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sive care neonat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227초

증상이 있는 신생아 자발성 기흉의 관련 질환과 예후 (Symptomatic Spontaneous Pneumothorax in the Newborn : Comorbidities and Outcomes)

  • 주지원;양은미;손영준;김미정;송은송;최영륜;변형석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66-171
    • /
    • 2008
  • 목 적 : 본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 중환자실 환아에서 증상이 있는 자발성 기흉의 빈도와 이들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 질환 및 예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자발성 기흉으로 진단된 총 22명에 대해 인구 역학적 특징과 산과적병력, 임상 소견, 동반된 질환, 치료 및 예후에 대해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고, 특히 동반된 질환을 보기위해 신장 초음파와 두부 초음파 검사 결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 과 :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환아 중 자발성 기흉 환아는 0.55%였고, 총 22명 중 외부에서 이송된 환아가 5명(68.2%), 남아가 12명(54.5%)이었고, 흉벽 함몰과 빠른 호흡 및 청색증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호발 부위는 우측이었고 모두 3일 이내에 진단되었다. 두부 초음파상 31.8%에서, 신장 초음파 상 18.2%에서 이상 소견이 보였다. 치료로 산소만 투여한 경우가 81.8%, 산소 치료 및 흉관 삽관술을 시행한 경우가 18.2%이었으며, 모두 생존하였고 예후는 좋았다. 결 론 : 건강하게 보이는 신생아에서 갑자기 호흡곤란 증상이 발생하면 일단 자발성 기흉을 의심해보아야 하고, 자발성 기흉의 예후는 좋지만 신요로계 기형 동반 가능성이 정상아보다 더 높고 뇌실내 출혈 위험이 있으므로, 두부 및 신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환아 치료와 예후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부작용의 빈도와 관련 인자 (Adverse Effects of Chloral Hydrate in Neonates: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 이주영;윤영아;김순주;이현승;김소영;성인경;전정식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30-136
    • /
    • 2011
  • 목적: Chloral hydrate는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약물이나 신생아에 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 시에 나타나는 부작용의 빈도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chloral hydrate만으로 진정이 되지 않아 추가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 부작용이 증가하는지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1년 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검사 시 진정 목적으로 chloral hydrate를 사용한 10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Chloral hydrate 투여 시 부작용은 41.3%에서 나타났으며 산소 포화도 감소(18.8%), 무호흡 증가(17.5%), 서맥 증가(10%), 수유량 감소(3.8%)가 있었다. Chloral hydrate 투여 시부작용은 chloral hydrate 투여 시기에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odds ratio [OR], 10.911: 95% confidence interval [CI], 2.082-57.178). 추가 약물 투여는 chloral hydrate 투여 시 산소 투여 여부와 관련이 있었고(OR, 4.151: 95% CI, 1.455-11.840)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 군에 비해 수유량 감소를 제외하고는 부작용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진정 요법이 필요한 검사 시 산소를 투여하고 있는 신생아에서 chloral hydrate의 사용은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추가 약물 투여의 가능성이 높다. 추가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진정 유도 후 나타나는 수유량 감소에 주의하면서 진정을 유도할 수 있겠다.

측정부위별 신생아의 체온 비교 : 고막기준 직장체온, 직장체온, 액와체온, 복부체온 (Comparison by Measurement Sites in Temperature of Neonates : Ear-based rectal, Rectal, Axilla, Abdominal Temperature)

  • 김화순;안영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903-91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ar-based rectal temperature measured with a tympanic thermometer with the rectal temperature measured with a glass mercury thermometer in order to test the accuracy of tympanic thermometer and to determine relationship among rectal,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in neonates. The samples consisted of thirty four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nursery at an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9 days. The ear-based rectal temperatures were taken with a tympanic thermometer in rectal mode (First Temp Genius 3000).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s were taken with a glass mercury thermometer, Abdominal temperature was continuously monitored with the probe connected to the servo controller of incubator.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ntrarater comparison : Agreement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ear-based rectal temperature was 97% within 0.1$^{\circ}C$. 2. Comparison of ear-based rectal temperature and the rectal temperature from a glass mercury thermometer : ear-based rectal temperature ranged from 36.95$^{\circ}C$d to 37.95$^{\circ}C$, with a mean of 37.58$^{\circ}C$(SD=0.22$^{\circ}C$). Rectal temperature from a glass mercury thermometer ranged from 36.2$0^{\circ}C$ to 37.2$0^{\circ}C$, with a mean 36.75$^{\circ}C$(SD=0.29). The mean difference between both temperatures was 0.84$^{\circ}C$.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th temperatures was r=0.77(p=0.00). 3. Comparison of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 : Axilla temperature ranged from 35.8$0^{\circ}C$ to 37.1$0^{\circ}C$, with a mean of 36.55$^{\circ}C$.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rectal and axilla temperature was 0.23$^{\circ}C$.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rectal and axilla was r=0.67. 4. Comparison of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 Abdominal temperature ranged from 36.2$0^{\circ}C$ to 37.0$0^{\circ}C$, with a mean of 36.58$^{\circ}C$. The mean absolute difference between axilla and abdominal temperature was only -0.03$^{\circ}C$.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ar-based rectal temperature overestimates the actual rectal temperatures in neonates. Therefore, the interchangeble use of both temperatures in clinics seems problematic. The site offset(adjustment value) programmed in rectal mode of the tympanic thermometer needs to be readjusted. Choosing one optimal site for temperature measurement for each patient, and using the specific site consistently would result in more consistent measurements of changes in body temperature, and thus can be more effective in diagnosing fever or hypothermia.

