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rleukin-1alpha

Search Result 1,09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Anti-aging Effects of Various Berries in the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다양한 베리류의 피부노화개선 효과 비교)

  • Lee, Su Jung;Choi, Hye Ran;Lee, Jin-Cheol;Park, Hee Jeon;Lee, Hee Kwon;Jeong, Jong Tae;Lee, Tae-Bum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2
    • /
    • pp.198-204
    • /
    • 2014
  • Ultraviolet B (UV-B) irradiation is a negative factor that induces skin damage, inflammation, and aging. UVB irradiation induces the inflammatory response through interleukin (IL)-6 and IL-8 expression in keratinocytes. In addition, it induces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 activ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llagen 1 degradation in the extracellular matrix. We investigated the antiaging effects of five kinds of berry in human skin keratinocyte (HaCaT) cells using juice of black raspberry (Rubus occidentalis), blueberry wild (Vacciniun angustifolium) and cultivar (Vacciniun corymbosum),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Michx.) Elliott), and mulberry (Morus abla). HaCaT cells irradiated with UV-B exhibited increased ROS generation, as well as IL-6, IL-8, and MMP-1 gene expression,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cells that were not irradiated with UV-B. However, pre-treatment of berry juice before UV-B irradiation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UV-B-induced ROS generation and inflammatory cytokine and MMP-1 exp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ll berries have anti-aging effects including lowering inflammatory cytokine levels, ROS generation, and MMP-1 expression in HaCaT cells during UV-B irradiation.

Proanthocyanidins Suppresses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Inflammatory Responses via Heme Oxygenase-1 Induction in RAW264.7 Macrophages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항염증효과)

  • Cheon, Hye-Jin;Park, Sun Young;Jang, Hee-Ji;Cho, Da-Young;Jung, Jiwon;Park, Gimin;Jeong, Kyeong Mi;Kim, Jin-Kyu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4
    • /
    • pp.484-491
    • /
    • 2019
  • Proanthocyanidins are naturally occurring polyphenolic compounds abundant in many vegetables, plant skins (rind/bark), seeds, flowers, fruits, and nuts. Numerous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have demonstrated myriad effects potentially beneficial to human health, such as antioxidation, immunomodulation, DNA repair, and antitumor activity. Among immune cells, macrophages are crucial players in a variety of inflammatory responses to environmental conditions. However, it has been widely reported that macrophages cause chronic inflammation and are involved in a variety of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metabolic syndrome, and cancer. In this study, we report the suppressive effect of proanthocyanidins via the heme oxygenase-1 (HO-1)-related system, on the immune response of the LPS-stimulated mouse macrophage cell line RAW264.7. Increased HO-1 expression at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found in proanthocyanidins-treated RAW264.7 cells. Further, proanthocyanidins enhanced nuclear factor-erythroid 2-related factor 2 translocation into the nucleus. RAW264.7 cell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with or without proanthocyanidins, and inflammatory mediator expression levels were assessed. Proanthocyanidins treatment resulted in the attenuation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was inhibited by proanthocyanidins treatment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These findings support proanthocyanidins as a promising anti-inflammatory agent.

Inhibitory effect of water-soluble mulberry leaf extract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modulation of hepatic microRNA-221/222 expression and inflammation (고지방식이 급여 쥐에서 수용성 뽕나무 잎 추출물의 간 microRNA-221/222 발현 및 염증 조절을 통한 간 지질 축적억제 효과)

  • Lee, Mak-Soon;Kim, Cheamin;Ko, Hyunmi;Kim, Yangha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5 no.2
    • /
    • pp.227-23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ater-soluble mulberry leaf extract (ME)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the regulation of hepatic microRNA (miR)-221/222 and inflammation. 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4 weeks old)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groups (n = 7 each) and fed with 10 kcal% low-fat diet (LF), 45 kcal% high-fat diet (HF), or HF + 0.8% ME for 14 weeks. Lipid profiles and cytokine levels of the liver and serum were measured using commercial enzymatic colorimetric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The messenger RNA (mRNA) and miR levels in liver tissue were assayed by real-time quantitative reverse-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Supplementation of ME reduces body weight and improves the liver and serum lipid profiles as compared to the HF group. The mRNA levels of hepatic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fatty acid synthase, and fatty acid translocase, which are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the ME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In contrast, the mRNA level of hepatic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involved in fatty acid oxidation) was upregulated by ME supplementation. Furthermore, administration of M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mRNA levels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hepatic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interleukin 6 (IL-6),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nd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The serum levels of TNF-α, IL-6, and nitric oxide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in ME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Expression of hepatic miR-221 and miR-222, which increase in the inflammatory state of the liver, were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ME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E has the potential to improve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modula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and hepatic miR-221/222 expression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Dietary Brown Seaweed Modulates Nutrient Metabolism, Anti-oxidant System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 Chicks Injected LPS i.p. (사료 중 미역은 복강내 LPS 주입 육계 병아리에서 영양소 대사, 항산화계 및 면역 반응을 조정한다)

