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Control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18
  •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원시실험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변수의 평균 순위값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다. Wilcoxon Signed Ranked Test 결과, 실험처치 전후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전략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계촉진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20; p=.040),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6, p=.041). 본 연구 결과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볼 수 있으나,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유사실험연구로 실험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여자 중학생 대상 욕설 중재 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ofanity Intervention Application)

  • 조미경;신기수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88-9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profanity intervention applica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ggression, and empathic ability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freshmen students at a girls' middle school in Gyeonggi-do. The profanity intervention application was implemented from November 20th to 27th, 2017. The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one week before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pectively. The study was designed a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3.0 (Chicago, IL). A homogeneity test between the two groups was performed using $x^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Results: The two group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in the pre-tes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fanity intervention application, agg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F=20.17, p<.001) and interpersonal reactivity (F=5.92, p=.023) and empathy (F=11.10, p=.003)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mong the factors related with aggression, verbal aggression, anger, and hostility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Meanwhile, among the factors of interpersonal reactivity, empathic concern and perspective-taking significantly increased and, among the factors of empathy, cognitive empath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hat can consistently improve the moral and ethical sensitivity of students should be presented starting from elementary school to prevent verbal violence in adolescents.

조선족 근로자의 직업 관련성 사회 심리적 요인, 문화적응 요인과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Psychosocial and Acculturative Factor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Korean-Chinese Migrant Workers Living in Korea)

  • 김선정;이현경;안현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8-40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WMSD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related psychosocial and acculturative factors and WMSDs among Korean-Chinese workers living in Korea.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195 Korean-Chinese workers who have worked full-time for the past 6 months.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measure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physical demand, work-related psychosocial(job demand,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acculturative (acculturation strategy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personal factors,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WIN 17.0. Results: The prevalence of WMSDs was 64.1%. In comparison to Korean workers, job demand of this group was lower while both interpersonal conflict and lack of job control were higher among them. Integration was the most commonly used acculturation strategy and mean scores of acculturative stress were below the median. Acculturative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Interpersonal conflict and integration appeared to be related to WMSDs among male and female Korean-Chinese worker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WMSD interventions need to b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different influences of work-related psychosocial and acculturative factors on WMSDs by gender.

사회복지생활시설 종사자의 대인관계 기술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융합 연구: TSL 프로그램 개입을 통한 의생명과학적 효과 검증 (A Convergence stud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Job Stress among Social Welfare Residential Facility Worker: Focusing on Intervention through TSL program)

  • 최장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27-23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생활시설종사자의 대인관계기술 향상과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인 TSL-JSM(Job Stress Management)의 효과를 사회과학과 의생명과학적 방법을 융합적으로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유사실험 설계를 활용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소재 사회복지법인 산하 생활시설의 종사자 중 자발적 참여자로 구성된 실험집단 7명, 비교집단 7명, 통제집단에 7명이 배정되었으며, 실험집단에는 12회기로 이루어진 TSL-JS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비교집단에는 12회기의 시설 종사자들의 대인관계기술 강화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최종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분산분석, 윌콕슨 순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타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유의미한 대인관계 기술 향상 및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보였으며 의생명과학지표인 심박변이도와 코티졸의 긍정변화가 검증되었다.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elf-control learning ability of adult college students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 강윤정;김문섭;김진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171-176
    • /
    • 2019
  • 본 연구는 성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 재학 중인 4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학교생활만족도,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셀프리더십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보상 전략, 건설적사고 전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요인인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메타인지 전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학교생활만족도는 셀프리더십 및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A program for enhancing the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terpersonal abilities and accultural abilities)

  •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채정민;이영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3권2호
    • /
    • pp.33-54
    • /
    • 2007
  • 본 연구는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상호 간의 문화와 개인적 특성을 파악하여 좀 더 원활한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 집단상담프로그램의 구성과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 연구들에서 실제 검증되지 못한 프로그램들이 가진 장점을 최대한 반영하여 양측 주민들이 동등한 입장에서 상호의존적 협동 작업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대인관계 능력을 획득하고, 상대방 문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각 회기는 1.5시간씩이고, 총 4회기로 1주일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조사에 의해 검증되었고, 통제군도 설정되어 있는데, 통제군에 비해 본 프로그램 참가군이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단, 북한이탈주민 중 5명이 중도에 이탈하여 프로그램 효과 중 남한 주민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신뢰감을 낮추는 효과가 발생하였다.

