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articular joint injec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8초

다양한 운동 강도가 골관절염 흰쥐의 척수 내 TNF-α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xercise of Diverse Intensities on the Expression of TNF-α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c Rats)

  • 박수진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39-54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of diverse intensities on the expression of TNF-${\alpha}$(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c rats. METHODS: Over a period of four weeks, the authors applied treadmill exercise programs of diverse intensities to Sprague-Dawley rats, to which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MIA, $3mg/50{\mu}l$, diluted in saline) was applied to the right knee joint to induce osteoarthritis. The four-week exercise program was not carried out with the control group(CG, n=10). Exercise programs of applicable intensities were applied to the low-intensity exercise group(LEG, n=10),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MEG, n=10),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HEG, n=10) over the four weeks. Observations were made of expression of TNF-${\alpha}$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c rat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comparison of expression of TNF-${\alpha}$ between the four groups involved. The expression of TNF-${\alpha}$ in the spinal cord, the LEG and HEG had more elevated expression significantly than the CG(p<.05). But the MEG had reduced expression significantly than the CG(p<.05). CONCLUSION: These study results suggest that moderate-intensity exercise is effective in inhibition TNF-${\alpha}$ in the spinal cord. They also indicate that in prescribing exercise to treat osteoarthritic patients,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is most suitable to patients' chronic pain, rather than low or high intensity.

트레드밀 운동이 뼈관절염 흰쥐의 척수 내 IL-1β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readmill Exercise on the Expression of IL-1β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s Rats)

  • 박수진;최영철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20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eadmill exercise of diverse intensities on the expression of IL-$1{\beta}$ (interleukine-$1{\beta}$)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s rats. METHODS: The authors applied treadmill exercise of diverse intensity for 4 weeks to Sprague-Dawley rats to which intra-articular injection of monosodium iodoacetate(MIA, $3mg/50{\mu}l$, diluted in saline) was applied in the right knee joint to induce osteoarthritis. The four-week exercise was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CG, n=15), while exercise of applicable intensity was applied to the low-intensity exercise group(LEG, n=15), moderate-intensity exercise group (MEG, n=15), and high-intensity exercise group(HEG, n=15) for four weeks. Observations were made of expression of IL-$1{\beta}$ in the spinal cord in osteoarthritis rats using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the comparison of expression of IL-$1{\beta}$ in the spinal cord between the four groups involved. And the LEG and MEG had reduced expression of IL-$1{\beta}$ significantly than the CG(p<.05); in particular, the MEG showed the lowest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HEG had more elevated expression of IL-$1{\beta}$ significantly than the CG(p<.05). CONCLUSION: As a result, factors that induce neuropathic pain such as IL-$1{\beta}$ are reduced; thus, the recovery of damaged neurons is improved and neuropathic pain is reduced. Further, when prescribing exercise to treat osteoarthritis patients,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suitable for patients' physical conditions, rather than high intensity, maximizes the effects of this therapy.

견관절 통증을 동반한 동결견 환자에게서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의 효과: 단기 추시 결과 (The Effectiveness of Buprenorphine Transdermal Patch on Patients with Shoulder Pain: Short-Term Follow-up Study)

  • 홍진호;박용복;류호영;전상준;박원하;유재철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12
    • /
    • 2014
  • 목적: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보존적 치료의 한 방법으로 이용 범위를 넓히고 있으나 정형외과의 세분화된 영역에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는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의 통증 조절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3월에서 9월 사이의 기간 동안 5~6개월 이상 견관절 통증이 지속되고 운동범위의 제한이 확인되었으나 자기공명 영상 검사나 초음파 진단 검사상 가능한 다른 병리적 소견이 발견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동결기 상태의 동결견으로 진단 받은 총 127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관절와-상완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1회 시행 받았다. 첫 외래 방문 이후 2~4주 후 전화를 통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전체 127명의 대상 환자 중 22명의 환자가 전화 설문을 거부하여 최종 105명의 환자가 대상이 되었으며 이중 경구 NSAID 제제와 함께 경피 Buprenorphine 제제를 처방 받은 실험군(BP group)은 51명, 경구 NSAID 제제 만을 처방 받은 대조군(NP group)은 54명이었다. 치료 효과의 평가를 위하여 첫 외래 방문 시 및 전화 설문 시 시각적 통증 점수(PVAS), 시각적 기능 점수(FVAS), 미국 정형외과 견주관절 점수(ASES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전반적인 통증 및 기능 임상 점수에서 양 군 동일하게 투여 전 보다 투여 후에 호전되는 추세를 보였다. 각군의 평가 점수들의 투여 후 결과는 투여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01). PVAS 점수는 BP group에서 3.55, NP group 에서 2.87로 BP group에서 오히려 0.68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p=0.088). 투여 전 ASES 점수는 두 군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반면 투여 후 점수는 BP group에서 57.31, NP group에서 64.24로 NP group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반면 FVAS 는 두군 모두 호전되는 추세는 보였으며 역시 NP group에서 높았으며 투여 후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동결기의 동결견 환자에게 1회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 및 경구 NSAID 제제에 추가로 투여한 경피 Buprenorphine 제제는 단기 추시에서 투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우월한 통증 및 기능적 임상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 (Ultrasound-Guided Injections in the Lumbar and Sacral Spine)

