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

Search Result 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ega Flood Simulation Assuming Successive Extreme Rainfall Events (연속적인 극한호우사상의 발생을 가정한 거대홍수모의)

  • Choi, Changhyun;Han, Daegun;Kim, Jungwook;Jung, Jaewon;Kim, Duckhwan;Kim, Hung S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8 no.1
    • /
    • pp.76-83
    • /
    • 2016
  • In recent, the series of extreme storm events were occurred by those continuous typhoons and the severe flood damages due to the loss of life and the destruction of property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e call Mega flood for the Extreme flood occurred by these successive storm events and so we can have a hypothetical Mega flood by assuming that a extreme event can be successively occurred with a certain time interval. 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 method was used to determine the time interval between continuous events in order to simulate Mega flood. Therefore, the continuous extreme rainfall events are determined with IETD then Mega flood is simulated by the consecutive events : (1) consecutive occurrence of two historical extreme events, (2) consecutive occurrence of two design events obtained by the frequency analysis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We have shown that Mega floods by continuous extreme rainfall events were increased by 6-17% when we compared to typical flood by a single event. We can expect that flood damage caused by Mega flood leads to much greater than damage driven by a single rainfall event. The second increase in the flood caused by heavy rain is not much compared to the first flood caused by heavy rain. But Continuous heavy rain brings the two times of flood damage. Therefore, flood damage caused by the virtual Mega flood of is judged to be very large. Here we used the hypothetical rainfall events which can occur Mega floods and this could be used for preparing for unexpected flood disaster by simulating Mega floods defined in this study.

Rainfall Threshold (ID curve) for Landslide Initiation and Prediction Considering Antecedent Rainfall (선행강우를 고려한 산사태 유발 강우기준(ID curve) 분석)

  • Hong, Moon-Hyun;Kim, Jung-Hwan;Jung, Gyung-Ja;Jeong, Sang-Seom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2 no.4
    • /
    • pp.15-2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threshold (ID curve) for landslide prediction by considering the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202 rainfall data including domestic landslide and rainfall records were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rainfall data were analyzed by changing 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 and IETD based ID curve were presented by regression analysis. Compared to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presented ID curve has a tendency to predict the landslides occurring at a relatively low rainfall intensity.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ID curve is appropriate and realistic for predicting landslides through the validation of proposed ID curve using records of landslides in 2014.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longer IETD, the greater the effect of antecedent rainfall, and the steeper the gradient of ID curve. It is also found that the rainfall threshold (intensity) is higher for the short period rainfall and lower for the long period rainfall.

Study of Minimum Inter-event Time of no rain in Han River Basin (한강수계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 시간에 대한 고찰)

  • Park, Hee-Seong;Sung, Ji-Youn;Kim, Hyeo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71-371
    • /
    • 2012
  • 연속된 강우 관측 자료로부터 강우사상을 분리하는 것은 수문 분석에서 매우 기초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이를 분리하는 표준적인 방법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다. 보편적으로 강우사상의 분리에 강우사상간 (무강우)시간정의(IETD; Inter-event Time Definition)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시간(MIT; Minimum Inter-event Time, 이하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 시간' 이라고 함.)이라고도 한다.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 시간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자기 상관계수를 이용하는 방법과 순위상관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강우사상간 무강우시간에 대한 변동계수를 이용하는 방법, 연간 호우 발생수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강우의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 시간을 고찰하기 위해 한강수계 국토해양부에서 운영 중인 한강수계 강우관측소의 자료를 대상으로 앞서 제시한 4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각 방법 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으며, 더불어 개별 강우관측소의 자료와 티센망을 이용한 유역평균강우량을 사용했을 때 강우사상간 최소 무강우 시간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 PDF

A Study on Inter-event Time with the Time-resolution (시간단위 변화를 고려한 각 지점별 적정 무강우시간 연구)

