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ior Mapping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The Topology of Extimacy in Language Poetry: Torus, Borromean Rings, and Klein Bottle

  • Kim, Youngmin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295-1310
    • /
    • 2010
  • In her "After Language Poetry: Innovation and Its Theoretical Discontents" in Contemporary Poetics (2007), Marjorie Perloff spotted Steve McCaffery's and Lyn Hejinian's points of reference and opacity/transparency in poetic language, and theorizes in her perspicacious insights that poetic language is not a window, to be seen through, a transparent glass pointing to something outside it, but a system of signs with its own semiological interconnectedness. Providing a critique and contextualizing Perloff's argu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topological model for poetry, language, and theory and further to elaborate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language poetry in terms of "the revolution of language." Jacques Lacan's poetics of knowledge and of the topology of the mind, in particular, that of "extimacy," can articulate the way how language poetry problematizes the opposi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 the substance of language itself. In fact, as signifiers always refer not to things, but to other signifiers, signifiers becomes unconscious, and can say more than they actually says. The original signifiers become unconscious through the process of repression which makes a structure of multiple and polyphonic signifying chains. Language poets use this polyphonic language of the Other at Freudian "Another Scene" and Lacan's "Other." When the reader participates the constructive meanings, the locus of the language writing transforms itself into that of the Other which becomes the open field of language. The language poet can even manage to put himself in the between-the-two, a strange place, the place of the dream and of the Unheimlichkeit (uncanny), and suture between "the outer skin of the interior" and "the inner skin of the exterior" of the impossible real of definite meaning. The objective goal of the evacuation of meaning is all the same the first aspect suggested by the aims of the experimentalism by the language poetry. The open linguistic fields of the language poetry, then, will be supplemented by The Freudian "unconscious" processes of dreams, free associations, slips of tongue, and symptoms which are composed of this polyphonic language. These fields can be properly excavated by the methods and topological mapping of the poetics of extimacy and of the klein bottle.

무인항공기 영상을 이용한 입체시기반 수치도화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n the Stereoscope based Digital Mapping Using Unmanned Aircraft Vehicle Image)

  • 윤공현;김덕인;송영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111-12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UAV:Unmanned Aircraft Vehicle)의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사진측량학 원리를 적용하므로서 수치표고모형, 실감정사영상 및 3차원 수치 데이터를 제작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스테레오 입체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치도화기(DPW:Digital Photogrammetric Workstation)를 필수적으로 이용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산자부에서 개발된 3차원 공간정보 제작시스템인 GEOMAPPER 1.0을 사용하였다. 무인항공기의 중복된 두 영상을 이용하여 입체시 생성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내부표정요소와 외부표정요소가 계산되어야 하며, 정확한 입체시를 위해서 비항측용 일반 카메라의 렌즈왜곡에 대한 정확한 보정이 필수적이다. 렌즈의 왜곡보정 및 지상기준점을 이용한 표정요소의 결정은 상업용 소프트웨어인 PhotoScan 1.4를 사용하였다. 무인항공기는 케이로보틱스의 고정익 장비(KD-2)를 사용하였고 항공삼각측량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실감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수치지형도를 일부 제작하여 수치도화의 오차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입체도화 방식으로 축척 1:1/2,500~1/3,000 수치지형도의 제작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 RTK 무인기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Aerial Triangulation of Network RTK UAV)

  • 한수희;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63-67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이 혼재한 준 도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재해를 가정하여 네트워크 RTK (Real Time Kinematic)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점 측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사점을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네 시간 이상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적 측위를 수행하였다. 객관적인 정확도 평가를 위해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화된 대공 타겟을 사용하였다. 무인기에서는 네트워크 RTK 측위의 일종인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취득 당시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하였고,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짐벌 회전각 측정을 통해 카메라의 3축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Agisoft Metashape를 이용하여 내·외부 표정요소를 추정·갱신한 결과, 항공삼각측량의 3차원 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영상의 중복도와 촬영 각도의 조합에 따라 크게는 0.153 m에서 작게는 0.102 m로 나타났다. 더욱 높은 수준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직 영상의 중복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사 영상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응 단계의 재난/재해 현장에서 긴급하게 무인기 매핑을 수행할 경우 중복도를 높이기 보다는 경사 영상도 함께 취득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