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feron-${\gamma}$(IFN-${\gamma}$)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38초

꿀벌 꽃가루 열수 추출물의 수지상 세포 활성화 및 Th1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ee pollen extract on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and induction of Th1 immune response)

  • 조은지;김이은;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44-450
    • /
    • 2018
  • 본 연구는 꿀벌 꽃가루 추출물(BPW)의 면역 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수지상세포와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비장세포에 BPW를 처리 하여 면역세포의 활성능을 관찰하였다. 수지상 세포에 BPW를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 산화질소(II)와 사이토카인($TNF-{\alpha}$, IL-6과 $IL-1{\beta}$) 분비능과 세포 표면분자를 관찰 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수지상 세포에 BPW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 활성 인자인 산화질소(II)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IL-6과 $IL-1{\beta}$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활성화된 면역세포의 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는 CD80과 CD86의 발현과 항원제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MHC class I, II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 분포하는 지라 세포를 분리하여 BPW를 처리 하였을 때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BPW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Immune Modulation Effect of Pig Placenta Extracts in a Mouse Model: Putative Use as a Functional Food Supplement

  • Park, Hyun-Jung;Suh, Han-Geuk;Kim, Jin-Hoi;Jang, Ae-Ra;Jung, Hyun-Jung;Lee, Sung-Dae;Ha, Woo-Tae;Lee, Ran;Kim, Ji-Hyuk;Kim, Sang-Ho;Sung, Si-Heung;Moon, Sang-Ho;Kim, Bo-Kyung;Song, Hy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01-709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ablish an effective extraction method of pig placenta extract that could be used for a putative functional food supplement with immunomodulatory effects. In the present study, we used different temperatures (4, 37, 60, 80, and $100^{\circ}C$) and different solvents (chloroform, NaOH,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to extract the pig placenta. Among the different placenta extracts yielded by the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placenta extract (PE) in PBS at $80^{\circ}C$ for 30 min (referred to as PE-PBS80)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nitric oxide production of up to 22.97 ${\mu}M/10^5$ cells at a 1 mg/mL dose (p<0.05 ) in J774A.1 cells than other extracts and control tested. Using PE-PBS80, further animal challenge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immune-enhanced effects. As a result, orally administered PE-PBS80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blood T and B cell activities and immunoglobulin (IgG and IgM) production. IgG and IgM levels increased to 41.53 mg/mL at a 20 mg dose on day 7 and to 27.38 mg/mL at a 10 mg dose on day 14, respectively (p<0.05). Furthermore, PE-PBS80 was also able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immune modulator cytokine levels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vehicle treatments. Among the evaluated cytokines,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level increased to 28.89 pg/mL at extract doses of 20 and 50 mg, the interleukin-$1{\beta}$ (IL-$1{\beta}$) level increased to 21.52 pg/mL at extract doses of 10, 20, 50 and 75 mg and the interferon (IFN)-${\gamma}$ level increased to 18.24 pg/mL at extract doses of 10, 20, and 50 mg.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n effective method for extracting pig placenta extracts and also demonstrates that pig placenta extracts had significant immunomodulatory effects not only at the cellular level but also in a mouse model, suggesting that this material could be used as an excellent candidate functional food supplement.

꾸지뽕(Cudrania tricuspidata) 잎으로부터 분리된 다당류 추출물의 면역 활성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Crude Polysaccharide Separ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f)

  • 변의백;장범수;성낙윤;변의홍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099-1106
    • /
    • 2016
  • 본 연구는 꾸지뽕 잎으로부터 추출된 다당류인 CTP의 처리가 면역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CTP는 에탄올 침전법에 의하여 추출하였고, 면역 활성능의 평가는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미분화 골수세포로부터 유도 분화시킨 대식세포 및 마우스 비장으로부터 유리시킨 비장세포에 CTP를 농도별로 처리하여 관찰하였다. 선천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식세포에 CT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률, NO 및 cytokine 분비능이 CTP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비장세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세포 증식률이 증가하고 Th 1 type의 cytokine 분비능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보아 꾸지뽕다당류 추출물인 CTP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하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을 개발한다면 그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생각한다.

