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landscape

검색결과 207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왕릉의 능제보존관리에 관한 연구 - 동부지구관리소 산하 조선왕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Joseon Royal Tomb's System - Focused on Joseon Royal Tombs Under the Eastern District Management Office -)

  • 최종희;이창환;황규만;김규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5-87
    • /
    • 2018
  • 본 연구는 조선왕릉의 보존관리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동부지구에 위치한 동구릉, 광릉, 사릉, 홍릉, 유릉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조선왕릉의 변화과정을 파악하였고, 현지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능의 내부 및 주변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원지형, 토지이용 및 동선, 능제시설, 수경시설, 역사경관림, 시설물을 주요 평가지표로 설정하였다. 주변의 도시화로 왕릉 주변 및 내 외부에 도로와 건물 및 시설물이 들어서면서 원지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능역 회복을 위해 능역을 가로지르는 도로의 지하화와 토지매입, 그리고 경관을 훼손하는 건물의 이전 및 철거가 요구되며, 이후 본래의 능역과 원지형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각 능별로 제례 동선의 단절이 많았는데, 본래의 제례 동선과 관람 동선의 정비가 필요하다. 능제시설의 경우, 문헌조사 및 발굴조사를 바탕으로 소실된 건축물 및 석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 분석한 결과, 이후 유구노출 정비 혹은 복원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역사경관림은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며, 시설물의 경우 장기적인 능역 회복 계획에 따라 새로운 진입부 주변으로 각종 시설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주요 사업들은 긴급성과 재원 마련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 사업으로 구분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숲 공간유형별 특성에 따른 치유효과 분석 -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by Types of Forest Space - Focused on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nd Satisfaction -)

  • 박선아;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5-85
    • /
    • 2016
  • 최근 치유환경으로서 자연경관에 대한 연구는 의료환경과 산림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치유환경에 대한 연구들은 건물 내 자연요소 도입이나 자연경관 조망과 같은 단순한 설정을 통한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나타내는 데에 머무르고 있어, 치유환경설계의 근거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유환경설계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근거중심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치유환경과 치유효과 사이의 관련성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 치유환경인 숲의 공간유형을 자연형 숲길, 조성형 숲길, 자연형 쉼터, 조성형 쉼터로 나누고, 각 공간의 주요이미지, 심리적 회복감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요인분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자연형 숲길은 5가지의 회복감 요인 중 벗어남, 적합성과 이해용이성을, 조성형 쉼터는 매혹감과 짜임새를을 통해 심리적 회복감을 주며, 2) 치유환경의 심리적 회복감은 흥미로운, 밝은, 생기있는, 아름다운 이미지가 높을수록, 분산된 이미지가 낮을수록 높아지고, 3) 심리적 회복감 요인은 벗어남, 짜임새 순으로 숲 공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숲 공간유형에 따른 치유환경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리모델링 사업성 평가 모델 구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Building of Remodeling Evaluation Model)

  • 유인근;김천학;윤여완;양극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67-73
    • /
    • 2006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remodeling business by predicting the future price of apartment house after remodeling using Hedonic Price Model. The data concerning such 9 independent variables as location, unit size, unit plan, landscape, parking, the number of elapsed years after completion, number of units, mechanical performance, interior from 25 regions in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by established evaluation criteria. The coefficients affecting the price of apartment unit were made by Ivay of linear multi-regression and put into Hedonic Price Model. The feasibility evaluation model for apartment was made and verified by data of remodelled apartment. The predicted results using suggested evaluation model coincide with actual apartment market situations.

지역성을 고려한 한국형 친환경 아파트의 계획요소 개발연구 - 청주지역을 사례로 - (Design Factors for Korean Style Ecological Apartment according to Locality)

  • 최윤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1-23
    • /
    • 2005
  • This study proposes design factors for Korean style ecological apartment for application in Cheongju. Library and internal surveys were performed to summarize the concept of locality in housing and to determine the present condition of apartment estates which were introduced with design factors according to locality, traditionalism, or ecology, fold surveys were carried out at 10 apartment estates to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management and residents's un. The interviewees were concierges and representative residents. The following design factors for Korean style ecological apartment to be applied in Cheongju were proposed; layout and building shape according to climate as natural environment, landscape factors according to cultural assets as human environment, adolescent spaces according to population as social environment, road plan according to 'Cheongju Garosu-Gil' civil environment.