  • PDF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Nonviolent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 Interpersonal Competence, Job Stress and Spiritual Wellness)

  • 심봉희;이영숙;안성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75-386
    • /
    • 2016
  • 본 연구는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 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인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3년 6월1일부터 10월20일이며, 자료수집은 J시에 소재한 G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실험군14명, 대조군 15명으로 총 29명이었다.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6주간 진행하였고, 간호사의 근무특성상 1주에 3회기를 진행하였으며, 각 회기 당 소요된 시간은 60분이었으며, 대조군에게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았다. 자료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검증, Fisher's exact t-test로 분석하였다. 대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직무스트레스, 정신적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은 대인관계 능력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다(F=7.726, p=0.002). 둘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시기와 집단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F=0.142, p=0.851). 셋째, 비폭력대화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사들은 정신적 웰니스는 시기와 집단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다(F=31.355, p=0.000). 결론적으로 비폭력대화프로그램은 임상간호사들의 대인관계능력과 정신적 웰니스를 증진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추후반복연구가 시행되어야할 것이다.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dlerian Encouragement Program on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유리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심리학에 기반한 격려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이며, 1회기는 프로그램 소개 및 긍정 별칭 만들기, 2~5회기는 열등감과 낙담시키는 생각 버리기, 성공 경험 포스터 전시회, 장점 나무 만들기, 6~7회기는 자기 격려와 타인 격려, 8회기는 종결하기이다. 연구대상은 G시 소재 I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40명이며, 한 학급 21명은 실험집단에, 또 다른 학급 19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인관계 만족도 척도(김진옥, 2010), 자기효능감 척도(한혜진, 2002), 자아존중감 척도(최보가, 전귀연, 1993)로 사전, 사후검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하였다. 연구 결과, 격려 프로그램은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나, 자기효능감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아들러 심리학의 격려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아들러 심리학의 핵심 기법인 격려가 건강한 발달 및 민주적인 학급경영을 위한 중요한 교육 철학이자 방법임을 시사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 성미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7-330
    • /
    • 2001
  •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270 students of a single university in Busan.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as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ng lifestyle (47 items), control(8 items), perceived health status(6 items), self-efficacy(17 items), and social support(18 items). Data analysis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a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less than 2.43.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2.94)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1.93). 2) Students who were older an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and interpersonal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higher grad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support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disea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subscal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exercise had higher scores in health responsibility, exercise and nutrition subscale. 3)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trol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4) Significant correlations was found between most of the subscales and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5) Social support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Control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self actualization and health responsibility. Perceived health statu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only with the exercise and nutrition subscale. Self-efficacy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all subscale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except exercise and nutrition, stress management subscale. 6)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factor predicting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nursing students(31%). Social support, excercise self-efficacy and control accounted for 35%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nursing students.

  • PDF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조직몰입 및 간호업무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Nursing Performance)

  • 박미경;박경님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3-71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nurses'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nursing performanc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m. Method: A total of 330 clinical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nursing experiences were recruited from 10 hospitals in G city and J province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March, 12 to April 21, 2007. For data analyzed using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ependent, dependent, and interpersonal nursing performances.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independent, dependent, and interpersonal nursing performanc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nursing performance ability will be enhanced by hospitals' active supports such as empowering individual nurses' self-leadership through enlarging their autonomy and strengthening their ability to control themselv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