  • PDF

Usefulness of serum cystatin C to determine the dose of vancomycin in neonate

  • Shin, Jeong Eun;Lee, Soon Min;Eun, Ho Seon;Park, Min Soo;Park, Kook In;Namgung, R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11호
    • /
    • pp.421-426
    • /
    • 2015
  • Purpose: The vancomycin dosage regimen is regularly modified according to the patient's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assess the usefulness of serum cystatin C (Cys-C) concentration, compared with serum creatinine (SCr) concentration, for predicting vancomycin clearance (CLvcm) in neonate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laboratory data of 50 term neonates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nd received intravenous vancomycin, and assessed the pharmacokinetic profiles. Creatinine clearance (CLcr) and GFR based on Cys-C (GFRcys-c) were estimated using the Schwartz and Larsson formulas, respectively. Results: The mean CLvcm (${\pm}$standard deviation) was $74.52{\pm}31.17L/hr$, the volume of distribution of vancomycin was $0.67{\pm}0.14L$, and vancomycin half-life was $9.16{\pm}17.42hours$. The SCr was $0.46{\pm}0.25mg/dL$ and serum Cys-C was $1.43{\pm}0.34mg/L$. The peak and trough concentrations of vancomycin were $24.65{\pm}14.84$ and $8.10{\pm}5.35mcg/mL$, respectively. The calculated GFR based on serum creatinine concentration (GFR-Cr) and GFRcys-c were $70.2{\pm}9.45$ and $63.6{\pm}30.18mL/min$,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constant for CLvcm and the reciprocal of Cys-C (0.479,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CLvcm and the reciprocal of SCr (0.286, P=0.044). GFRcys-c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CLvcm (P=0.001), and the correlation consta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or CLvcm and CLcr (0.496, P=0.001).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GFRcys-c was independe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vcm (F=41.9, P<0.001). Conclusion: The use of serum Cys-C as a marker of CLvcm could be beneficial for more reliable predictions of serum vancomycin concentrations, particularly in neonates.

신생아에서 비경구적 칼슘 글루코네이트 요법 이후의 의인성 피부 석회침착증 후 자연관해 (Spontaneous Resolution of Iatrogenic Calcinosis Cutis after Parenteral Calcium Gluconate Therapy in Neonates)

  • 송광순;이시욱;김두한;민경근;연창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92-196
    • /
    • 2019
  • 저칼슘혈증은 신생아에서 흔하게 발견되며 대개 정맥 내 칼슘 투여를 통해 교정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인성 피부 석회화증은 칼슘 제제의 정맥 투여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칼슘 글루코네이트의 혈관 외 유출로 인하여 신생아의 상지나 하지를 침범한 피부 석회화증 3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칼슘 글루코네이트의 정맥 내 투여와 관련하여 발생한 경화성 피부 결절을 보이는 생후 2주 여아, 생후 4주 남아 및 여아, 총 3명의 신생아가 협진 의뢰되었다. 초기 발견 후 각각 3주, 4주, 6개월에 방사선 사진 및 신체 검진상 만져지는 결절과 석회화의 완전한 관해가 이루어졌다. 또한 3명 모두에게서 점진적인 치유양상을 보였으며 기능적, 미용적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환자들의 일반 양성 질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의인성 피부 석회침착증의 조기 진단을 내리고, 질환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이해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치료를 피함으로써 의료 과실 분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속된 황달로 내원한 21-수산화효소 결핍증 남아 증례 (A Male Neonate with Prolonged Jaundice Secondary to 21-hydroxylase Deficiency)

  • 곽민욱;이예나;김구환;강민재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42
    • /
    • 2024
  •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21-수산화효소 결핍증은 부신스테로이드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상염색체 열성 질환으로, 무기질코르티코이드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합성이 저하됩니다.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은 저혈압, 무기력, 구토, 저혈당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염분소실형에서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부신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는 전형적인 부신 위기 증상 없이 지속되는 황달로 내원하여 염분소실형의 복합 이형접합체로 진단받은 드문 사례를 제시합니다.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필요함을 강조하며, 신생아 선별검사와 철저한 임상 관찰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 입니다.