노후아파트의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의 요구 경향 (The Study on the Residents' Needs of Remodelling in the Deteriorated Apartment Housing)

  • 이선녕;주서령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149-163
    • /
    • 2003
  • The deteriorated apartments make a social problem in now a days. After all a new alternative plan for deteriorated apartments such as the remodelling concept must be considered.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needs levels among residents in deteriorated apartments relating to remodelling. It might provide the basic data which could be used for the analysis of consumers in the future implementation of deteriorated remodelling projects. The analytical methods applied for this study were t-test, one-way ANOVA, post-hoc estimation(Scheff test) by the SPSS 10.1 for Windows program. The analysis of the need levels for the areas of remodelling, by the family characteristic variable, residence value viewpoint, and residence satisfaction level, indicated that the demand level for ‘equipmen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order of ‘structure’ and ‘interior’. The need levels for ‘security’, ‘parking lot’, ‘public facilities in apartment block’, and ‘landscape’ were generally low but in the group of high income, the need levels were comparatively high.

Gesamtkunstwerk in Design: Interdisciplinary Design and Pedagogy

  • Lee, Youngj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11-121
    • /
    • 2013
  •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disciplinary practice within design realms including urban planning, architecture, landscap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t discusses the pedagogical approaches at design schools to foster designers capable of design challenge with interdisciplinary skills. As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multicultural society increasingly requires a higher level of expertise in professional service, no individual designer can be expert in all fragmented expertise across the whole design and associated engineering areas. A designer, therefore, should rely on the expertise of other practitioners in areas where he or she doesn't possess proficiency and educational background. From this sense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cross diverse range of design and engineering through the collaboration is rising. Historically most of discussion made 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is limited to collabor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supporting engineering. This paper focuses on the collaboration with design realms. Three case studies done in an interdisciplinary firm are explored, focusing on design process that is non-linear and complementary. Finally the integrative pedagogical approaches to provide students with more exposure to allied disciplines are navigated with exemplary student work from interdisciplinary design studio.

중국(中國) 전통원림(傳統園林) 공간(空間) 조영(造營) 원리의 현대적 탐구(探究) - 곡강지(曲江池) 유적공원(遺蹟公園)을 중심으로 - (A Modern Translation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Space - Focusing on Qujiang Pool Heritage Park -)

  • 위첨첨;김정문;전조양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3-10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원리를 어떻게 현대공원에 접목시키며 전통원림 공간조영의 전승 및 창신의 방법을 탐구하는 것이다. 전조양 등은 '중국 고전원림 및 현대전역십오강(中國古典園林与現代轉譯十五講)'에서 중국 전통 원림은 시간과 공간이 결합된 원림이며, 간략(簡略)화된 기본 조영원리 모식도(模式圖)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중국현대공원인 곡강지 유적공원에 전통 원림요소와 현대 원림요소를 어떻게 접목시켰는지와 이 요소들이 공원 공간에 표현된 방법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곡강지 유적공원의 복합형 공간은 공원 경계부와 복합형 동선으로 조영하였다. 공원경계부에 위치해 있는 원림 요소는 다리, 광장, 식물, 선형(線形)으로 배열된 건축물군집으로 구성하였다. 공원의 중심 수공간은 곡강지 옛 수계유적흔적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공간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구불구불한 자연적인 호안선으로 공간을 확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공원 수공간은 대지(大池)와 소지(小池)로 나눴으며 대지 내에 연파도(煙波島)를 설치하고 소지 안에 조도(鳥島)를 조영하였다. 공원 내에 있는 건축물들이 공원 동선의 볼록한(철각(凸角)) 부분에 위치하여, 공원 관람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을 확장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의 시간과 공간설계구성의 공간조영원리를 검증하였으며, 현대공원의 전체 공간 구조에 간략화 된 공간 설계 기법으로 원림의 복잡한 조합에 그 본질적인 공간구조가 나타난다. 또한, 곡강지 유적공원의 원림요소는 현대기법으로 진(秦)·한(漢)·수(隋)·당(唐)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곡강지 공원을 지역의 특색을 지니는 공간으로 재조영 하였으며, 당나라 문화를 주제로 하여 공간구성원리에 따라 시대별, 공간별 조영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곡강지 유적공원은 제시된 공간조영원리가 적용된 공간이며, 중국 전통원림 공간 구성원리가 적용된 결과물이다. 그리고 곡강지 원림요소가 전통역사문화와 결합해서 창출된 경관은 현대 원림요소의 창신한 부분이다. 즉, 곡강지 유적공원은 중국의 특색있는 현대 원림으로 계승 및 창신 되었다.

