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stinal duplication cys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신생아에서 맹장의 장 중복낭종에 의해 발생한 장 폐쇄 1예 (Intestinal obstruction caused by a duplication cyst of the cecum in a neonate)

  • 금승운;황민우;나종인;유승택;강동백;오연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261-264
    • /
    • 2009
  • 장 중복낭종은 드문 선천성 기형 질환으로 구강에서 항문까지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고 장관과 교통하기도 한다. 특히 맹장의 장 중복낭종은 더욱 드문 질환이다. 이들은 구토나 반복적인 복통과 위장관 출혈 및 변비 등의 증상으로 급성 장폐색을 발생시키며 생후 2년내 80%에서 발견된다. 저자들은 신생아에서 맹장의 장 중복낭종에 의해 발생한 장 폐색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Intestinal duplication revealed by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 Kerkeni, Yosra;Louati, Hela;Hamzaoui, Mourad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4호
    • /
    • pp.132-134
    • /
    • 2018
  • We report a unique case of intestinal duplication detected on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PRES) in a 13-year-old girl. She was admitted to the pediatric Emergency Department because of generalized seizures. Radiological assessment revealed a large, well-defined, thick-walled cystic lesion in the mid abdomen, suggestive of duplication cyst associated to a PRES. Exploration confirmed the diagnosis of ileal duplication cyst, and the mass was resected.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Both hypertension and neurological dysfunction resolved after the mass resection. A follow-up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performed 9 months later and showed complete resolution of the cerebellar changes. Although extrinsic compression of the retroperitoneal structures has not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as a complication of duplication cyst, we strongly believe that this is the most logical and plausible hypothesis that would explain the pathogenesis of PRES in our patient.

재발성 장중첩증 환아에서 병적 선두로 확인된 장중복 낭종 1예 (A Case of Intestinal Duplication Cyst Identified as Pathological Lead Point in a Child with Recurrent Intussusception)

  • 이건송;박지윤;오종석;성인창;한강민;이영석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1호
    • /
    • pp.75-80
    • /
    • 2010
  • 장중첩증이 재발한 15개월 여아에서 초음파 검사에서 병적 선두로 생각되는 낭성 종괴를 확인하였고 이중벽 징후와 인접한 소장 사이에 Y자 형상의 저반향 경계를 가지고 있어 중복 낭종으로 의심하였다. 이후 절제술을 시행하여 조직병리검사에서 인접한 회장과 근육층을 공유하고 낭종의 바깥쪽으로는 인접한 장 점막상피 조직과 안쪽으로는 이소성 위 점막 조직이 관찰되는 중복 낭종으로 확진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한우 송아지에서 발생한 십이지장의 중복낭종 (Duodenal Duplication Cyst in a Korean Native Cattle)

  • 김종민;한태성;박진욱;강성수;김근형;최석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6-548
    • /
    • 2011
  • 위장관계 폐쇄가 있는 선천성 중복낭종은 사람과 동물에서 아주 드물게 발생한다. 생후 5일령의 한우 송아지가 초유를 한번 섭취한 후 식욕부진과 무배변 등의 임상증상으로 본 대학병원에 내원하였다. 시험적 개복술에서 십이지장 근위부위에 장간막 반대측 벽내에서 난원형의 종괴($16{\times}7$ cm)를 확인하였다. 종괴의 장막층을 절개하여 수양성 내용물을 흡인한 후, 종괴 내강을 통과하여 십이지장 점막을 절개하였고, 상하부 위장관계의 개통성을 확인하였다. 송아지는 수술 후 회복하여 수술 3개월 후에도 특별한 임상증상은 없었다.