  • Song, Hyun-Keun;Joo, Kyungwon;Jung, Jinseok;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7-167
    • /
    • 2016
  • 일반적으로 빈도해석은 강우의 연 최대 강우자료들을 통해 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한다. 하지만 강우자료들은 관측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라 지점 별 강우특성을 고려한 확률강우량 산정은 쉽지 않다. 각 지점 별 강우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연속적인 시계열로 기록되어 있는 강우자료를 독립 강우사상으로 분리하여 강우사상간의 시간, 즉, 무강우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속강우자료를 독립 강우사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강우사상 간의 기준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을 분리하기 위한 기준으로 무강우시간(Inter-Event Time, IET)을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에는 무강우시간을 10시간부터 12시간까지 다양하게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산하 강우관측소의 우기(4월~10월)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단위를 각각 1분, 5분 그리고 1시간으로 분리하였다. 강우분리방법은 자기상관계수와 포아송분포(Poisson distribution)를 고려한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tion)의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무강우시간 결정 방법(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을 적용하였다. 각 지점별로 추출된 1분, 5분 그리고 1시간의 무강우시간을 비교 및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각 지점의 시간단위 특성에 의한 적절한 무강우시간 및 강우사상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rainfall management target considering 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 (무강우 지속시간(IETD)을 고려한 빗물관리 목표량 설정 방안 연구)

  • Baek, Jongseok;Kim, Jaemoon;Park, Jaerock;Lim, Kyoungmo;Shin, Hyunsu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603-611
    • /
    • 2022
  • In urban areas, the impermeable area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urbanization, which interferes with the surface penetrating and infiltrating of rainwater, causing most rainwater runoff to the surface, deepening the distortion of water circulation. Distortion of water circulation affects not only flood disasters caused by rainfall and runoff, but also various aspects such as dry stream phenomenon,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and destruction of ecosystem balance,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trongly recommends the use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s. In order to apply the LID technique, it is necessary to set a rainwater management target to handle the increase in outflow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target site, and the current standard sets the rainwater management target using the 10-year daily rainfall. In this study, the difference from the current standards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independent rainfall ideas using inter-event time definition (IETD) in setting the target amount of rainwater management to improve water circulation. Using 30-year rainfall data from 1991 to 2020, methods such as autocorrelation coefficient (AC) analysis, variation coefficient (VC) analysis, and annual average number of rainfall event (NRE) analysis were applied, and IETD was selected according to the target rainfall period. The more samples the population had, the more IETD tended to increase.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duration and time distribution of independent rainfall according to the IETD, a plan was proposed to calculate the standard design rainfall according to the rainwater management target amou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set an improved rainwater management target amount if sufficient samples of independent rainfall ideas are used through the selection of IETD as in this study.

Flood Simulation using Mega Flood scenarios in Pyeongchang river basin (거대홍수 시나리오를 이용한 평창강 유역의 홍수모의)

  • Choi, Chang-Hyun;Han, Dae-Gun;Kim, Kyung-Tae;Eo, Gyu;Lee, Dae-Wung;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80-28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연속적인 호우 사상으로 인한 심각한 홍수를 거대홍수라고 정의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극한 호우 사상이 연속적으로 발생 될 수 있음을 가정하여 가상의 거대홍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최소 무강우 시간 결정(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방법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의 시간 간격을 결정하였으며, IETD에 의해 산정된 시간 간격 안에서 호우 사상을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평창강 유역을 대상으로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즉, (1) 기록된 극한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 (2) 기왕 자료를 기반으로 빈도해석에 의해 산정된 설계 호우 사상의 연속적인 발생을 가정하여 거대홍수를 모의하였다. 연속 호우 사상으로 인한 거대홍수는 단일 호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에 비해 6~17%의 홍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의 호우 사상으로 인한 홍수량에 비해 뒤에 오는 호우로 인한 홍수량의 증가는 많지 않지만, 연속적인 호우는 두 번의 홍수피해를 가져오므로 가상의 거대홍수로 인한 홍수 피해는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이 가상의 강우 시나리오를 통해 예상하지 못한 연속적인 홍수 재해와 같은 비상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rend analysis of Mega Flood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거대홍수 경향성 분석)

