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Conflict of IS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2초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융복합적 관련성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Subway Operators after the Installation of Screen Doors)

  • 최숙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77-386
    • /
    • 2017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지하철 기관사 669명을 대상으로 안전문(screen doors) 설치 이후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로 웹 사이트에서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전체 점수는 기준 점수 보다 높았으며,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및 직장문화는 상위 50%에, 조직체계는 상위 25%에 해당되었다. 상관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정신건강 하위영역 모두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및 직장문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설명력은 36.6%이었다. 향후 지하철 기관사의 직무스트레스 예방을 위해 직무특성에 맞는 조직차원의 관리방안마련과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근거마련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사이버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 -배경변인별 차이를 중심으로- (Perception on Career Barriers among Cybe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이지혜;곽윤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46-54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소재 사이버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의 개인 배경변인별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진로발달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소재 한 사이버대학에 재학 중인 20세 이상 성인학습자로 온라인 설문에 응답한 총 937명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배경변인별 분석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20대가 30~50대보다, 비직장인이 직장인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진로장벽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하위영역 별로는 '미래불안', '흥미부족', '직업정보부족', '대인관계어려움'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지각 수준을 보였다. 연령별 분석에서 5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게 지각한 영역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이 유일했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진로장벽을 극복하기 위해 맞춤형 진로발달 프로그램과 상담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tress on Job Burnout of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 최은영;김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7-110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levels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perceived by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in school foodservice in Gyeongsangnam province and to analyze job stress factors affecting job burnout. A total of 27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December 10 to 29, 2010 and 252 were returned (response rate : 93.3%). A total of 245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usage rate : 90.7%), excluding seven improper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00% of the respondents were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38. 60% were nutrition teachers and 40% were dietitians. The level of job stress and job burnout of the respondents were 2.89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and 3.70 (on a 7-point Likert scale), respectively. In regard to job stress factors, job demand (3.97) recorded the highest scores, followed by organizational system (2.99), lack of reward (2.85), interpersonal conflict (2.69), job insecurity (2.63), organizational climate (2.63),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2.45) in that order. Exhaustion burnout (4.60) recorded the highest points among job burnout factors, followed by cynicism (3.46), and professional efficacy (3.04) in that order. Job stress factors affecting job burnout were organizational system (p<.001), job insecurity (p<.001), lack of reward (p<.001), and organizational climate (p<.01).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human resources management strategies to lower job demand and workload in order to reduce job stress and job burnout for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school foodservice.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in local government workers)

  • 홍민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471-483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to evalu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stress-related factors. Methods : Data was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260 local officials in Gangwondo. The research comprised three questions relating to subjective oral symptoms, an occupational stress measurement tool and an oral health impact factor which was composed of questions. The data was analysed using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in Amos. Results :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drinking frequency,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drinking frequency, smoking amount and occupational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oral symptoms. It denoted that drinking frequency,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OHIP. The path model had an excellent goodness of fit (p=0.07, namely p>0.05). Five 'goodness-of-fit indices' of the model were all above 0.9: GFI=0.987, AGFI=0.952, NFI=0.902, IFI=0.939, CFI=0.934), and its RMSEA was 0.045. Occupational stress and oral symptoms had a firsthand impact on OHIP. In addition, it affected OHIP through the parameters of oral symptoms. Occupational stress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drinking frequency, drinking frequency exercised a firsthand influence on smoking amount. Smoking amount had a firsthand impact on oral symptoms. Conclusions: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oral hygiene environment through reduction in drinking and smoking also need to focus on relieving stress by improving workplace culture. In addition, due to good communication is required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caused by interpersonal conflict.

유기불안이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bandonment Anxiety on Psychological Dating Viol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Relationship Addiction)

  • 박미소;이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48-261
    • /
    • 2021
  • 본 연구는 유기불안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40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기불안 척도(AAS), 거부민감성 척도(RSQS), 관계중독 질문지(RAQ-30), 심리적 데이트폭력은 갈등 관리 척도-2(CTS-2)와 통제행동척도(APCS)을 합산한 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불안, 거부민감성, 관계중독, 심리적 데이트폭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유기불안과 심리적 데이트폭력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기불안이 거부민감성과 관계중독을 이중 매개 하여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기불안이 심리적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하고, 가시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부정적인 대인관계패턴에서 치료적 개입과 교육적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일선 간호관리자를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first-line nurse managers)