  • PDF

신생아에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의 감시 및 위험인자 분석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Colonization in Neonates)

  • 이화윤;김기환;최진수;김선희;최영륜;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46-952
    • /
    • 2005
  • 목 적 : 병원 입원환자의 임상 검체에서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의 출현은 1980년대 후반부터 증가하기 시작했으나 국내에서 신생아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최근 본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신생아 대변내 VRE 검출이 증가되어 연도별 발생추이와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과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교정연령 4주 미만의 신생아들 중 대변 배양 검사가 시행된 환아 294명에 대해 병력 기록지를 후향적 조사하였다. VRE의 연도별 분리빈도를 조사하였고 대변 배양검사상 VRE 양성인 군을 연구군, VRE 음성인 군을 대조군으로 하여 VRE 집락형성의 위험인자 및 예후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신생아 환아 중 대변 내 VRE 검출률은 2000년 0명, 2001년 1명(3.7%), 2002년 74명(60.7%), 2003년 52명(38.2%)으로 최근 들어 증가하는 추세이며 2004년에는 2명(0.8%)으로 줄어들었다. 평균 재태연령은 VRE군 $237.9{\pm}28.7$일, Non-VRE군 $265.7{\pm}18.7$일로 VRE군에서 의의있게 짧았다(P<0.001). 출생체중은 VRE군이 $2,124.9{\pm}893.8g$으로, Non-VRE군 $3,023.8{\pm}718.0g$에 비해 유의하게 작았고(P<0.01), 입원기간도 VRE군이 $30.5{\pm}26.5$일로 Non-VRE군의 $12.3{\pm}11.0$일에 비해 길었다(P<0.001). Vancomycin 사용 빈도는 VRE군이 7.0%로 Non-VRE군 1.2%에 비해 높았고(P<0.05), cepalosporin 사용 빈도는 VRE군이 68.5%로 Non-VRE군 48.5%에 비해 더 높았다(P<0.001). VRE 감염으로 인한 직접적인 사망례는 없었다. 결 론 : 신생아 대변내 VRE 감시 배양 결과 연도별로 VRE 검출이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재태연령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3세대 cephalosporin 사용 또는 vancomycin 사용이 잦을수록 의의있게 증가하였다. VRE의 발생을 막기 위해서는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 대한 무균적 간호와 불필요한 항생제 남용을 줄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후방 소개흉술을 통한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요법 (Dorsal Mini-thoracotomy for PDA Closure in Premature Neonates)

  • 이향림;최창휴;손동우;심소연;박국양;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34-440
    • /
    • 2009
  • 배경: 미숙아에 있어서 동맥관의 외과적 폐쇄술은 인도메타신 투여 후 치료 실패나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ELBW, <1,000그램)에서는 일반적인 개흉술이나 흉관 삽입 자체 만으로도 사망률이나 이환율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후방 소개흉술(dosal rninithoracotomy)을 통해 동맥관을 페쇄하고, 흉관을 삽입하지 않은 수술 방법의 단기성적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동맥관의 의과적 폐쇄술을 시행한 재태기간 30주 이하의 미숙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모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시행하였고 환아를 엎드려 누윈 상태에서 좌흉부를 30도 올려주는 체위를 취하고 견갑골 직하부위에 2 cm크기의 피부절개를 통해 제 3늑간으로 접근하였다. 면봉을 이용하여 벽측늑막 밖에서 조심스럽게 후종격동으로 박리를 시행하여 동맥관 주변조직을 박리 후 클립(Hemoclip)을 이중으로 사용하여 폐쇄 하였다. 늑막층의 손상이 없거나 미세한 경우는 흉관을 삽입치 않고 창상 봉합을 하여 수술을 종료하였다. 결과: 환아의 출생 시 재태기간은 23주에서 30주 사이로 평균 26.5$\pm$2.1주였으며, 수술 시의 평균 연령은 11$\pm$11일(0$\sim$33일)이었고 수술 시 평균 체중은 933$\pm$271그램(570$\sim$1,700그램) 이었다. 18명의 환아가 인도메타신 치료에 실패하고, 6명의 환아는 약물치료의 적응이 되지 않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아에서 수술 직후 확인한 단순 흉부 방사선상 의미있는 기흉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술후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2예를 제외하고는 완전한 폐쇄를 확인하였다. 잔존 단락이 있던 예들은 추적 관찰한 심초음파 검사에서 각각 수술 후 5일과 59일에 폐쇄가 확인되었으며 건강하게 퇴원하였다. 8명의 환아가 사망하였으나 수술과 직접적인 관계의 사인은 없었다. 결론: 미숙아의 동맥관 개존증의 수술요법으로 후방 소개흉술은 만족스러운 수술시야를 확보해 동맥관 폐쇄에 어려움이 없으며, 술후 흉관의 삽입을 줄임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여겨진다.

