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variables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3초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부하의 일-가정 갈등 및 대인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매개 및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on strain-based work-family conflict and interpersonal deviance)

  • 김다미;정현선;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1호
    • /
    • pp.87-118
    • /
    • 2016
  •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정서노동이 동료들을 향한 대인 일탈행동 및 가정 영역에서의 일-가정 갈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정서노동 간의 관계에서 위계적 조직풍토의 조절효과, 정서노동과 일-가정 갈등, 대인 일탈행동 간의 관계에서 각각 가정지원인식, 조직 내 사회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했다. 다양한 직종의 현직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91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비인격적 감독을 높게 지각할수록 상사를 향한 부하의 정서노동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인격적 감독은 상사에 대한 부하의 정서노동이라는 매개과정을 통해 조직 구성원의 일-가정 갈등을 높이고 대인 일탈행동을 증가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불어, 위계적 조직풍토를 높게 지각할 경우 비인격적 감독과 부하의 정서노동 간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그리고 연구가 갖는 한계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통합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 김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83-79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84, p<.001),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5, p<.001)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64.462 p<.001). 학업 스트레스(β=-.542, p<.001), 대인관계(β=.339, p<.001), 주거형태(β=.199, p<.001)가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4.6%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이고 원활한 대인관계 향상, 정서적 지지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대학생의 우울수준 및 그의 관련요인 (Depression Symptom Level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 박의수;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19-230
    • /
    • 2018
  •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D광역시의 남녀 대학생 546명을 대상으로 2015년 10월에 자기기입식 설문지(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우울수준을 종속변수로, 관련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변수들 간의 단변량 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및 다변량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수준은 개인적인 속성,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의 여러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이 나타날 위험비는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높은 군에 비해 낮은 군에서, 자기존중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통제신념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스트레스가 정상인 군보다 고위험스트레스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조사대상학생들의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교유무, 가족 및 친구의 사회적 지지, 대인의존행동특성, 통제신념 및 스트레스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은 개인적인 속성, 가정생활 및 학교생활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등 다양한 요인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행동특성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을 경우 증가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경험하는 우울수준에 관련된 요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요인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의복 구매 유형에 관련된 상황 변수 연구 -계획구매, 비계획구매, 충동구매를 중심으로-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Purchase Types -Planning Purchase, Unplanning Purchase, and Impulse Purchase-)

  • 신정희;박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36-548
    • /
    • 1994
  • The pup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typ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ituational variable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purchase type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Data was collected from 530 women living Pusan and analyzed by the factor analysis, person correlation,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purchasing situations were found out to be different on clothing purchase types. In planning purchase, consumers were affected by printed and tele-communication information search and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information search in unplanning purchase. In impulseing purchase, consumers were affected by store information search. It was found out that consumers with high rational clothing involvements were affected by only the purchasing situations when they would buy clothing, but consumers with high emotional clothing involvements were affected by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as well as the purchase situations. Consumers with high self monitoring traits were not affected by the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mostly the purchasing situa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purchasing situation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 communication situating or purchasing situations were differently influenced on clothing purchase types.

  • PDF

다면적인 가격지각이 의복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 - 구매태도 및 행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The Multi-Faceted Influence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Process of Apparel Products - Relationships with Attitudinal and Behavioral Variables -)

  • 이규혜;이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15
    • /
    • 2002
  • The multi-faceted influence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process of apparel products: Relationships with attitudinal and behavioral variables Pric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clothing products not only because of its practical, emotional and symbolic attributes but also because of its wide range and frequent chan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ulti-faceted influence of price on consumers' purchasing process of clothing products. Six types of price-perceptions were related to various attitudinal and behavioral variables in a clothing purchas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720 adult women living in Seoul.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t-test and canconical correlat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Low price conscious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product-oriented aspects of clothing and effected the one-price sale, visiting public markets and using interpersonal sources of price information. Value for money consc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duct-oriented aspects of clothing and consumers' age or marriage and effected price considerations at the on-purchase and post-purchase stage. Price-quality inference was related to product-oriented and market-oriented aspects of clothing while price-prestige inference was related to visual and symbolic aspects of clothing and effected normal-price purchasing. Sale proneness was related to market-oriented aspects of clothing and effected seasonal sale price purchasing and price mavenism was related to market-oriented and visual aspects of clothing and effected price considerations at the pre-purchase stage.

