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landscape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4초

거주자 안전을 고려한 친환경 건축재료 선정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n the Selection of Green Construction Materials for Residental Safety)

  • 송혁;정우양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3-70
    • /
    • 2005
  • It has been used so many kinds of architectural materials and interior products in current building construction, and use of composite architectural materials is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chemical technology. As the green architecture has become the center of public interest, much effort is conducted in advanced countries on the LCA point of view, such as restriction of architectural materials that emitting pollution substances, developing of Non-Toxic architectural materials, and recycling of used materials, etc. with the cooperation of related organizations, material manufacture compan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Because the kinds of materials to be used in building constructions are so various, there might be some possibility of personal and subjective choice at the time of materials selection resulting the missing the requirements of building components and the choice of harmful materials to human. One way to resolve the material problem is to present the green architectural materials which coincide with the quality performance at service and not harmful to man and nature. At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aterial classification model by investigating the major labelling system about green architectural materials in both domestic and abroad and to implement an efficient material selection system by making a powerful database of environmental standard and quality basis of building requirements.

안느 에베르의 중·단편집 『격류』에 드러나는 소외의 시대상 (Phases of Alienation in Le Torrent by Anne Hébert)

  • 강충권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7-32
    • /
    • 2015
  • In 1950, Anne $H{\acute{e}}bert$ published Le Torrent, a collection of seven short stories. These stories containing many shocking themes and expressions have placed her one of the pioneers of modern novels in Quebec. This paper tries to analyze several phases of alienation described in the novels and the reactions of alienated caracters in their situation. Some examples of alienated and mentally or physically deformed characters in Le Torrent are Fran?ois, $St{\acute{e}}phanie$, Stella, etc. Although the author wanted readers to interpret these characters on ther individual level, this paper interprets them different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Alienation doesn't come from one's interior but his exterior. Society and history are major agents of alienation. The injustice of life imposed on the caracters results from political and religious underdevelopment, cultural lowness, absence of social security system and of universal education at that time. The conquest of Quebec by England left a deep and historical wound on the French Canadians. This fact is, in my opinion, one of the essential themes of Anne $H{\acute{e}}bert^{\prime}s$ novels. In spite of all these alienating situations, the reactions showed by the caracters of the novels are limited to escapist illusion, self-destruction, mistaken revenge, eternal submission, etc. In conclusion, Le Torrent by Anne $H{\acute{e}}bert$ which deeply approached themes of violence and alienation could be called authentic landscape of the inner world of Quebecois before 'la Revolution tranquille.'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Elemental Maintenance Costs for Educational Facilities

  • Hyun-Wook Kang;Seung-Wook Lee;Sung- Ryul Bae;Byoung-Jun Min;Moon-Sun Park;Yong-Su Kim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54-12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l maintenance costs for educational buildings. The adapted research method selected three school buildings in Seoul as BTL projects.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case, the study suggested a model to establish a system for each parts and to estimate analyzed maintenance costs through that syst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d a partial maintenance costs standard and analyzed proper maintenance co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ystem is divided into 8 large-groups and 24 small-groups for the analysis elemental maintenance costs. 2) The average rations followed by analysis of partial maintenance costs of the three school buildings are as followings, the total maintenance costs are analyzed 3,992 million won and each part of average rations is exterior of building 10.9%, interior of building 41.58%, electricity & fire fighting facility 14.22%, water supply & healthy facility 11.39%, heating & water supply facility 12.93%, landscape 6.3%, civil engineering works 2.69%.

  • PDF

실내용기 내 슬릿(Slit)처리가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과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the Growth and Root Development of Shade Landscape Plants by Slit Ventilation Treatment into Indoor Container)