  • Kim, Bo Ran;Kim, Duck Hwan H;Han, Dae Gun;Hong, Seung Ji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3-153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 및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수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강우의 경향성이 변화하고 있다. 태풍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보다 장기간의 연속적인 강우의 발생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크며, 기존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은 연속적인 호우로 인한 피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거대홍수란 집중호우, 태풍, 이상홍수 및 돌발홍수로 인한 홍수피해의 여파가 끝나기도 전에 또 다른 강우사상으로 인하여 거대한 홍수가 발생하는 시나리오적 상황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한강권역 30년 동안의 (1986 ${\infty}$ 2015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거대홍수 발생횟수, 경향성, 설계기준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거대홍수 초과빈도를 분석하였다. 최소 무강우 시간 정의(Inter Event Time Definition, IETD)를 이용하여 거대홍수를 산정하고, Mann-Kendall test 및 이중누가우량분석(double mass analysis)을 통하여 거대홍수의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태풍, 집중호우, 거대홍수 등으로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재 사업의 우선순위 결정에 대한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The Spatial and Time Pattern Analysis of Rainy Season Precipiation in Seoul, 2002-2011 (최근 10년간 서울지방의 우기시 강우의 시공간 패턴 분석)

  • Um, Myoung-Jin;Shin, Hong-Joon;Joo, Kyung-Won;Jeong, Chang-Sa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98-1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방의 최근 10년간 우기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패턴에 따른 강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GIS 기법, 강우사상 구분법 및 공간의 상관성 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서울은 북위 $37^{\circ}$34', 동경 $126^{\circ}$59' 부근에 위치하며 남북방향으로 30.3 km, 동서방향으로 36.8km에 걸쳐 있으며 그 면적은 약 $605.41km^2$이다. 또 서울 중앙에서는 한강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 서울을 강북과 강남으로 양분하고 있으며, 서울을 관통하고 있는 한강으로 수많은 지천이 합류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들로 인하여 서울 지역의 기후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과거에는 서울지역에 강우관측소의 수가 매우 적어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최근에 자동기상관측소(AWS)들의 확충으로 인하여 자료의 양이 넓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사용하여 강수의 시공간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강수의 사상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인 IETD법(Inter Event Time Definition)을 적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서울의 강수 지역 구분 및 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최근 10년간 서울지방의 강수의 시공간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Estimation of storm events frequency analysis using copula function (Copula 함수를 이용한 호우사상의 빈도해석 산정)

  • An, Heejin;Lee, Moonyoung;Kim, Si Yeon;Jeon, Seol;Ahn, Youngmin;Jung, Donghwa;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0-20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총 강우량과 강우강도을 고려한 이변수 분석으로 연최대 호우사상을 선별하고, 두 변수를 Copula 함수로 결합하여 최적의 모델조합을 찾는 확률호우사상 산정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국내 69개 관측소의 2020년까지의 관측 자료를 대상으로 1mm 이하의 강우는 제거한 뒤, IETD(Inter-Event Time Definition) 12시간을 기준으로 강우자료를 독립적인 호우사상으로 분리하였다. 호우사상의 여러 특성 중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총 강우량과 강우강도를 변수로 선택해 이변수 지수분포에 대입하였고, 각 지점의 연최대 호우사상 시계열을 생성하였다. 2변수 지수분포의 매개변수는 전체 기간과 연도별로 나누어 추정해 본 결과 연도별 변동성이 큰 것을 확인해 연도별 추정 방식을 선택하였다. 연최대 강우사상 시계열의 총 강우량과 강우강도는 극한 강우에 적용하는 확률분포형 중 Lognarmal, Gamma, Gumbel,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GPD(Generalized Pareto Distribution) 5가지를 사용하여 각각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값을 추정하였다. 계산된 CDF 값은 3가지 Copula 모형으로 결합해 joint CDF 값을 산출하였다. 총 75개의 모델조합 중 최적 모델을 찾기 위해 CVM(Cramer-von-Mises) 적합도 검정을 시행하였다. CVM의 통계량 Sn 값이 가장 작은 모델조합을 해당 지점의 최적 모델조합으로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