어린이집 교사의 개인변인과 기관변인에 따른 직업행복감 연구 (A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 강은진;김정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9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 of career happiness according to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35 teachers wer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career happiness survey tool was examin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pert review, and factor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individual variables influencing career happiness of childcare teachers were mainly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over 40 years old and teachers under 29 years old. Second,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a high level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working hours. The teachers at workplace daycare centers have a good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and teachers at corporate group daycare centers have a high sense of happiness about income. The childcare teacher's career happiness was generally higher than infant teachers, and the support of the assistant teacher had an effect on the career Happiness of th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eparate teacher support is needed to increase the career happines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age and institutional variables.

자녀의 부모화(parentification)에 관한 국내연구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of parentification in Korea(from 2003 to 2015))

  • 석미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3-75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sis the trends of and issues in research about parentification in Korea up to date,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Methods: For this purpose, eighty one theses and articles about parentification, published from 2003 to 2015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research method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nd related variables with the parentification. Results: Consequently,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Second, the main research subjects were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 of parentification,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family. Third, the common research objects were undergraduate student/graduate student and youth(middle/high school students). Fourth,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have been used mainly. FRS-A(Filial Responsibility Scale-Adult) and FRS-Y(Filial Responsibility Scale-Youth) have been used most. A high frequency related variables with parentification were the affectiveness-related variables, in particularly, the shame proneness is the highest correlation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objects should be more varied and the Korean parentification measurement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inclin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on child's loneliness)

  • 김은경;이진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2
    • /
    • 2010
  • 본 연구는 전북 K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6학년 남녀 아동 588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아동용 자기보고 설문지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척도(PACI), 아동의 대인관계성향 척도, 아동의 외로움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외로움 수준은 대체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부모와의 의사소통 수준은 약간 개방적인 경향을 보였다. 아동의 대인관계성향은 사교-우호적 성향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이 독립-책임감적, 동정-수용적 성향으로 나타나 대체로 긍정적인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아동의 외로움은 부적상관을 나타내었고, 대인관계성향의 하위변인들과도 대부분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수록, 사교-우호적 성향이 낮을수록 아동의 외로움 수준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아동이 외로움을 느끼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 발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가정과 사회의 관심과 지원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유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Nursing Students)

  • 조영희;이은미;오윤정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1호
    • /
    • pp.117-124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유능성 및 대학생활적응 간 관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대학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73명으로,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2년 9월 10일에서 10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감성지능(r=.760, p<.001), 의사소통능력(r=.600, p<.001), 대인관계유능성(r=.451,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은 감성지능(𝛽=.543, p<.001), 의사소통능력(𝛽=.433, p=.001), 대인관계유능성(𝛽=.283, p<.031)으로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총 설명력은 59.9%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능력을 함양하고 대인관계유능성 향상을 돕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교육과정 동안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서 대학생활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판매원과 고객간의 장기적 관계 발전에 관한 고찰 (The Study on the Developing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 and Customer)

  • 안소현;이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230-124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eply understand the developing of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 and customer through analyzing of various literature. Salespersons are important due to their forefront position in retailing setting. They are called \"relationship manger\" due to their function of controlling service quality.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alesperson-customer relationship is critical in retail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at first, the concept of relationship marketing and the domain of relationship marketing is examined. Then long-term relationship is studied through existing study on buyer-seller relationship. Anticipation of future interaction or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is generated from antecedent variables through mediating variables. Though previous studies ignored developing status of long-term relationship, developing status must be captured to thoroughly underst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lication for relationship marketing theory and research are discussed related to clothing retail setting.l set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