자소엽(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조다당류 추출물의 면역활성 효과 (Immunomodulatory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 fraction separated from Perilla frutescens Britton var. acuta Kudo)

  • 변의홍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59-566
    • /
    • 2017
  • 본 연구는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PCP)의 면역활성에 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선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수지상세포 및 후천면역계의 대표적인 면역세포인 비장세포에 PCP를 처리하여 면역세포의 면역활성능에 관하여 측정하였다. 수지상세포에 PCP를 1, 5 및 $10{\mu}g/mL$의 농도를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103.4{\pm}3.8$, $108.8{\pm}2.1$, $117.8{\pm}3.3%$ (n =3)로 나타나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주요 면역활성 인자인 산화질소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각각 $2.7{\pm}0.2$, $4.5{\pm}0.2$, $7.3{\pm}0.3{\mu}M$ (n =3)로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농도(1, 5 및 $10{\mu}g/mL$)별 PCP 처리구에서 사이토카인의 분비능을 관찰한 결과, TNF-${\alpha}$ ($372.3{\pm}0.32$, $604.8{\pm}0.54$$954.2{\pm}1.32pg/mL$), IL-6 ($508.4{\pm}0.39$, $761.5{\pm}1.34$$1038.5{\pm}1.67pg/mL$), IL-$1{\beta}$ ($314.5{\pm}1.04$, $524.8{\pm}1.89$$664.8{\pm}0.89pg/mL$), IL-12 ($321.4{\pm}0.94$, $832.5{\pm}0.85$$901.{\pm}0.94pg/mL$)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후천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 T 세포가 다량으로 분포하는 비장 조직으로부터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PCP를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Th1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의 함량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CP의 처리는 선천면역뿐만 아니라 후천면역에 관여하는 다양한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자소엽조다당 추출물의 면역활성 유도 효과에 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향후 자소엽 조다당 추출물을 분리 및 정제과정을 통하여 구조분석 및 정제된 조다당 추출물의 정확한 면역활성과 면역활성기전에 관한 면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or Memory CD8+ and CD4+ T Cell Immunity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in Obese Children

  • Yang, Da-Hee;Lee, Hyunju;Lee, Naeun;Shin, Min Sun;Kang, Insoo;Kang, Ki-So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4권4호
    • /
    • pp.377-383
    • /
    • 2021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effector memory (EM) CD8+ T cell and CD4+ T cell immunity with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Surface and intracellular staining of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was performed. Anti-interleukin-7 receptor-alpha (IL-7Rα) and CX3CR1 antibodies were used to stain the subsets of EM CD8+ T cells, while anti-interferon-gamma (IFN-γ), interleukin-17 (IL-17), and forkhead box P3 (FOXP3) antibodies were used for CD4+ T cell subsets. Results: Of the 47 obese children, 11 were female. Children with M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erum insulin (34.8±13.8 vs. 16.4±6.3 µU/mL, p<0.001)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8.9±4.1 vs. 3.9±1.5, p<0.001) than children without MS. Children with MS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ies of IL-7Rαlow CD8+ T cells (60.1±19.1% vs. 48.4±11.5%, p=0.047) and IL-7RαlowCX3CR1+ CD8+ T cells (53.8±20.1% vs. 41.5±11.9%, p=0.036) than children without MS. As the serum triglyceride levels increased, the frequency of IL-7RαlowCX3CR1+ and IL-7RαhighCX3CR1- CD8+ T cells increased and decreased, respectively (r=0.335, p=0.014 and r=-0.350, p=0.010, respectively), in 47 children. However, no CD4+ T cell subset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MS. Conclusion: In obese children with MS, the changes in immunity due to changes in EM CD8+ T cells might be related to the morbidity of obesity.

전통적인 한방 처방 경옥고의 면역 증강 효과 (Immune-enhancing effects of a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Kyung-Ok-Ko)

  • 노성수;이원화;김경민;나민균;배종섭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41-47
    • /
    • 2019
  • Objectives : A traditional herbal prescription, Kyung-Ok-Ko (KOK), has long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s an invigorant for age-related diseases, such as amnesia and stroke. However, the beneficial value of KOK for immune responses is largely unknown. Based on the above mentioned effects of KOK, other previous reports, and its use in traditional medicine, we hypothesized that KOK displays beneficial effects against methotrexate (MTX)-induced immune suppression.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OK (0.6 g/kg/day, oral (p.o.)) on deteriorated immunity caused by MTX (2 mg/kg/day, p.o.) in an immune suppression mouse model. MTX was fed to mice once a day for 7 days. After the immune responses of the mice deteriorated by MTX treatment, KOK in water was fed to the mice once a day for 14 days. We then measured the expression levels of various cytokines, such as T helper cell (Th1, Th2) cytokines, and the number of immune cells, such as spleen T cells, B cells, and macrophages. Results : The data showed that MTX decreased Th1 profiles (interferon $(IFN)-{\gamma}$, interleukin (IL)-2, IL-12) and the number of immune cells, and increased Th2 profiles (IL-4, IL-5, IL-13), which were normalized significantly by post-administration of KOK.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weight gain between MTX- and KOK-treated mice. Conclusion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K has immune-enhancing functions and reduces immunotoxicity of MTX, suggesting that supplementation with KOK will improve immune responses clinically and be useful for the prevention of immune-related diseases.

