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te support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초

고해상도 스테레오 카메라와 저해상도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다시점 영상 생성 (Multi-view Generation using High Resolution Stereoscopic Cameras and a Low Resolution Time-of-Flight Camera)

  • 이천;송혁;최병호;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A호
    • /
    • pp.239-249
    • /
    • 2012
  • 최근 자연스러운 3차원 영상의 재현을 위하여 깊이영상을 이용한 영상합성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깊이영상은 시청자의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합성영상의 화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이므로 정확한 깊이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깊이 카메라(time-of-flight camera)는 보다 정확한 깊이영상을 획득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깊이 카메라는 스테레오 정합(stereo matching)에 비해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깊이정보를 추출할 수 있지만, 제공되는 해상도가 너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시점의 깊이영상을 두 시점의 깊이영상으로 확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시점의 중간영상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복잡도를 낮춰 빠른 속도로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고해상도의 컬러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두 대의 컬러 카메라를 설치하고 중간에 깊이 카메라를 획득한다. 그리고 깊이 카메라에서 획득한 깊이영상을 3차원 워핑을 이용하여 양쪽의 컬러 카메라의 위치로 시점 이동한다. 깊이영상과 컬러영상간의 객체 불일치 문제는 깊이값의 신뢰 도를 기반으로 한 조인트 양방향 필터(joint bilateral filter)를 이용하여 보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깊이영상은 다시점 영상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다시점 영상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다중 스레드를 이용하여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실험을 통해 두 시점의 컬러영상과 두 시점의 깊이영상이 실시간으로 획득했고, 약 7 fps의 프레임율로 10시점의 중간시점을 동시에 생성했다.

환자의 신체기능적 능력(Self-Care Status)별 소요되는 간호시간 결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Nursing Hours by Self-Care Status of Patients)

  • 박정숙;김주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7-66
    • /
    • 198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line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merical score and the amount of nursing hours required in the nursing process. Score was a numerical description of the patients functional nursing need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standard nursing hours required by patient's self-care status. This study observed the 62 patients and 15 R.N. in H. university hospital from Aug. 7, 1982 to Aug. 13, 1982. 1. For the first time, each head nurse assessed self-care status by Schoening's self-care score-Minimal care patient (self-care score: 23, 24) was placed in Group Ⅰ, intermediate care patient (self-care score: 11∼22) was Group Ⅱ, and special care score: 0∼10) was Group Ⅲ. 2.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nursing care received from nurses according to patient's group. (8AM∼4PM) 3. And, We observed and recorded the activities of nurses in order to determine standard nursing hours required. (8AM∼4PM) 4. If we apply the content of paragraph 3 to paragraph 2, we will predict the number of patient that nurse can care during day time by self-care statu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Patient's mean self-care score were Group I : 23.9 score Group Ⅱ:17.8 score Group Ⅲ : 1.6 score 2) Nursing hours required by patient's physical function(self-care status) status were Group I : 35 min. Group Ⅱ: 47.5 min. Group Ⅲ : 104.6 min. 3) Nurse's nursing time and distribution required in nursing activities during day duty were A.D.L. : 84.3min. (17.56%) Functional nursing activities : 279.9min. (58.31 %) Education & Emotional support : 11.3min. (2.35%) Task unrelated patients : 54min. (11.25%) Non Productive nursing care : 50. 5min. (10.52%) 4) Mean nursing hours required by each patient and the number of patient that nurse can rare during day duty by self-care status were Group I : 38.6min. 11.1 patients/1 nurse Group Ⅱ : 51.1min: 8.4 patients/1 nurse Group Ⅲ: 108.2min. 4 patients/1 nurse It seems reasonable that this could be done effectively as each-unit has an established standard for hours required, This not only allows time for planning of staff but helps to avoid the very human inclination to predict excessive staffing requirements by placing the majority of patients in high care group.