  • 주진희;한정화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05-112
    • /
    • 2009
  • 본 연구는 실내용기 내 자연환기처리인 슬릿(Slit)에 대한 내음성 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뿌리발달을 살펴봄으로써 실내용기에 대한 다양한 신기술을 활성화키고, 용기 내 바람직한 식재환경을 조성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슬릿처리 실내용기에 따른 팔손이의 지상부 생육은 대조구에 비해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용기높이가 250mm이상에서 양호한 생육을 나타내 슬릿처리보다는 적정 토심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팔손이의 근장은 Control 2(250mm) > Slit 2(250mm) > Control 1(195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가 없었던 Control 2에서 가장 높은 증가폭을 나타내었다. 근폭은 모든 처리에서 초기값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뿌리 발달이 횡적이기 보다는 종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엽맥문동의 초장은 슬릿처리가 없었던 대조구에서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슬릿처리에서는 확연한 생장을 보이지 않았다. 신초수는 슬릿처리 실내 용기들이 대조구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낸 반면, 생체중과 건조중은 대조구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소엽맥문동의 근장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Slit 2(25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3(360mm) > Slit 3(360mm) > Control 1(195mm) 순으로 나타났다. 자금우는 대체적으로 대조구보다는 슬릿처리 실내용기에서 초장이 높았고, 특히 Slit 2(250mm)에서 Slit 1(195mm)이나 Slit 3(360mm)보다 초장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장과 신초수를 제외하고 지상부와 뿌리발달은 슬릿처리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장은 Slit 2(250mm) > Slit 3(360mm) > Control 3(360mm) > Slit 1(195mm) > Control 2(250mm) > Control 1(195mm)의 순으로 슬릿처리 실내용기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반면, 근폭은 전반적으로 감소되었다.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Design for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 정민주;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57-168
    • /
    • 2014
  • In buildings on the street, indiscriminate redevelopment are being made by overlooking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landscape to create their own unique meaning, due to industrialization progressed rapidly with human needs of longing for something constantly. Selection and methods of two plans,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hould be required, considering heritage values on industrial buildings which are being lost and aged in this redevelopment higher. The attempt for the 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becomes a hot topic, and several experimental challenges are being made. However, there are rather many cases of causing industrial buildings' depreciation and one-size-fits-all reproduction performance as it applies other examples as standards by recognizing the reproduction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as one trend, not focusing on the trend of the times or paradigm, what the times want. To minimize these problems, we focus on how to utilize industrial buildings beyond the importance of industrial buildings' reproduction, considering the quality of local residents' life as well as the expected effect obtainable due to security of local identity and reproduction of buildings, focusing on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that offers and forms a way of community life as the design of shares based on unspecified individuals' common life. Community design's core can be called to have diversity rather than undifferentiated unity by pursuing whole unification, since local residents become those who plan design and all people participate in it. In addition, community design achieves integration with other fields as an enlarged design area without limiting in an environmental area, by making indigenously natural characteristics combined with cultural factors in one context so that people may understand the flow of the place. The importance of effects acquired from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has well-known, and the attempt for utilizing aged heritage as a new value and a function has constantly been made. Now, it's time to focus on how long it lasts through this method, rather tha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itself. There can be a significance in this study in proposing methodological solutions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s reproduction, not to cause depreciation of industrial buildings by recognizing contemporary trends and uniform regeneration performance, multifaceted research is needed for creative, effective development on modern industrial heritage which will occur constantly.

실내환경에서 자외선 조사 및 원적외선 차단이 월계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B Irradiation and Far-red Light Reduction on the Growth of Laurus nobilis in Indoor)

  • 후지와라 케이스케;토다 히로토;최동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7
    • /
    • 2012
  • 실내 광환경은 자연 상태와 달라 실내 조경 식물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광질(光質)이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월계수 묘목은 4개의 다른 광원 처리구(control, +UV, -FR, +UV-FR 처리구)에서 180일 동안 생육시켰다. 자외선 추가 처리구(+UV)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건중량 및 잎 면적이 감소되었지만, 잎 두께 및 잎내 자외선 흡수 물질의 함유량은 증가했다. 반면,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자외선 추가 및 원적외선 차단 처리구(+UV-FR)에서 생육한 월계수는 신장생장 및 광합성 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했다(P<0.05).이상의 결과, 광질이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의 생장 및 생리활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내 조경 식물인 월계수를 관리할 때 광질을 이용한 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 명승·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Research for Current Status of Protected Area in Korea and World Protected Area Designation - Focused on sacred natural sites designated as scenic site & natural monument -)

  • 김재웅;김승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1-200
    • /
    • 2014
  • 본 연구는 보호지역으로 보호되고 있는 국가지정 문화재중 천연기념물과 명승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이들 문화재를 보호지역 카테고리에 포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문화재보호법으로 지정 보호되고 있는 자연문화재중 명승과 천연기념물을 대상으로 보호지역 현황을 조사한 결과 명승40개소, 천연기념물 126개소가 보호지역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조사결과 자연문화재에서의 보호지역은 마을에서 '당숲', '성황림', '신림(神林)'등으로 오랫동안 마을사람들의 행(幸) 불행(不幸)에 관계된 성스러운 대상이었으며,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문화적 가치와 규범, 토지에 대한 태도와 신앙관 등이 종합적으로 결합된 결과물로써, 주민들로부터 마을을 지켜주는 신성한 장소로 인식되고 있으며, 그 지역의 독특한 민간신앙 등으로 인해 강력한 보호를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천연기념물 노거수는 점적인 형태로 인식되어 보호지역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으나,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설정되어 있어 세계보호지역 등재가 가능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명승의 자연성지는 IUCN 카테고리의 지정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세계보호지역으로 설정함에 있어 명승 내부의 공간별 특성에 따라 자연성지를 비롯한 개별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적용함으로써 세계보호지역으로 관리하여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 남부 지역에서 소나무림 벌채 후 형성된 숲 가장자리의 회복 과정 (Recovery Process of Forest Edge Formed by Clear-cutting Harvest in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Gangwondo, South Korea)

