, a rare form of small bowel neoplasm. After the third course of chemotherapy, complete resolution of the mass was noted, and her symptoms were relieved.

Aortic Surgery without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at Total Circulatory Arrest

  • Lee, Hae Young;Kim, Dong Ji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27-32
    • /
    • 2013
  • Background: Minimal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CPS) during aortic surgery using total circulatory arrest (TCA) may reduce several potential side effects: clamping on a diseased aorta, insult of coronary ostia, and edema.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6 to 2009, 72 patients underwent aortic surgery without infusion of cardioplegic solution at the initiation of circulatory arrest. The diagnoses were acute aortic dissection (44), aneurysm (22), and intramural hematoma (6). Results: The duration of TCA, the lowest nasopharyngeal temperature, bypass time, and aortic clamp time was 45 minutes, $16.4^{\circ}C$, 162 minutes, and 100 minutes, respectively. The amount of CPS was 1,050 mL, and 15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out CPS. The average inotrope score was 113 points (range, 6.25 to 5,048.5 points) corresponding to the dopamine infusion of 5 mcg/kg/min for 1 day. Seven patients showed a level of creatine kinase-MB above 50 ng/mL, postoperatively, compared with the average of 12.75 ng/mL. The ischemic change was found on electrocardiogram in 5 patients,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cardiac morbidity requiring mechanical assist. The average of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40 hours (range, 15 to 482 hours) and 11 days, respectively. Conclusion: Minimal infusion of only retrograde CPS during rewarming without initial infusion at TCA in aortic surgery is feasible and can be used with acceptable results.

Single-Center Clinical Analysis of Traumatic Thoracic Aortic Injuri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Ma, Dae Sung;Jeon, Yang Bi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4권2호
    • /
    • pp.81-86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outcomes of trauma patients with blunt thoracic aortic injurie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During the study period, 9,501 patients with traumatic aortic injuries presented to Trauma Center of Gil Medical Center. Among them, 1,594 patients had severe trauma,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ISS) of >15. Demographics, physiological data, injury mechanism, hemodynam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the thoracic injury according to chest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the timing of the intervention, and clinical outcomes were reviewed.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had blunt aortic injuries (75% male, mean age, 45.9±16.3 years). The majority (82.1%, n=23/28) of these patients were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The median ISS was 35.0 (interquartile range 21.0-41.0). The injuries were found in the ascending aorta (n=1, 3.6%) aortic arch (n=8, 28.6%) aortic isthmus (n=18, 64.3%), and descending aorta (n=1, 3.6%). The severity of aortic injuries on chest CT was categorized as intramural hematoma (n=1, 3.6%), dissection (n=3, 10.7%), transection (n=9, 32.2%), pseudoaneurysm (n=12, 42.8%), and rupture (n=3, 10.7%). Endovascular repair was performed in 71.4% of patients (45% within 24 hours), and two patients received surgical management. The mortality rate was 25% (n=7). Conclusions: Traumatic thoracic aortic injuries are life-threatening. In our experience, however, if there is no rupture and extravasation from an aortic injury, resuscitation and stabilization of vital signs are more important than an intervention for an aortic injury in patients with multiple traumas.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optimize the timing of the intervention and explore management strategies for blunt thoracic aortic injuries in severe trauma patients needing resuscitation.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의 분석 (Clinical Analysis of the Operative Results of the Type A Aortic Disse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Intimal Tear)