  • PDF

니켈담지촉매상에서 부탄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환원반응 (The Catalytic Reduction of Carbon Dioxide by Butane over Nickel loaded Catalysts)

  • 윤조희;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8권3호
    • /
    • pp.543-549
    • /
    • 1997
  • 니켈(Ni)이 담지된 촉매상에서 이산화탄소와 부탄의 직접반응에 의한 합성가스와 탄화수소화합물의 생성을 검토하였다. $CO_2$$C_4H_{10}$의 반응에서 니켈 담지촉매는 백금 담지촉매와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부탄의 탈수소에 따큰 코크의 누적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담체로 알루미나나 Y형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면 일산화탄소와 수소가 주생성물이었다. 반면에 니켈을 ZSM-5형 제올라이트에 담지한 경우에는 생성물 중에 다량의 방향족화합물이 얻어졌다. Ni/ZSM-5, Ni/NaY 및 Ni/알루미나 촉매상에서 반응물 중의 이산화탄소/부탄 몰비의 증가와 함께이산화탄소의 전환율도 증가하다가 2이상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담체로 ZSM-5를 사용하고 이에 담지되는 니켈의 양을 다르게 하였을 때, 반응물의 전환율은 니켈금속의 담지량이 5wt% 부근에서 가장 높았다. 코크가 누적된 촉매상에 $CO_2$ 가스나 수증기를 흘리면 코크의 양은 감소하였다. 촉매상에 누적된 코크는 활성이 높은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표면의 활성탄소는 반응의 중요한 중간체로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Effects of Milk Replacer and Ambient Temperature on Growth Performance of 14-Day-Old Early-Weaned Pigs

  • Heo, K.N.;Odle, J.;Oliver, W.;Kim, J.H.;Han, In K.;Jones, 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6호
    • /
    • pp.908-913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ree trials to evaluate optimal ambient temperature for a novel milk replacer feeding system designed for early-weaned pigs, compared to commercial dry diets fed within a conventional hot nursery. A total of 165 PIC genotype pigs were weaned at $13.89{\pm}0.7$ days of age and allotted to one of two dietary treatments in three trials based on weight and litter origin. Each trial consisted of pigs fed dry diets (DD) and pigs fed milk replacer (MR) which was offered in one of 3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s. Pigs fed milk replacer were housed in a specialized nursery building in which one half of each pen contained an enclosed hover that was thermostatically maintained at $32^{\circ}C$ while the exterior ambient temperature (where milk was fed) was set at either 17 (trial 1), 24 (trial 2) or $32^{\circ}C$ (trial 3). Pigs fed dry diets with the conventional nursery were maintained at $30^{\circ}C$ for each trial. From d 21 to d 49, all pigs were fed DD within a standardized hot nursery environment. During the first week (d 14-21), pigs fed MR showed increased ADG from 214% to 228% over control pigs fed DD (p<0.001), regardless of ambient temperature. As ambient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7 to 24 to $32^{\circ}C$, ADG of MR-fed pigs was increased by 214%, 220% and 228% over those of pigs fed DD, respectively. ADFIs of MR-fed pigs at $17^{\circ}C$, $24^{\circ}C$, and $32^{\circ}C$ compared with pigs fed DD were increased by 108%, 139% and 164% from d 14 to d 21, respectively. Fed efficiency (G/F) of MR-fed pigs at $17^{\circ}C$, $24^{\circ}C$, and $32^{\circ}C$ compared with pigs fed DD were 199%, 162% and 139% of those of pigs fed DD, respectively. As ambient temperature increased, diarrhea scores showed a slight tendency to increase. The advantage of MR feeding was greater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was higher, but G/F was impaired with increased ambient temperature. We conclude that ambient temperature within the specialized nursery influenced behavior, MR feed intake, and probably piglet energy expenditure.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MR-fed and DD-fed pigs for ADG, ADFI and G/F in the subsequent growth period (d 21 to d 49, p>0.05). Maximal advantage of MR feeding was obtained at the intermediate ($24^{\circ}C$) ambient temperature during the overall period (p<0.05).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indicate that a milk replacer feeding system utilized in the early postweaning period can maximize pig growth performance, and that ADG, ADFI and G/F were affected by different ambient temperatures within MR-fed pigs. The high or low temperatures could not support the maximal growth of pigs fed MR.

NGN에서 오버레이를 이용한 사용자 관점의 End-to-end QoS 지원 구조 (An Architecture for User Level End-to-end QoS using Overlay in NGN)

  • 이지현;임경식;오행석;남택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781-792
    • /
    • 2005
  • 본 논문은 광대역 통합망에서 오버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관점의 End-to-end QoS 지원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광대역 통합망은 제어평면의 IMS에서 사용자평면에 존재하는 IP 전달망의 직접적인 트래픽제어와 자원예약을 수행하여 QoS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End-to-end QoS를 지원하기 위하여 전달망에서 확보한 QoS를 사용자에게 최대로 전송하고 품질 저하를 최소화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연구와 더불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 품질의 차별화, 사용자의 단말환경에 최적화된 컨텐츠의 제공과 같은 사용자 수준에서의 확장된 QoS 개념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 구조의 전송계층에서는 다양한 망환경에 가장 효율적인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최대의 전송효율을 제공하는 프로토콜 최적화기능을 지원한다. 그리고 응용계층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변환과정에서 발생하는 프로세싱지연을 네트워크로 분산시키고, 오버에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서비스수준과 응용서비스의 특징 및 단말환경에 적합한 형태로의 중간변환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통합망에서 전송계층과 응용계층의 서비스 품질 제어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자의 End-to-end QoS를 지원하는 오버레이 서비스 네트워크의 구조와 내부 컴포넌트 기능, 그리고 3GPP와의 연동을 통한 QoS 제공 방안을 제안한다.