혈소판 감소증이 있는 신생아에서 혈소판 수혈 횟수와 예후 (Frequency of Platelet Transfusions and Outcome in Neonates with Thrombocytopenia)

  • 임석환;국진화;조창이;최영륜;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8호
    • /
    • pp.961-966
    • /
    • 2002
  • 목 적: 최근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환자 중 여러차례 수혈을 받았던 환아에서 괴사성 장염, 간질환, 신장기능 부전 등이 더 많았으며 특히 4회 이상 수혈을 받았던 환아에서는 사망률도 의미있게 높았다는 보고들이 있어,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혈소판 수혈 횟수에 따른 기저 또는 동반 질환 및 사망률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6년 8월부터 2001년 7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 3,955명 중 혈소판 수혈을 받았던 환아 72명(1.8%)을 대상으로 하여 1회 수혈을 받은 군(I군)과 그 이상 수혈을 받은 군(II군)으로 분류하여 양 군간 신생아 패혈증/파종성 혈관내 응고병증, 호흡 곤란증, 뇌실내 출혈, 동맥관 개존, 만성 폐 질환, 괴사성 장염, 간 신 질환, 폐출혈,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 빈도 및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결 과 : 1회 수혈을 받았던 I군은 29명(40.2%), 2회 이상 수혈을 받았던 II군은 43명(59.7%)이었으며 16명(22.2%)은 4회 이상 수혈을 받았다. I군관 II군 사이에 재태 주령, 출생 체중, 성별 및 산모 병력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제왕 절개술 빈도만 II군에서 많았다. 혈소판 수혈을 필요로 했던 환아 72명 중 패혈증이 66명(91.7%)으로 가장 많았다. 1회 수혈군과 2-3회 수혈군, 그리고 4회 이상 수혈군 사이에 기저 또는 동반 질환의 빈도는 서로 비슷하였고, 사망률은 오히려 II군에서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의의는 없었다. 결 론 : 신생아 패혈증/파종성 혈관내 응고병증, 호흡 곤란증, 뇌실내 출혈, 동맥관 개존, 만성 폐 질환, 괴사성 장염, 간 신 질환, 폐출혈 등이 있는 경우 혈소판 수혈이 필요하였지만 수혈 횟수와 기저 또는 동반 질환 빈도 및 사망률에는 차이가 없어, 본 연구 결과로는 다량의 혈소판 수혈이 필요할 환자를 예측할 수 없었으며 향후 더 많은 대상으로 연구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신생아에서 근육 주사 및 발뒤꿈치 천자 시 냉각 분사의 통증감소효과: 냉각 분사와 30% 경구 포도당액의 비교 (Pain reducing effect of vapocoolant spray during injection and heelstick procedure in neonates)

  • 최은경;정지미;신종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5호
    • /
    • pp.481-486
    • /
    • 2008
  • 목 적 : 신생아에서 냉각 분사와 30% 포도당액의 경구투여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행해지는 처치 중, 통증 감소를 위한 방법으로 냉각 분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60명의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발뒤꿈치 천자와 근육 주사 시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통증 정도를 측정하였다. 제 1군(30명)은 발뒤꿈치천자군, 제 2군(30명)은 근육주사군이며, A군(10명)은 아무것도 처치하지 않은 군(대조군), B군(10명)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C군(10명)은 냉각스프레이를 분사한 군으로 나누어서 통증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 지표는 PIPP(Premature Infant Pain Profiles) 점수를 사용하였고, 심장 박동수와 산소포화도는 pulse oxymeter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발뒤꿈치천자군과 근육주사군에서 대조군의 PIPP 점수를 비교해보면 근육주사군에서 PIPP 점수가 높게 측정되었다(P=0.07).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평균 PIPP 점수를 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6{\pm}2.4$, 포도당군 $5.5{\pm}2.0$, 냉각 분사군 $5.2{\pm}1.8$로 대조군에 비해 냉각분사 및 포도당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근육 주사시 대조군 $12.5{\pm}1.4$, 포도당군 $7.0{\pm}1.7$, 냉각분사군 $6.4{\pm}1.6$으로 대조군에 비해 역시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포도당군 P<0.001, 냉각 분사군 P<0.001).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 천자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40%, 냉각분사군 40%, 근육주사시 대조군 100%, 포도당군 90%, 냉각분사군 60%으로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해보면 발뒤꿈치천자시 대조군 6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 근육주사시 대조군 70%, 포도당군 0%, 냉각분사군 0%로 대조군에 비해 포도당군과 냉각분사군에서 낮았다. 결 론 : 신생아에서 발뒤꿈치 천자나 근육 주사 시 냉각 분사는 경구 포도당액 만큼 통증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통증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냉각 분사가 고려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