  • 김준수;조용찬;배관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1호
    • /
    • pp.1-9
    • /
    • 2017
  • 산림 벌채 후 형성되는 가장자리 효과의 발생 여부과 회복 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생태계 천이와 경관 및 서식지의 공간 영향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필수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관련 주제의 실증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강원 남부 지역의 소나무림 벌채 후 1, 3, 10, 16년이 경과한 장소에 형성된 벌채지 및 임내 가장자리에서 비생물 및 생물 요인의 변화 양상을 선 (20개) 및 방형구 (340개) 조사법을 병용하여 조사하였다. 벌채 후 초기(3년 이내)는 가장 자리에서 인접 숲 내부 방향으로, 15m 깊이까지 식생 피도, 풍부도, 수관 열림도, 그리고 대기 온도 및 습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가장자리 형성 이후, 비생물 요인 및 식물 풍부도의 안정화는 각각 10년 및 16년이 소요되었다. 교목종이 초본식물에 비하여 가장자리 환경에서 더 높은 증가 양상을 나타내었고, 교목종의 높은 증가는 하층식생의 동태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벌채에 의한 직 간접적인 서식지 변화는 최소 인접 산림의 15 m에서 20 m까지, 그리고 16년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경관 및 서식지 패치 평가에 필수적인 가장자리 효과의 깊이에 대한 첫 국내 첫 실증 연구자료로 친환경벌채 기준제시 등 활용성이 높다.

동양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본 한국도시경관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ownscape in Perspective of the Oriental World View)

  • 김한배;이규목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68
    • /
    • 1994
  • It has been generally agreed that the city form especially in the preindustrial age resembled their own world view, either in the western or the eastern cultural sphere. So, we aimed to re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oriental world views compared with the western one, in order to find the relative nature of the Korean townscapes. It is said that the both world views(of western and oriental) are composed of the contrastive binary concepts in common, but there seems to have been nearly contrary differences in these two world views. Wheareas the former was based on the passively segregational and oppositional dualism, the latter, on the dynamically harmonious and complementary dualism, called generally as 'Yin(陰) and Yang(陽)'. Thus, the oriental world view can be thought as the 'philosophy of the relationship', which aim to unify the dualism ultimately with the help of this relationship. So, we can assume a certain third and intermediate concept between these dual concepts of the world view, which can unify these two into the one holistic whole. And the focuses of the most traditional oriental philosophies were concentrated on this, so called, 'the third concept', namely Taoistic 'Tochu(道樞)', Buddhistic 'Kong(空)' or Confucian 'Chung(中)'. And this triple concept, including the third one, of the oriental world view revealed a more concrete form of the cosmological relationship, as the triple structure; 'Heaven(天), Earth(地), and Man(人)', in which the 'Man' is thought as the middle or the center of the world. In this manner, we could found this oriental 'triple world view' was revealed in the real topology of most places in the Korean traditional city and the whole townscape itself. So, in the scale of houses and the roads around them, we can construe the 'Maru(a central board-floored room)' and the 'Madang(a inner court)' as the 'third and intermediate space(中)' between the interior space(陰) and exterior space(陽) in the former, and between the private house(陰) and the public residential road(陽) in the former case, and between the dual parts(陰,陽) of the city representing the contrary social classes and the contrastive visual landscapes. So, we insist that this 'triple world view' represented in the townscape can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ownscape. And this third intermediate spaces, which generate the active social contact and the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the people, can be the most important cues, as the central plac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townscapes even in contemporary circumstance, which inherits its spatial and social frame more or less from the preceding one.

  • PDF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 분화 (Modern Division of the Style of Gardens Presented in Korean Traditional House Yard)

  • 박은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8-38
    • /
    • 2011
  • 주거는 그 시대의 사회 문화적 가치관이 총체적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지속성과 변화를 반영한다. 한국 전통주택의 마당은 외부공간이긴 하나, 안채와 맞물린 한 짝의 공간으로 내부공간에서 못다 이룬 주거기능의 많은 부분을 수행하고 있다. 개화기 이후 우리의 주거문화는 급격한 환경변화의 과정 속에서 가치관과 주생활 양식의 변화와 함께 마당의 형태, 기능, 의미가 달라지고 있다. 이에 47개 연구대상지를 통해 주택마당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여 마당의 변용과 분화를 분석, 종합하였다. 연구대상지에 전통주택 마당의 원형과 달리 분화된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는 대표적인 요소는 재식의 재료와 방법, 점경물의 이용, 포장재료, 물의 이용, 텃밭의 변화 등이었다. 전통주택 마당에 나타나는 정원양식의 현대적인 분화는 마당의 역할이 변화함에 따라 정원 영역의 분화가 나타났고, 경계와 적극성의 정도에 따라 정원 형태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장식성과 실용성의 추구에 의한 정원의 기능 분화와 편리성 추구에 따라 정원의 소재 분화가 나타났다. 그 밖에 상징과 일상적인 의미에서 상업성, 개방정원의 의미가 추가되어 정원의 이용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