  • 김혁;정기천;지행옥;강정호;정원상;이철범;전순호;김영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17-523
    • /
    • 2004
  • 배경: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 내막 파열의 위치는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막 파열의 위치에 따른 수술 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급성 type A 대동맥 박리로 수술받은 18명의 환자에서 내막 파열이 상행대동맥에 존재했던 경우(Group I, 11명)와 대동맥궁이나 하행대동맥에 위치하거나 대동맥 벽 내 혈종 (intramural hematoma)만이 있었던 경우(Group II, 7명)로 나누어 술 전, 술 중 소견, 수술 방법, 합병증, 사망 원인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시간, 체외순환 시간, 대동맥 차단 시간 및 순환 정지 시간은 Group I에서 각각 381.5$\pm$81.0분, 223.5$\pm$42.5분, 146.4$\pm$34.8 분, 36.5$\pm$17.4분이었고, Group II에서는 각각 461.7$\pm$54.0분, 252.5$\pm$45.3분, 162.5$\pm$45.3분, 47.0$\pm$14.4분으로 Group II에서 더 길었다. 전체적으로 5명이 사망하여 27.8%(5/18)의 사망률을 나타냈으며 Group I에서는 9.1% (1/11), Group II에서는 57.1% (4/7)로 Group I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03). 사망 원인으로는 출혈이 Group I에서 1명, Group II에서 2명, 저심박출 및 다발성 장기 기능 부전 1명, 술 후 복부대동맥 파열 1명이었다. 결론: 내막 파열이 상행 대동맥에 존재하는 type A 대동맥 박리에서의 수술 사망률은 크게 높지 않으나 내막 파열이 대동맥궁부 또는 하행대동맥에 위치했을 때 상행대동맥만을 대치한 경우 아직 높은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향후 수술 성적의 향상을 위해서는 내막 파열 부위를 수술 범위에 포함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외과적으로 치료한 급성 A형 대동맥벽내 혈종 환자에서 대동맥 내막 결손의 존재 빈도 (Prevalence of Intimal Defect in the Patients urith Surgically Treated Acute Type A Intramural Hematoma of the Aorta)

  • 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1호
    • /
    • pp.733-744
    • /
    • 2007
  • 배경: 급성 대동맥벽내 혈종의 발생 기전과 적절한 치료 방침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상당수의 대동맥벽내 혈종 환자에서 내막 결손이 발견됨을 보고하여 왔고 그 존재가 발생 기전, 병변의 변화 및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실제로 내막 결손이 발견되는 빈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기에 본 연구를 통하여 그 빈도와 양상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Stanford A형 급성 대동맥벽내 혈종으로 수술 받은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CT 영상 및 판독 결과와 함께 수술 소견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CT상 15명(41.7%)에서 내막 결손의 존재를 시사하는 소견이 관찰되었고 수술 중 육안 관찰 결과로는 26명(72.2%)에서 상행 대동맥이나 대동맥궁에서 3 cm미만 크기의 내막 결손이 발견되었다. 특히 CT에서 내막 결손의 존재를 의심할 수 없었던 환자 18명 중 13명(72.2%)에서 수술 시야에서 내막 결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막 결손이 발견된 환자 중 17명(65.4%)은 완전 순환 정지하에 대동맥을 절개하였을 때만 육안 확인이 가능한 대동맥궁이나 상행 대동맥 원위부에 결손 부위를 가지고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육안으로 확인된 내막 결손 부위는 절제 구간에 포함되었고 추적 CT상 수술 후 4개월 이상 경과한 이후에는 모두하행 대동맥 벽의 혈종이 소실되거나 호전되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급성 A형 대동맥벽내 혈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80% 이상에서 대동맥 및 주요 분지에 내막 결손이 발견됨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는 대동맥벽내 혈종의 발생 기전이 내막 파열 결과 발생하는 대동맥 박리증과 동일한 경우가 많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급성 대동맥 벽내 혈종을 전형적인 대동맥 박리증과 구별하여 별도의 치료 방침을 적용하기보다는 A형 병변의 경우 급성 대동맥 박리증과 동일한 원칙, 즉 외과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수술 시에는 내막 결손의 존재를 염두에 두고 찾아서 해당 범위를 절제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내시경으로 진단된 소아 상부 위장관의 종양성 질환에 대한 고찰 (The Role of Endoscopy for Tumorous Conditions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김혜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1호
    • /
    • pp.31-40
    • /
    • 2005
  • 목 적: 소아에 대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이 보편화되면서 종양성 질환의 진단이 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인 보고가 미미한 실정이어서 상부 위장관에서 종양성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서 있어서 내시경술의 역할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1994년 1월부터 2004년 7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중 종양성 질환이 발견된 2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 내시경 검사는 Olympus사의 GIF (Q240, Q260, P230)를 사용하였고, 전처치로 midazolam이나 ketamine을 단독 또는 병용하였다. 결 과: 1) 이 기간 중 총 1,283명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술이 시행되었으며, 이 중 26명(2.0%)에서 종양성 질환이 진단되었다. 2) 남아가 11명, 여아가 1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6.93세(1달~15세)였다. 3) 진단된 질환으로는 이소성 췌장 6례(23.0%), 위식도 경계부 용종 5례(19.2%), 후두개곡 낭종 3례(11.5%), 유두종 3례(11.0%), Brunner's gland 과증식증과 위 점막하 종양이 각각 2례(7.7%)였으며, 그 외 위장관 간질성 종양, Henoch-$Sch{\ddot{o}}lein$ 자반증에 합병된 십이지장 벽내 거대 혈종, 십이지장 T세포 림프종, 식도 지방종, Peutz-Jeghers 증후군에서의 과오종이 각각 1례(3.8%)였다. 4) 내시경 검사를 하게 된 주 증상으로는 복통이 21례(80.7%), 오심 또는 구토가 8례(30.8%), 위장관 출혈이 7례(30.7%) 등의 순이었다. 5) 병변의 위치는 위가 8례(30.7%), 십이지장이 7례(26.9%), 위식도 경계부가 6례(23.0%), 인두가 5례(19.2%), 식도가 2례(7.7%)였다. 6) 병변의 크기는 10 mm 미만이 14례(53.8%), 10~20 mm가 7례(26.9%), 20 mm 이상이 5례(19.2%)였다. 7) 내시경적 육안 소견만으로 진단된 경우가 6례(23.1%)있었고, 내시경 초음파 검사로 위 점막하 종양 1례를 진단하였으며, 그 외 19례(73.1%)는 내시경 검사와 조직 생검을 통해 진단하였다. 8) 종양에 대한 처리로는 레이저 절제술 3례, 수술적 절제 및 항암요법 1례, 부분 위절제술 1례, 올가미를 이용한 내시경하 용종 절제술 2례, 생검 겸자를 이용한 내시경하 제거술 1례 등이 있었고, 18례는 특별한 치료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결 론: 소아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종양성 질환이 진단되었으며, 이들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 내시경 검사는 정확하고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검사이다.