시민자율방범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gram model for the citizens on patrol)

  • 강용길
    • 시큐리티연구
    • /
    • 제39호
    • /
    • pp.63-93
    • /
    • 2014
  • 시민은 지역사회의 안전주체로서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이들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입법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민자율방범대의 현장 활용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해 시민자율방범에 대한 이해와 현황을 분석하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살펴보고, 사례분석으로 기히 운영되었던 자율방범대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성과를 분석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현장 활용도 증대를 위한 시민자율방범 교육프로그램 모형'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시민자율방범대 운영사례에서 파악된 학습자들의 요구는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내용과 충분한 교육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프로그램 모형의 목표인 '현장 활용도 증대를 위한 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하위목표는 '수요자 중심, 현장 중심, 역량강화'로 설정하고, 추진전략은 기획-설계-실행-평가의 4단계로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단계별 추진전략은 교육의 준비에서 진행까지 필요한 세부전략이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이 교육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기초-중간-전문 과정으로 분류하고, 각 과정별로 수준을 고려한 이론 및 실무중심의 교과목이 균형적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 PDF

활성탄 지지체상에서 제올라이트 4A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eolite 4A on Activated Carbon Supports)

  • 박중환;서정권;정순용;이정민;도명기
    • 공업화학
    • /
    • 제8권2호
    • /
    • pp.204-210
    • /
    • 1997
  • 입상활성탄의 기공내에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겔을 침적시킨 후 수열합성하여 제올라이트 4A가 담지된 복합 분자체를 제조하였다. 평균입경이 $0.8{\mu}m$ 정도 되는 미세한 제올라이트 4A 결정이 활성탄의 macro pore상에 포획된 상태로 존재하였다. 입상활성탄의 기공부피는 $0.67m{\ell}/g$이였으며, 제올라이트 4A가 21.6wt% 담지된 시료의 경우에는 $0.41m{\ell}/g$으로서 약 40% 정도 기공부피가 감소하였다. 입상활성탄에 담지된 제올라이트 4A의 칼슘이온 교환능은 320mg $CaCO_3/g$ zeolite 정도로서 분말상 제올라이트 4A와 거의 비슷하였다. 초음파 분산 과정에서 입상활성탄 지지체상에 담지된 제올라이트 4A 결정은 용액상으로 분리되지는 않았다. 제올라이트 4A가 담지된 시료의 수분흡착 등온선은 Type I과 Type III의 중간 형태였으며, 친수 및 친유성 흡착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 PDF

추가령(標哥嶺) 지구대(地構帶)의 지질구조(地質構造), 고지자기(古地磁氣) 및 암석학적(岩石學的) 연구(硏究) (Structural, Paleomagnetic and Petrological Studies of the Chugaryeong Rift Valley)