  • Park, In-Kyung;Im, Jin-Taek;Choi, Do-Yul;Koh, Tae-So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0 no.2
    • /
    • pp.185-198
    • /
    • 2008
  • Influences of dietary brown seaweed(BSW) on the nutrient metabolism, anti-oxidant enzyme activity and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were studied in broiler chicks activated acute phase response. 72 Hatched male broiler chicks(Ross) were divided into 12 pens, 6 heads per pen, and fed the BSW 0.0% (Basal) or 2.0% diet, respectively, and injected with the Salmonella typhimurium lipopoly saccharide(LPS) for activation of the acute phase response three times at 8, 10 and 12 d of age. During 4 wks of experimental feeding,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was not affected by dietary BSW and the acute phase response. Compared with control birds, the acute phase response did not affect the daily weight gain in birds fed BSW 2.0% diet, decreased nitrogen balance(NB) or metabolizable energy(ME) utilization per metabolic body size(kg0.75), and enhanced activities of peroxidase or extracellular SOD(EcSOD),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ovotransferrin in plasma and MnSOD and CuZnSOD in erythrocyte cytosol. Compared to BSW 0.0% diet, 2.0% diet enhanced protein retention(NB) per kg0.75 regardless the acute phase response, did not affect uric acid nitrogen excretion(UAN) per kg0.75 in birds during the acute phase response, decreased(p<0.05) the UAN excretion per kg0.75 in control birds. And BSW 2.0% diet also decreased(p<0.05) plasma peroxide level and erythrocyte peroxidase or MnSOD activity but increased plasma peroxidase and EcSOD activity and interleukin-1 activity secreted from LPS-stimulated PBMC in 4 week broiler chicks.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Dichloromethane Fraction from Katsuwonus pelamis Heart in LPS-Induced RAW 264.7 Cells and Mouse Ear Edema (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RAW 264.7 세포와 마우스 귀부종 모델에 대한 참치 심장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 Kim, Min-Ji;Bae, Nan-Young;Choi, Hyeun-Deok;Kim, Koth-Bong-Woo-Ri;Park, Sun-Hee;Sung, Nak-Yun;Byun, Eui-Hong;Nam, Hee-Sup;Ahn, Dong-Hyun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45 no.2
    • /
    • pp.101-10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form Katsuwonus pelamis heart on anti-inflammatory responses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 264.7 cells and mouse models. Ethanol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dichloromethane,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Among the fractions,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6, $IL-1{\beta}$,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compared to ethanol extract.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nuclear $factor-{\kappa}B$ ($NF-{\kappa}B$) p65 protein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was also inhibited by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Moreover, the administration of 10, 50, and 250 mg/kg body weight-dose dependently inhibited the formation of edema by croton-oil and the application of dichloromethane (2 mg/ear) significantly reduced epidermal and dermal thickness and the infiltrated mast cell numbers. Therefore, the dichloromethane fraction exhibited an anti-inflammation effect by inhibiting $NF-{\kappa}B$ and MAPK signaling activation in macrophages.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Teleogryllus emma Derived Teleogryllusine in LPS-stimulated BV-2 Microglia (BV-2 미세아교세포에서 왕귀뚜라미 유래 Teleogryllusine의 신경염증 억제 효과)

  • Seo, Minchul;Shin, Yong Pyo;Lee, Hwa Jeong;Baek, Minhee;Lee, Joon Ha;Kim, In-Woo;Hwang, Jae-Sam;Kim, Mi-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11
    • /
    • pp.999-1006
    • /
    • 2020
  • The suppression of neuroinflammatory responses in microglial cells, well known as the main immune cell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are considered a key target for improving the progression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Parkinson's disease, and Huntington's disease. Teleogryllus emma is widely consumed around the world for its broad-spectrum therapeutic effect. In a previous work, we performed transcriptome analysis on T. emma in order to obtain the diversity and activity of its antimicrobial peptides (AMPs). AMPs are found in a variety of species, from microorganisms to mammals. They have received much attention as candidates oftherapeutic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associated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neuroinflammatory effect of Teleogryllusine (VKWKRLNNNKVLQKIYFVKI-NH2) derived from T. emma on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BV-2 microglia cells. Teleogryllusine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ithout cytotoxicity, and reducing pro-inflammatory enzymes expression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In addition, Telegryllusine also inhibit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through down-regulation of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 emma-derived Teleogryllusine could be a good source of functional substances that prevent neuroinflammation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mpound K (CK) Rich Fractions from Korean Red Ginseng Inhibit Toll-like Receptor (TLR) 4- or TLR9-mediat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ctivation and Pro-inflammatory Responses in Murine Macrophages (고려홍삼으로부터 분리한 compound K 함유분획에 의한 대식세포의 toll-like receptor-의존성 신호전달로 활성조절 분석)

  • Yang, Chul-Su;Ko, Sung-Ryong;Cho, Byung-Goo;Lee, Ji-Yeon;Kim, Ki-Hye;Shin, Dong-Min;Yuk, Jae-Min;Sohn, Hyun-Joo;Kim, Young-Sook;Wee, Jae-Joon;Do, Jae-Ho;Jo, Eun-Kye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v.31 no.4
    • /
    • pp.181-190
    • /
    • 2007
  • Compound K (CK), a protopanaxadiol ginsenoside metabolite, was previously shown to have immunomodulatory effects. In this study, we isolated the CK rich fractions (CKRF) from Korean Red Ginseng and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CKRF-mediated inflammatory signaling during Toll-like receptor (TLR)-mediated cellular activation. Among various TLR ligands, CKRF considerably abrogated TLR4- or TLR9-induced inflammatory signaling. Both LPS and CpG-containing oligodeoxynucleotides (CpG-ODN) stimulation rapidly activate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1/2 and p38], NF-${\kappa}B$,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in murine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DM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Of interest, pre-treatment of CKRF in either LPS/TLR4- or CpG-ODN/TLR9-stimulated macrophages substantially attenuated the LPS-induced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mRNA expressions, as well as MAPK and NF-${\kappa}B$ activat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inhibitory roles for CKRF in TLR4- or TLR9-associated signaling in BMDMs. Coll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KRF specifically modulates distinct TLR4 and TLR9-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and further studies are urgently needed for their in vivo roles for potential therapeutic uses, such as in systemic inflammatory syndro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