미중부지역 농지보전 프로그램에 의한 경관구조 변화분석 (Spatial Analysis of Landscape Structure Changes Caused by the US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in the Central High Plains)

  • 박선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19-533
    • /
    • 2003
  • 미전역에 걸쳐 80년대 중반부터 시행된 미농지보전 프로그램(CRP)은 1992년까지 약 1480만 헥타르에 이르는 농경지를 초지, 임지, 삼림, 또는 기타 보전용도로 전환하였다. CRP 시행에 의한 한 가지 주요결과는 수백만 헥타르에 이르는 초지를 확보함으로써 야생동물을 위한 잠재서식처 면적을 현저하게 증가시킨 점이다. 본 연구는 CRP 시행에 따른 자연경관의 공간구조변화를 지역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계절별 Landsat Thematic Mapper 자료를 이용하여 캔자스주 남서부 6개 카운터에 대한 CRP 시행 이전과 이후의 경지 및 초지분포 지도를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분류후 차이분석기법(post-classification differencing)을 적용하여 경지에서 초지로 전환된 지역의 분포를 파악해내었다. 공간구조분석 프로그램 FRAGSTATS을 이용하여 지표피복의 공간패턴을 나타내는 10개 주요 총계지표를 계산함으로써 CRP 시행에 따르는 경관구조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에 미친 CRP의 주요 영향은 전반적으로 자연초지 분포의 분절화가 현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이다. 야생동물 서식처관리의 측면에서 CRP 초지의 도입은 지편(地片)의수, 평균 지편 크기, 지편 내부면적 등을 크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낳았다. 또한, CRP 시행은 녹지간 연결성 및 결합도를 높였는데, 이는 넓게 연속된 서식처를 요하는 종들을 보호하는 데에 잠재적인 가치를 지닐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CRP는 이웃한 녹지간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생물종들의 녹지간 이동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CRP 시행은 캔자스주남서부 지역의 자연공간구조를 현저히 변화시킨 주요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향후 야생동물 서식처 보호를 위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PDF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경관계획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을 중심으로-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Focus on Byeongyeong-myeon, Gangjin-gun, Jeollanam-do-)

  • 정건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33-138
    • /
    • 2020
  • 본 연구는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 제20조, 동법 시행령 제12조에 의거, 농촌중심지활성화를 위한 경관계획 수립을 위해 전라남도 병영면 농촌중심지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경관 장소적 선호도, 대표 경관자원 및 인물, 개선사항 등의 내용으로 진행하였으며, 조사·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공간 구조적, 관련계획 및 사업적, 자연 경관적, 역사문화경관적, 공공/민간경관적 측면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라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조사·분석결과와 더불어, 향후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제언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부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와서 머물고 갈수 있는 체류형 관광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역사보전 사업 및 하멜촌 조성사업과 연계, 등산로 및 친수공간 조성을 통해 접근성을 높이고 다른 자원과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 따라, 거시적인 방향설정 등 각 요소별 디자인가이드 라인을 작성하여 체계적인 경관관리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부위별 분류 체계를 통한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분석 - 교육 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tual costs and Maintenance costs for Elemental Classification hierarchy)

  • 강현욱;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142-150
    • /
    • 2010
  • 본 연구는 교육시설물의 부위별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BTL 사업으로 발주된 서울지역에 위치한 초등학교 4곳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사례 대상을 바탕으로 부위별 체계 정립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정립된 부위별 체계에 따라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부위별 공사비 분석표와 유지관리비 분석표 그리고 교육시설물의 적정 공사비 및 유지관리비를 제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목적과 방법에 따라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사례 대상 학교 4곳의 부위별 공사비 산정에 따른 평균 금액 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총 공사비 6,666백만원 대비 구조체 47.15%, 건물외부 8.34%, 건물내부 23.37%, 전기 소화 5.74%, 급수 위생 4.27%, 난방 급탕 5.25%, 옥외시설 1.36%, 토목 4.51%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사례 대상 학교 4곳의 부위별 유지관리비 분석에 따른 평균 금액 비율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총 유지관리비 4,309백만원 대비 건물외부 11.02%, 건물내부 41.81%, 전기 소화 14.81%, 급수 위생 11.22%, 난방 급탕 12.76%, 옥외시설 5.75%, 토목 2.6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