  • 고명숙;한성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333-345
    • /
    • 2000
  • The health care environment becomes more competitive every day. It has fallen to nurse managers - from vice presidents of patient care to nurse managers and their assistants - to recruit and develop a workforce that successfully meets the needs of both patients and the organization. This means employees who demonstrate advanced critical thinking skills,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sound decision making skills combined with clinical skills and patient advocacy. The environment which nurse managers create and the way they relate to their workforce, are pivotal to organizational viability. Especially leadership of first -line nurse managers contributes to the success of their organizations. First-line nurse managers are deserved to be one of the most administrative supervisors through the middle stratum in a hospital organization as being a manager in the field service if assessed from the overall aspects of hospital, as being an interim managers in the nursing department as well as being a supreme supervisor in a unit in terms of an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hospital. Similarly, as a compete leader, the first-line nurse managers have not only a professional which is qualified to perform a role of appropriate coordination with medical staff and key personnel but also hold an important key position a being responsible for performing his or her given role. The first-line nurse manager is expected to manage human and fiscal resources in ways not required before. While an identified need for well-prepared first-line nurse manager continues to plague the profession, first-line nurse managers often have difficulty providing the leadership required. The need leadership training to function effectively in their positions. But we hardly find a useful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first-line nurse manag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d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r them. The steps of leadership program development were below: 1st step, 2 studies were done before develop a leadership program. One was done to ask to first-line nurse managers what they want to learn through leadership training, the other one was to ask the staff nurses what their opinions are for their first-line nurse managers leadership. 2nd step was searching other leadership programs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below: The total amount of hours is 24. Leadership training program contents are : Future of nursing profession (210min), understanding basic factor's of leadership and leadership theories(310 min), self understanding as first- line nurse managers(320 min), basic principle and practi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210 min), assertiveness training, conflict management (180min), and group study(210min). This is challenging time to be a leader, especially in nursing. As nurse managers look toward the new millennium, it seems as through the same struggles are ahead that are behind. So nurse managers need to embrace change with a positive attitude. They need to demonstrate risk taking and support it in their staffs. All these things are possible that after they participate the leadership training program.

  • PDF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 분석 (Analysis of Convergent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Administrative Staff)

  • 김승희;배상윤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365-375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와 관련된 융복합적 요인들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임의로 선정된 전라북도 지역 11개 종합병원의 재직자 221명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7년 1월 31일까지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교대근무 군이, 병원직원수가 많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직무특성의 직무다양성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의 관계갈등 및 보상부적절이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61.0%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직무특성 및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 및 인적자원관리에 활용이 기대된다. 향후연구에서는 병원행정직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추가요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이 필요하다.

국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Job Stress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Korea)

  • 심선화;김은주;박은영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5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알아본 연구 15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개별 논문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효과크기(Fisher z)를 계산하였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들에 대한 관련 변수들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계산을 실시하였다. 결과 : 관련 변수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를 알아본 결과, 교육수준, 급여, 나이와 기타의 경우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변수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이직의도(ES = 1.161)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에 대한 관련변수의 효과크기 분석 결과, 관계갈등, 조직체계 및 직무자율의 하위요인에서는 유의한 효과크기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물리적 환경, 부적절한 보상, 고용불안, 직무요구 및 직장문화에서는 유의한 효과크기의 관련변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전체 직무스트레스에서 나타난 변수들의 효과크기와 하위 변수별로 분석한 변수들의 효과크기는 다르게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심리적인 요인인 만족도, 소진, 자기효능감은 개별 하위요인에 따라 중간 크기의 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는데, 작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포츠 정신의학 (Sports Psychiatry)

  • 한덕현;나철;이영식
    • 정신신체의학
    • /
    • 제12권2호
    • /
    • pp.95-102
    • /
    • 2004
  • 연구배경: 정신적인 면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스포츠에 정신과적인 관심은 체계적으로 적용되지 못해왔으며 심리학에 비해 관심의 정도나 다양성은 많이 부족하였다. 이번 스포츠 정신의학의 소개는 기본적 개념과 영역을 간단히 논함으로써 정신과 의사로써 스포츠를 보는 다양한 시각을 제공하고 정신과 의사가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역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결과 및 토론 : 운동선수들의 심리학적 발달 단계를 이해하는 것은 그들의 정신 구조를 알아가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어린 시절부터 지속되어온 일정한 성향은 시합 중에 혹은 연습 중에 간혹 보일 수 있는 문제점을 신속히 알아내는 데 많은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운동의 정신 생물학은 운동 선수들의 정신 상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호르몬이나 신경 전달물질 같은 생물학적인 면을 논하게 된다. 운동 선수의 훈련이나 경기 중 일어날 수 있는 정신적 문제를 크게 5가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choke, 슬럼프, 부상, 대인관계, 훈련딜레마. 선수들도 일반인들과 똑같이 정신과적 모든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 정신치료, 집단치료, 가족치료, 약물 치료 등 정신과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치료법은 스포츠정신의학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결론: 비록 정신과 의사들이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들은 임상적 상황이 되겠지만 선수들 운동과 인생 전반에 걸쳐 벌어지는 선수들의 역할과 갈등에 관심 가짐으로써, 자신의 운동과 인생을 즐기며 살아가는 더 많은 인본주의적인 선수 출현에 일조했으면 한다.

  • PDF

일 지역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특성과 우울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 유선영;이다영;이정현;김지애;전경선;김도훈;심민영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4-93
    • /
    • 2019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s it is seen to be corresponding with the work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Methods : The data of 671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July to December 2015 as a part of an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Likewise,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including a short form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the results of which were evaluated and reviewed. Results : The study noted that th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related to depression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work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fter adjusting for age and job grade.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variables of job insecurity, lack of reward, organizational system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 depressed mood in the participant in a general sense. Notably, the factor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ed mood among the general administrative group; meanwhile, lack of reward in the welfare group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 the technical group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a depressed mood in participants reviewed. In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group, job insecur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depressed mood, whereas job demand was related more with the incidence of depression in the field work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epression varie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s in the work environment. These findings may be used to enhance the occupational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according to their work characteristics, to bring awareness to this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