  • PDF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법을 이용한 대동맥궁 치환의 임상성적 (Clinical Result of Aortic Arch Replacement using Antegrade Brain Perfusion Via Right Axillary Artery)

  • 김동진;나용준;정동섭;김경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호
    • /
    • pp.25-31
    • /
    • 2007
  • 배경: 대동맥궁 치환 수술 시 뇌 보호법은 필수불가결하며,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중 순행성 뇌관류법의 이용은 완전 순환 정지시간을 최소화하고 뇌관류를 가능하게 하여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이용하여 대동맥궁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임상 결과를 조사하는 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대동맥궁 치환 시 대동맥궁 분지의 전부 혹은 일부를 치환 후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시행하면서 대동맥궁 치환을 한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환자는 9명, 여자 환자는 2명이었다. 수술 당시의 진단은 A형 대동맥 박리(5/11, 45.5%), A형 벽내혈종(1/11, 9%), 대동맥류(5/11, 45.5%)였고, 평균 나이는 $60.3{\pm}12.8$세였다. 우액와동맥으로 삽관하여 심폐기 가동 후 초저체온 상태(평균 최저 비인두 체온 $11.7{\pm}1.0^{\circ}C$)에서 완전순환정지를 시행하였고, 이 기간 중 일부에서 역행성 뇌관류법을 시행하였다. 결과: 완전 순환 정지 시간은 $31.1{\pm}16.9$분이었으며 역행성 뇌관류 시간은 $21{\pm}17.8$분이었다. 뇌관류를 위한 각각의 도관과 대동맥궁 분지를 연결하는 데 걸린 평균시간은 $24.1{\pm}9.3$분이었다. 술 후 사망 환자는(0/11, 0%) 없었고, 영구적 신경학적 합병증 또한 없었다. 결론: 더 많은 수의 환자와 장기적인 성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우액와동맥을 통한 순행성 뇌관류를 이용한 대동맥궁 치환술은 대동맥궁 조작을 최소화하고 색전 및 전반적인 허혈에 의한 뇌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