비소세포 폐암세포에서 Uteroglobin의 면역 조절 기능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Uteroglobin in the Immunomodulat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 윤정민;임재준;유철규;이춘택;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4호
    • /
    • pp.336-344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에 대한 거의 대부분의 면역 치료는 실패하였는데, 이는 폐암 자체에 존재하는 면역 억제 기전을 극복하지 못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Uteroglobin (UG, CCSP)은 항염증 등의 활성을 보인다. 방 법 : A549에 Ad-UG을 처리하고, 상층액의 $PGE_2$ 농도를 측정하였다. RPMI 1640, A549 배양액과 UG 혹은 COX-2 억제제인 NS-398을 처리 후 얻은 폐암세포주 상층액으로 PBMC를 배양 후 Th 1 type cytokines과 Th 2 type cytokines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 과 : $PGE_2$는 UG이 발현되는 세포주에서 감소하였다. 폐암 세포 배양 배지로 키운 면역 세포의 cytokines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UG등을 처리한 비소세포 폐암주의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정상적으로 유도하였다. 결 론 : 비소세포폐암주 배양액은 PBMC의 면역 반응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하지만, UG은 $PGE_2$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PBMC의 면역 반응을 강화시킨다.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으로부터 분리한 지질화합물의 세포독성 및 항염증 활성 (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Lipids from the Nuruk (Rhizopus oryzae KSD-815))

  • 곽호영;이상진;이대영;배낙현;정낙훈;홍성렬;김계원;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2호
    • /
    • pp.142-147
    • /
    • 2008
  • Rhizopus oryzae KSD-815를 밀에 접종하여 만든 누룩(Rhizopus oryzae KSD-815)에서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종하였다. 건조된 누룩을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이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OAc분획은 다시 80% MeOH 과 n-hexane 으로 분획하였다. n-Hexane 분획에 대해 silica gel 및 ODS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지질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GC/MS 등을 통하여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2(palmitic acid methyl ester), 화합물 3(linoleic acid), 화합물 4(palmitic acid)의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 지방산 화합물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인체 유래 유방암(MDA-MB-231)과 간암(SK-HEP-1)세포주에 대해 MTT assay를 수행하였다. 두 암 세포주에서 화합물 1(linolenic acid methyl ester)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농도의존적인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또 염증반응 매개체의 일종인 nitric oxice(NO)의 생성 억제 활성을 Griess 방법으로 평가한 결과, 화합물 3(linoleic acid)은 LPS와 IFN-${\gamma}$에 의해 유도 된 NO 생성도 저해하는 것을 RAW264.7 세포에서 확인하였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섭취가 BALB/c mice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ropolis and Fermented-propolis in BALB/c Mice)

  • 김윤희;권혁세;김대환;박일환;박상재;신현경;김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74-579
    • /
    • 2008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체중 kg 당 50, 100, 200 mg/kg의 농도로 BALB/c 마우스에게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경구투여한 후, 이러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비장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증식능, 림프구의 아집단 비율의 변화 및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장 림프구로부터 NK 세포를 분리하여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투여에 의해 비장 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T 림프구($CD3^+$)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CD4^+$$CD8^+$ T 림프구 비율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비장 및 창자간막 림프절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의 증식능도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1/Th-2 사인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비장림프구에서는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비하여 IFN-$\gamma$, IL-2, IL-4의 분비를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자간막 림프구의 Th-2 사이토카인 분비증강은 고농도(200 mg/kg)의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 투여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 시킬 수 있는 면역조절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약재 단일 추출물 및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 효과 (Medicinal Herb Extracts Attenuate 1-Chloro-2,4dinitrobenzene-induced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s)

  • 이문희;한민호;윤정재;송명규;김민주;홍수현;최병태;김병우;황혜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51-85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chloro-2,4-dinitrobenzene (DNCB)에 의해 유도된 아토피성 피부염 마우스 모델에서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과 그들 복합 추출물(GGB)의 항아토피 효능을 평가하였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병리학적 형태인 홍반, 귀부종, 부종, 각질과 상처는 복합 추출물 중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이 3:1:1로 혼합된 GGB-1 처리군에서 다른 시료 처리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인 억제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면역 기관인 비장의 무게도 GGB-1 처리군에서 감소하였고, 간의 무게는 정상군과 시료 처리군의 값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아울러 GGB-1 처리군에서 비만 세포의 침윤이 감소되었으며, 혈청 중 IgE의 농도 역시 GGB-1 처리군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비록 단일 한약재와 그들의 혼합물 처리군에서는 면역 사이토카인(IFN-${\gamma}$, IL- 1, 4, 5, 6, 13, $1{\beta}$, and TNF-${\alpha}$) 의 값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 여러 가지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고삼, 감초 및 백선피 추출물이 3:1:1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인 GGB-1이 아토피성 피부염의 개선에 효과적인 약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