  • 고광표;송재황;김환정;김상범;민영기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5
    • /
    • 2018
  • 연구 계획: 문헌 조사 목적: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시술은 임상적으로 흔하게 경험할 수 있는 하요추부 통증이 보존적 치료에 실패한 경우 수술적 치료 이전에 흔하게 시행하게 되는 치료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추 및 천추부에 대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시술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함에 있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초음파를 이용한 중재 요법은 근육, 인대, 건, 혈관, 신경 등의 연부조직을 직접 관찰할 수 있으며, 환자나 시술자에게 방사선 노출이 없고,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C형 투시검사 장비처럼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요추부의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과 요추 및 천추부에서 시행할 수 있는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을 하였다. 결과: 요천추부의 정확한 초음파 중재 시술을 위해서는 검사 시 환자의 자세 및 해부학과 정상, 비정상 초음파 소견 등에 대한 숙지가 필요하다. 초음파를 이용하면 후방 관절 내 주사 및 내측 분지 차단술, 경막외 차단술, 선택적 신경근 차단술, 천장관절 주사를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 결론: 요추 및 천추부에서 초음파 유도하 중재 요법은 요천추부 통증의 치료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술기이다.

부자탕 추출물이 골관절염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ja-tang Extract on Osteoarthritic Animal Model)

  • 박중현;양두화;우창훈;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32
    • /
    • 2021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and possible underlying mechanism of Buja-tang, a herbal complex formula on experimental monosodium iodoacetate (MIA)-induced osteoarthritis. Methods Osteoarthritis models were created via intra-joint injection of MIA (50 μL with 80 mg/mL) in rats. Rat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each group consisted of seven. Normal group was not injected MIA and did a normal diet. Control group injected MIA and received distilled water. Indo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5 mg/kg of indomethacin. BJTL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100 mg/kg of Buja-tang. BJTH injected MIA and oral administration of 200 mg/kg of Buja-tang. We analyzed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oxidative stress related factor, antioxidant protein, inflammatory protein, inflammatory messenger and cytokine in joint tissue. Pathological observation of knee cartilage tissue structures was also performed with hematoxylin & eosin and safranin-O chromosomes. Results Weight-bearing ability of hind paws showed a tendency to reduce pain. The incidence of 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 phosphate oxidase and p22phox in articular tissu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incidence of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and heme oxygenase-1 and superoxide dismutas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incidence of phosphorylated inhibitor of κBα, nuclear factor-kappa B 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terleukin (IL)-6, and IL-1β decreased significantly. In pathological observation, cartilage tissue damaged by MIAs in biopsy has significantly recovered from Buja-tang administration. Conclusions Buja-tang has anti-inflammation, antioxidation and pain relief effects. So this is thought to inhibit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in rat caused by the MIA.

흰쥐의 adjuvant-induced knee arthritis에 대한 신음허 약침의 치료효과 (Anti-arthritic Properties of ShinEumHur-Herbal Acupuncture Assessed by Knee Circumference, Squeak Threshold and Weight Distribution Ratio in Rats)

  • 김건호;함대현;이한창;염미정;한동오;조미애;심인섭;김장현;이혜정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01-1006
    • /
    • 2004
  • In order to examine the anti-arthritic properties of ShinEumHur(SEH)-herbal acupuncture, an adjuvant-induced arthritic rat was generated by the intra-articular injection of dried cell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emulsified in squalene into the right knee joint. Fifty microliter of SEH extract was injected into Zusanli(ST36) acupoint on the ipsilateral hind paw every other day for 2 weeks. The body weight, knee circumference, squeak threshold, and weight distribution ratio were analyzed as the assessment methods addressing arthritic symptoms such as arthritic pain, edema, and tenderness. The weight distribution ratio was measured by a digital-type analgesia instrument using the dual channel scale that separately measures the weight the arthritic rat distributes to each hind paw, and thus quantifies both of swelling and pain severities at o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SEH-herbal acupuncture, assessed by squeaking threshold and weight distribution ratio, were observed on 8th day after the arthritis induction as compared to saline group and control group. On 10th day, SEH-herbal acupuncture therapy significantly started to alleviate the growing pattern of knee circumference of an arthritic rat in the range of 0.2㎝. However, the loss of body weight was not significantly recovered. Taken together, the SEH-herbal acupuncture exhibited the significant therapeutic efficiency to treat adjuvant-induced monoarthritis in rat.

