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sexuality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7초

Intersexuality of Crassostrea gigas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 Lee, Jung-Sick;Lee, Yeon-Gyu;Kang, Seung-Wan;Park, Ji-Seon;Lee, Dong-Geun;Jeon, Mi-Ae;Ju, Sun-M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5권4호
    • /
    • pp.287-294
    • /
    • 2010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tersexuality of Crassostrea gigas and Ruditapes philippinarum in southern coastal waters of Korea. Methods : Specimens of Crassostrea gigas (n=363) were collected from six areas of Tongyeong, Geoje and Yeosu. Ruditapes philippinarum (n=221) was collected from five areas of Yeosu. The sex ratio and intersexuality were determined after observing gonad preparations. Results : The rate of intersexuality in Crassostrea gigas was 16.25%, with females (24.79%; n=30/121) exhibiting a higher rate than males (11.98%; n=29/242). The rate of intersexuality in Ruditapes philippinarum was 24.43%, with females (37.76%; n=37/98) exhibiting a higher rate than males (13.82%; n=17/123).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sexuality is induced by aquatic pollutants such a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베트남 하롱베이 이매패류 2종의 intersexuality (Intersexuality of Two Bivalve Species in Ha Long Bay, Vietnam)

  • 신윤경;김수지;전미애;이연규;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7-380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concentration of metal ions in sediment and intersexuality in Polymesoda erosa and Lutraria lutrari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areas of Ha Long Bay in October, 2012. The concentration of metal ions showed that Al ($37390.0{\pm}11816.5mg/kg$) was highest and Mn ($360.4{\pm}101.4mg/kg$) was second high concentration. Cd ($0.04{\pm}0.05mg/kg$) was lowest. The intersexuality was 14.3% in P. erosa and 9.1% in L. lutraria that observed only in female.

Intersexuality of Scomberomorus niphonius from the Coastal Area around Jeju Island, Korea (Teleostei: Scombridae)

  • Kim, Jong Bin;Chang, Dae Soo;Kim, Hyejin;Jeon, Mi Ae;Ku, Kayeon;Lee, Jung Sic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2호
    • /
    • pp.73-78
    • /
    • 2013
  • This study histologically describes the intersexuality of Scomberomorus niphonius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 near Jeju Island. A total of 126 S. niphonius, collected from March to July 2012 with a total length of 62.4 cm (${\pm}17.5$) and a total weight of 1,701.9 g (${\pm}1,528.9$) were used for analyses. From a histological perspective, two types of intersex were confirmed. One type had scattered germ cells from the opposite sex within the gonad. The second type developed germ cells from the opposite sex 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outer gonadal membrane. The intersexuality was 14.3% (n=18/126), with females (21.3%; n=16/75) exhibiting a higher rate than males (3.9%; n=2/51). There was no displayed correlation between intersexuality and the total length and weight.

Gonadal Abnormality and Intersexuality of Oplegnathus fasciatus (Teleostei: Oplegnathidae) Collected from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 Case Report

  • Choi, Ji Sung;Shin, So Ryung;Kim, Hyeon Jin;Kim, Hyejin;Kim, Yeonghye;Lee, Jung Sick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5권3호
    • /
    • pp.123-131
    • /
    • 2021
  • We report on the gonadal structure abnormality and intersexuality found from a survey regarding the reproductive potential of the rock bream, Oplegnathus fasciatus,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n total, 448 samples were collected for histological analysis (total length 27.5±6.8 cm; total weight 522.9±385.6 g). The sex ratio (F:M) was 1:0.46 (n=307:141), with 68.5% being females. The frequency of oocyte atresia and ovarian neoplasm in the females was 85.3% and 21.5%, respectively, and the frequency of testicular lobule and cyst deformation and testicular neoplasm in the males was 73.1% and 37.6%, respectively. The scale formation in the ovary and testis was approximately 2.0% for both sexes. The intersexuality was 42.2%, with the intersexuality among females being 49.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s (26.2%). Such findings indicate a negative impact on the reproductive output of the rock bream along the southern coast of Korea; however, a more detailed study is required to ascertain accurate causes.

한국에서 이매패류 5종의 이성생식세포 발현 (Intersexuality of Five Bivalves Species in Korea)

  • 김혜진;전미애;주선미;강승완;김재원;이연규;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7-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안의 생태학적 건강도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매패류 5종 (굴, 지중해담치, 바지락, 대복, 둥글레조개) 에서 발견된 이성생식세포 발현현상을 보고한다. 암컷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 현상은 반대 성의 생식세포들이 난자형성소낭 내부와 소낭 사이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나타나는 형태였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현상이 관찰된 정소에서 난모세포들은 대부분 난황형성전기 또는 난황형성개시기 단계였다. 이들은 단독으로 산재되어 있거나 또는 정자형성소낭의 내부와 소낭 사이에 무리지어 존재하고 있었다. 굴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10.4% (n = 19/183) 로 수컷 (9.7%, n = 13/134) 보다 암컷 (12.2%, n = 6/49) 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중해담치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31.7% (n = 19/60) 였으며, 수컷 (25.9%, n = 7/27) 보다 암컷 (36.4%, n = 12/33)에서 높게 나타났다. 바지락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11.2% (n = 11/98) 였는데, 암컷 (7.1%, n = 4/56) 보다 수컷 (16.7%, n = 7/42) 에서 높았다. 대복의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28% (n = 30/107) 로 암컷 (24.5%, n = 13/53) 보다 수컷 (31.5%, n = 17/54) 에서 높았다. 둥글레조개에서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약 18.4% (n = 7/38) 였는데, 수컷 (8.3%, n = 2/24) 에 비해 암컷 (35.7%, n = 5/14) 에서 높았다.