  • 김규한;김옥준;민경덕;이윤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17권3호
    • /
    • pp.215-230
    • /
    • 1984
  • Petrological, paleomagnetic, geomorphological and structural studies on the southern part of, so called, Chugaryeong rift valley, have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rift valley. Three stages of volcanic activities characterized by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and tholeiitic and andesitic basalt of Cretaceous age(?), and Jongok Quaternary olivine basalt occurred along the Dongducheon fault line.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distribu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studied area consist of rhyodacite, acidic tuff and tuff breccia, which are bounded by Dongsong fault on the east and Daegwangri fault on the west. The Jongok basalt differs from those of Ulrung and Jeju islands in mineralogy, chemical composition and differentiation. Jongok basalt distributed along the Hantan river dilineates the vesicles curved toward downstream direction and increment of numbers and thickness of lava flow toward upstream direction. These facts suggest that lava flowed from upstream side of the river. Rectangular drainage patterns also support the presence of the Dongducheon, Pocheon, Wangsukcheon and Kyonggang faults which were previously known. LANDSAT image, however, does not show any lineaments which could be counted as a graben or rift valley. Displacement of Precambrian quartzite and Jurassic Daedong supergroup along the southwestern extension of the Dongducheon fault shows the right lateral movement. The Paleomagnetic study of the tholeiitic and andesitic basalts from Baegeuri, Jangtanri and Tonghyeonri located at 2. 3km east, 0km east, and 1.5km west of Dongducheon fault respectively shows that their VGP(Virtual Geomagnetic Pole) being to intermediate geomagnetic field of short duration which suggests that they formed in almost same period. Mean VGP of Jongok basalt is located 82.4N and 80.6E. This is in good coincidence with worldwide VGP of Plio-Pleistocene indicating that Jongok basalt was extruded during Plio-Pleistocene epoch, and suggesting that the studied area has been tectonically stable since then. From the present study, the tectonic episode of the region is concluded as following three stages. 1. The 1st period is worked by the Daebo orogeny of Jurassic during which granodiorite was intruded in Precambrian basement. 2. The 2nd period is the time when right lateral strike-slip fault of NNE-SSW direction was formed probably during late Cretaceous to Paleogene and the Jijangbong acidic volcanic rocks and the older basalts were extruded. 3. The 3rd period is the time when the fault was rejuvenated during Pliocene or Pleistocene accompanied by the eruption of Jongok basalt. As a conclusion, geologic structure of the studied area is rather fault line valley than graben or rift valley, which is formed by differential erosion along the Dongducheon fault suggesting a continuation of the Sikhote-Alin fault. The volcanic rocks including the Jijangbong acidic rocks, tholeiitic-andesitic basalt and olivine basalt are associated with this fault line.

  • PDF

지능적 에이전트에 의한 실시간 소프트웨어 PLC 편집기 및 실행엔진 개발 (Development of an Editor and Howling Engine for Realtime Softwar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based on Intelligent Agents)

  • 조영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2권12호
    • /
    • pp.1271-1282
    • /
    • 2005
  • PC-based control은 현재 제어분야에서 비약적 발전을 하고 있으나 일반 사용자들이 PC에서 PLC 프로그래밍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제 PLC 표준언어로 제정된 5가지 언어 중 $90\%$이상 사용하는 LD언어에 대한 표준규격을 연구하고, 이것을 중간코드인 IL(Instruction List) 언어로 변환하고 기존 상용화된 편집기(Visual C++)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 C코드로 변환함으로써 LD에 익숙한 사용자나 고급언어에 익숙한 사용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편집기 및 실행엔진 기능을 갖춘 지능적 에이전트 기반의 통합 시스템 ISPLC(Intelligent Agent System based Softwar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개발하였다. ISPLC에서는 LD에서보다 C에서 논리오류 검출기능이 훨씬 용이하며, GUI기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에이전트에 의한 프로그래밍 코드를 제공하므로 가독성이 높다. 이러한 LD->H->C로의 코드변환체제에 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는 연구이다. ISPLC를 실제 실시간 교통량 제어 시스템(Real Time Traffic Control System)에 적용하여 현장 적응성이 우수한 실행엔진을 개발하여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ISPLC는 오류검색 뿐 아니라 프로그래밍 시간을 매우 단축시켜줌을 알 수 있었다.

통행연계 변수를 중심으로 한 경기도 버스정류장 유형 구분 (Classification and Profiling of Bus Stops in Gyeong-gi Province on the Basis of Trip Chain Variables)

  • 빈미영;정의석;이원도;조창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2-342
    • /
    • 2012
  • 본 연구는 합리적 버스 환승체계 구축을 위한 버스정류장의 환승센터로서의 유형 구분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분야 기존 연구는 주로 버스정류장 이용 수요의 특성과 버스정류장을 역세권으로 보았을 때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근거로 정류장의 유형을 구분한 후 구분된 유형들 각각의 특성을 요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전통적 역세권 연구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대표적 연구 변수인 토지이용 특성과 정류장 이용 특성 등 횡단면적 snapshot의 특성만을 고려하여 환승의 본질인 통행 연계의 detail을 확보하지 못한다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승통행 발생 정류장의 기능 구분을 위해 통행연계 변수로서 교통수단연계, 경유지연계, 이용시간연계 등의 변수 값이 각 정류장이 환승센터로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어느 정도와 방향인지를 확인토록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4월 20일 월요일 하루 동안 경기도 버스에 승하차한 통행 샘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버스정류장은 연계성 관련 변수를 기준으로 비교적 뚜렷한 구분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환승센터 입지 선정이나 설계에 유용한 정보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