골관절염 실험모델에서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골관절염 억제효과 연구 (Therapeutic Effects of Curdrania tricuspidata Leaf Extract on Osteoarthritis)

  • 남다은;김옥경;이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97-704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primary culture된 연골세포 in vitro 실험모델과 MIA로 유발한 골관절염 in vivo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꾸지뽕나무 잎 추출물의 관절염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MTT 시험법을 통해 세포 사용 적정농도를 $500{\mu}g/mL$ 이하로 결정하여 연골세포사멸 억제를 확인하고, 이를 근간으로 골관절염 동물실험 모델에서 골관절염 예방효과를 확인하였다. $H_2O_2$ 처리에 따른 산화적 독성으로 연골세포 사멸을 유도한 실험에서 꾸지뽕 잎 추출물은 정상세포 수준으로 사멸을 억제하였으며, 이러한 효과는 CTL80의 $200{\mu}g/mL$, CTL10의 $300{\mu}g/mL$ 농도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고 분해를 촉진시키는 MMPs(MMP-7, MMP-13)의 발현을 실시간 정량 PCR로 측정하여 발현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앞선 세포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CTL80과 CTL10 처리군에서 발현이 유의적으로 낮아졌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CTL80에서 MMP-7과 MMP-13의 발현이 농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CTL10의 경우 200, $300{\mu}g/mL$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동물실험에서의 적정농도를 결정하였으며, 동물독성실험 결과 이상이 없음을 확인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세포실험결과 선정된 두농도(200, $300{\mu}g/mL$) 간의 차이가 미미하여 동물실험에 적용할 경우 비슷한 실험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어 두 실험군 간의 결과를 정확히 구분 짓기 위해 200, $500{\mu}g/mL$ 농도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골관절염 유발 동물모델을 만들기 위해 SD rat의 관절강에 MIA를 injection 하였으며, 꾸지뽕 잎 에탄올 추출물 투여에 따른 관절염 예방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관절염 유발 2주일 전부터 1일 1회 경구투여를 실시하고, 유발 후 3주간 지속적으로 투여하고 관찰하였다. 동물 관절의 병리학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Micro-CT 촬영 및 분석을 실시한 결과 Control 군은 골의 강도와 밀도가 감소한 반면, 양성대조군인 MTX 투여군에서 정상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된 것을 확인하였고, CTL80-200군과 CTL10-500군에서 Control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수치가 감소하여 골관절염에 따른 손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동물의 관절조직의 H&E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인 변화에서는 골관절염 유발로 연골세포의 손상과 뼈조직의 손상을 관찰하였으며 관절형태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CTL80과 CTL10에서는 관절강 세포의 형태가 정상군과 비슷한 둥근모양을 띤 양상을 보였으며 연골조직의 형태가 잘 유지되어 Control 군에 비해 꾸지뽕잎의 투여효과가 나타났음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꾸지뽕 잎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관절염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항관절염 효능을 지니는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vitro 및 in vivo 퇴행성관절염 모델에서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생성 억제 (Inhibitory Effects of Schisandrae Fructus Ethanol Extract on the Produc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in vitro and in vivo Osteoarthritis Models)

  • 정진우;이혜현;김홍재;이기원;김기영;김성구;홍수현;김범회;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207-1214
    • /
    • 2017
  • 노화에 따른 퇴행성관절염은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병리학적 현상 중의 하나이다. 오미자 열매(Schisandrae Fructus)는 오랫동안 전통의학에서 여러 가지 만성질환 치료를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오미자 추출물이 SW1353 인간 연골세포에서 $IL-1{\beta}$에 의해 유발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최근 보고된 바 있으나, primary culture된 연골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의 퇴행성관절염에 대한 보호 및 치료 잠재력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L-1{\beta}$에 의해 유도된 primary culture된 쥐의 연골세포와 MIA에 의해 유도된 골관절염에 대한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의 활성에 미치는 오미자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오미자 추출물 처리는 $IL-1{\beta}$로 유도된 연골세포에서 MMP-1, -3 및 -13의 mRNA 발현 및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오미자 추출물은 MIA에 의해 증가된 MMP-1 및 -3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다.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은 퇴행성관절염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