한국 남해안 가막만에서 채집한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미량금속 농도, intersexuality 및 소화선의 조직학적 변화 (Concentration of Trace Metals, Intersexuality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of Ruditapes philippinarum from Gamak Bay in Korea)

  • 전미애;김혜진;최지성;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2
    • /
    • 2015
  • 본 연구는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체내 미량금속 농도, 이성생식세포 발현과 소화선의 조직학적 지표 변화를 이용하여 이들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는 2010년 5월 한국 남해안의 가막만 3곳에서 채집하였다. 금속이온의 체내 축적 농도는 분석된 10가지 금속 이온 가운데 Al이 가장 높았으며, 두 번째로 Zn이 높았다. 그리고 Co가 가장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18.5%로 나타났으며, 암컷에서 더 높았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형태는 한 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지표는 소화선의 조직학적 변화, 호염기성세포와 지방갈색소의 분포비율을 이용하였다. 소화선에서는 소화선세관 상피층의 파괴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호염기성세포의 분포 비율은 5.8%로 나타났고, 지방갈색소 분포 비율은 1.8%였다.

한국 여수 인근 무인도 해역에서 굴 Crassostrea gigas의 인터섹스 출현율 (Intersexuality of Oyster, Crassostrea gigas in Uninhabited Island Waters Near Yeosu, Korea)

  • 박정준;신소령;김현진;오한영;이동근;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8-96
    • /
    • 2021
  • 본 연구는 여수 인근 13개 무인도 주변 해역의 굴 Crassostrea gigas (n=410, SH 43.3±11.4 mm)에서 확인된 인터섹스 현상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전체 성비(암:수)는 1:1.1이었으나 채집 정점별로 성비의 차이를 보였다. 가장도, 소경도, 중삼도에서는 암컷이 65%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송도, 초도, 부서도에서는 수컷이 65% 이상의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전체 intersexuality 는 약 12.8%로 암컷에서 약 34.7%, 수컷에서 약 64.3%로 수컷에서 높았다. Intersexuality는 가막만의 초도에서 약 43.8%로 가장 높았다. 조직학적으로 인터섹스는 intrafollicular type, interfollicular type, mixed type의 세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었다. 이들 세 가지 형태 가운데 intrafollicular type이 약 81.6%로 가장 우세하였다. 본 연구에서 보고된 굴의 인터섹스 원인에 관해서는 추후 세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산업단지 인근 연안 어류의 성비와 intersexuality (Sex ratio and intersexuality in coastal fishes near industrial complex of Korea)

  • 이정식;김재원;박정준;주선미;박지선;이동근;윤태웅;최경희;윤준헌;엄익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1-219
    • /
    • 2010
  • 분석에 이용된 어류는 울산/온산, 시화/안산 및 여수/광양의 산업단지 인근 해역에서 2008년과 2009년에 채집하였다. 분석에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누치(Hemibarbus labeo),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숭어 (Mugil cepha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a)1,289개체가 사용되었다. 전체 개체의 성비 (암:수)는 1:0.73이었다. 각 지역별 성비는 울산/온산에서는 1:0.79, 시화/안산지역에서는 1:0.81, 여수/광양지역에서는 1:0.25로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전체 intersex 출현율은 11.7%였다. 각 지역별 intersex 출현율은 울산/온산에서는 4.98%, 시화/안산지역에서는 14.39%, 여수/광양지역에서는 25.0%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intersex 출현율은 울산/온산에서는 암컷에서 높았으나 시화/안산과 여수/광양에서는 수컷에서 높았다.

한국 남해안 가막만에서 채집된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체내 중금속 농도와 생식 및 조직학적 지표 변화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and Alteration of Reproductive and Histological Biomarker of Mytilus galloprovincialis in Gamak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전미애;강주찬;이정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3-41
    • /
    • 2013
  • 본 연구는 지중해담치,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체내 중금속 농도, 이성생식세포 발현과 소화선의 조직학적 지표 변화를 이용하여 이들의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시료는 2010년 5월 한국 남해안의 가막만 2곳에서 채집하였다. 금속이온의 체내 축적 농도는 분석된 10가지 금속 이온 가운데 Al이 가장 높았으며, 두번째로 Zn이 높았다. 그리고 Co가 가장 낮은 농도로 나타났다. 이성생식세포 발현율은 26.4%로 나타났으며, 수컷에서 더 높았다. 이성생식세포 발현 형태는 네 가지 형태가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지표는 소화선의 조직학적 변화, 호염기성세포와 지방갈색소의 분포비율을 이용하였다. 소화선에서는 소화선세관 상피층의 파괴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호염기성세포의 분포 비율은 6.1%로 나타났고, 지방 갈색소 분포 비율은 1.5%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