산전 진단된 난소낭의 자연 경과 및 치료 (Natural Course and Treatment of Fetal Ovarian Cysts)

  • 김현영;박귀원;정성은;이성철;김우기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05
  • With the development of fetal ultrasonography, detection of fetal ovarian cysts has been increased. Although ovarian cyst formation during the perinatal period is a self limiting process, there is still considerable controversy regarding the best treatment of the fetal ovarian cy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atural history of fetal ovarian cysts and to analyze the result of treatment. From 1995 to 2004, 31 consecutive fetuses with ovarian cysts were followed by ultrasonography during the perinatal period. The fetal ovarian cyst was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nography between 25weeks and 38 weeks and the mean size of the cysts was 5cm (ranged from 2 to 8cm). At birth, 3 cysts disappeared. In 2 cases, the diagnoses were changed to multicystic kidney disease and intestinal duplication. During following up of 26 cysts, 15 cysts have resolved completely. Seven cysts required oophorectomy because of cyst torsion (n=3), differentiation of tumorous condition (n=2), increased size of cyst (n=1), and large size (8cm) of cyst at birth (n=l). Fetal ovarian cyst should primarily be observed, and only in the limited cases, surgical treatment would be required for the risk of complications such as torsion and differentiation from benign to malignant pathology.

  • PDF

단일 병원에서의 재발성 장중첩증과 병적 선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Recurrent Intussusception and the Pathologic Lead Point in a Single Center)

  • 이건송;박윤준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2권2호
    • /
    • pp.163-170
    • /
    • 2009
  • 목 적: 저자들은 단일 병원에서 발생한 장중첩증의 환아들 중 재발성 장중첩증의 특성 및 예후 그리고 병적 선두의 유무 및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4년 5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장중첩증으로 단국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및 소아외과에 입원하였던 590명의 환자 중 2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발생한 54명의 환아와 비수술적 정복술에 실패하여 수술을 시행하고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병적 선두가 의심되었던 90명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44명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특성(재발률, 재발 횟수, 첫 재발까지의 기간, 정복술 각각의 재발률)과 병적 선두의 종류, 선두의 위치, 재발의 유무, 진단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예후는 3회 이상의 장중첩증이 있었고, 2009년 7월까지 전화방문을 통해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Pearson 선형상관분석, Fisher's exact test 그리고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중첩증의 재발률은 총 590명 중 54명(9.2%)이었다. 54명 중 남아 37명(68.5%), 여아 17명(34.2%)으로 남아에서 2.1배 더 많았다. 초기 중첩증 시 평균 연령은 11.7${\pm}$9.2개월(2~38)이었다. 재발의 빈도는 1회가 35명(64.8%), 2회 10명(18.5%), 3회 3명(5.6%), 4회 3명(5.6%), 5회 1명(1.9%), 6회 1명, 7회 1명이었다. 첫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30${\pm}$175일(12시간~3년)이었다. 재발의 빈도와 처음 재발사이 기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r=.0.064, p=0.643). 공기 정복술은 118회 시행 후 재발은 77예(65.2%), 바륨 정복술은 21회 시행 후 14예(66.7%), 도수 정복술은 9회 시행 후 3예(33.3%)로 재발률은 바륨 정복술이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0.131). 병적 선두는 전체 590명 중 18명 (3.0%)에서 관찰되었고,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의 환자 중에서는 7명(12.9%) 있었다. 병적 선두로는 림프양 증식증이 13예(72.2%), Meckel 게실 2예(11.3%), 중복 낭종 1예(5.5%), 소장 용종 1예, 그리고 선근종 1예가 관찰되었다. 다른 유도 병변으로는 맹장과 말단 회장에 선천성 밴드가 4예가 있었다. 재발성 장중첩증이 있었던 54명 중 병적 선두가 있었던 7명에서 중첩증 횟수의 평균은 4.7${\pm}$1.9회로 47명의 2.4${\pm}$0.9회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23).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었고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7.4${\pm}$19.8개월(2일~72개월)이었다. 수술을 하지 않았던 9명의 재발의 기간은 평균 18.8${\pm}$16.3개월(2일~45개월)이었고 마지막 중첩증 시 평균나이는 32.6${\pm}$16.2개월이었다. 추적관찰 동안 17명 모두 재발은 없었다. 결 론: 병적 선두가 존재하는 환아에서 재발성 중첩증의 빈도가 높으며 3회 이상의 중첩증이 있는 경우는 병적 선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제거술을 시행하거나 비수술적 정복술을 시행하며 추적관찰을 할 수 있다. 추후 중첩증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