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ive intervention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21초

지적장애 아동의 균형과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한 감각통합치료: 개별 실험 연구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and Breath Abilities for Mental Retardation by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Single Subject Research)

  • 김경미;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3-44
    • /
    • 2011
  • 목적 : 감각통합치료는 개별아동에 맞는 감각의 기회를 제공하고, 적절한 도전의 과제를 제공하여 적응반응을 이끌어 내는 아동 중심의 접근법이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만 5세 3개월의 남아로 지적장애 진단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09년 5월 25일부터 2009년 8월 13일까지이었다. 실험설계는 개별실험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중 AB 설계를 사용하였고, 기초선 A(감각통합치료) 3회기와 중재 B(감각통합치료, 감각식이) 21회기이었다. 실험기간 동안 아동의 문제점인 균형과 호흡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과 : 첫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호흡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감각통합치료는 아동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지적장애아동의 균형과 호흡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감각통합치료를 지속적으로 적용,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With Peer and Therapist)

  • 김은영;노솔;남궁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
    • /
    • 2012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학령전기 아동 3명으로, 실험기간은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였다. 그룹감각통합 치료는 주1회, 회기 당 80분씩 총 15회기로 실시하였다. 또래 및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관찰 표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상호작용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후에 또래 및 치료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은 증가하고 부정적 상호작용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감각통합장애아동의 또래와 치료사와의 상호작용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동안 다른 아동들을 관찰하고 기존의 놀이에 참여하려는 행동이 늘어났다. 그리고 거부하기나 물건 던지기와 같은 부정적인 행동은 줄어드는 등 아동의 개별행동에는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향후 연구기간, 연구대상자 선정의 고려 및 표준 데이터를 제시해 줄 수 있는 평가도구를 통해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상호작용에 향상에 대한 명확한 결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of Anger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 김초롱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80-89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literature on anger management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published over the last 10 years and to extract the key elements of the interventions through an integrative review. Method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stages following Whittemore and Knafl's integrative literature methodology. Key words in Korean and English were used to search the PubMed, MEDLINE, EMbase, CINAHL, RISS, K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databases. Several interventio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elected papers on the basis of the framework which was helpful to identify the intervention patterns and were classified into meaningful themes. Results: The extracted intervention factors from the final nine studies classified into four themes: 1) Modifying irrational beliefs through cognitive approaches, 2) Empowering parenting competencies through learning a parent's role, 3) Utilizing emotion management skills, and 4) Parent-child relationship improvement training based on self-reflection. Conclusion: Four main themes were drawn from the key components of the various interventions.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in practice, and further intervention development studies for parents using these findings should be conducted.

국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김두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43-25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문헌을 검색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추후,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간호학에서의 비약물적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으로 Whittemore & Knafl가 제시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수행한 연구는 최종 11편 이었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은 두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9편,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2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 이후의 연구가 10편이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행되었다. 경도인지장애노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는 인지강화 프로그램 4편, 운동프로그램 6편, 음악프로그램 1편이었다.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는 각 연구마다 다양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지속적인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아동의 놀이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 홍은경;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25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감각처리장애아동에서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적용 후에 놀이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실험대상은 B지역에 거주하는 3-7세의 감각통합장애가 있는 아동 3명이었다. 평가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에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모를 통해 감각처리능력의 Sensory Profile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사회성숙도 검사를 하였고, 관찰을 통해 놀이 기술의 The Test of Playfulness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Peer Social Interactions Rating Scale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회기 동안에는 Goal Attainment Scale를 통해 감각처리능력과 놀이 기술, 그리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평가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은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을 위주로 하여 구성하였고, 4주간 총 12회기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SPSS/WIN 버전10.0과 엑셀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에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 동안 평가한 GAS의 결과, 놀이기술과 감각처리에서 점차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그룹 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이 감각통합장애아동에서 놀이기술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명확하게 결론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상의 수와 실험기간을 늘려 치료를 적용한다면,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 김진미;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22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발달지연 아동의 감각운동 및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만 3~5세의 발달지연 아동 5명이었고, 실험기간은 2009년 6월에서 11월까지이었다. 그룹 감각통합치료는 주 1회(매 70분), 총 26회기를 실시하였다.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사용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 사전/사후의 임상관찰, Behavior during testing의 차이는 윌콕슨 순위검정(Wilcoxon matched-pairs signed ranks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감각통합치료 전과후의 임상관찰(Z=-2.023, p=.043) 점수는 소폭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행동 변화를 보기 위한 하위 카테고리인 사회성(Z=-2.121, p=.034), 주의집중(Z=-2.032, p=.042)과총B점ehavior during testing (Z=-2.032,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그룹 감각통합치료가 감각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확실한 근거를 제시하기 에는 미흡하며, 사회성 및 주의집중과같은 행동 변화에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는 개별적인 감각통합치료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그룹 감각통합치료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그룹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의 수가 적고, 다양한 내적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 아동의 수를 고려하고, 외적변인을 제한하며, 보다 객관적인 자료 수집 방법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학교폭력 가해 아동·청소년을 위한 중재의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 for School-bullying Perpetrators)

  • 송열매;송문주;김선아
    • 정신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55-369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tegrate the evidence of interven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through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Method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bullying', 'school violence', and 'intervention'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earched eight electronic databases for relevant studies. Fifteen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full-text screening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fore June 2018. The framework was used to identify the selected studies' intervention patterns and classify the various intervention components. The extracted intervention components were grouped into potential themes to determine whether the researchers clearly showed the interventions in the studies. Results: The intervention components of 15 selected studi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themes: 1) Utilizing intervention technique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2) Enhancing self-awareness, 3) Strategies to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4) Promoting interpersonal skills, and 5) Emphasis on responsibility through future vision experience.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 perpetrators of school violence, five components were derived. It is suggested that these compon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field, and intervention programs development and research using them are needed.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진통제-근육이완제 복용 병행 척추교정과 진통제-근육이완제 복용이 만성허리통증 환자의 통증, 허리 관절가동범위, 장애 지수에 미치는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pin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Painkiller and Muscle Relaxant to Painkiller and Muscle Relaxant Alone on Pain, Lumbar Range of Motion, and Disability Index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오동환;함석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3-45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pinal manipulation combined with medication on low back pain (LBP), range of motion, and dis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LBP. Methods : Twenty patients with chronic LBP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spinal manipulation with medication group (n=10) or the medication only group (n=10).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spinal manipulation for 15 minutes, twice a week, and took medication twice a day for eight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medication twice daily for eight weeks. Pain intensity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 scale (VAS), range of motion, and disability due to LBP assessed using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intens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and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low back pain after the intervention (p<.05).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ange of motion in flexion, extension, right lateral flexion, left lateral flexion, and right rotation (p<.05). The intervention group also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change of disability in total score, pain intensity, personal care, lifting and stand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spinal manipulation and medication can benefit patients with chronic LBP, as evidenced b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pain intensity, ROM, and dis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tilizing both spinal manipulation and medication can positively affect individuals with chronic LBP.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be applied in clinical settings to optimize treatment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LBP.

국내 암환자와 관련된 연구논문의 메타분석 -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 (An Integrative Review and Meta-analysis of Oncology Nursing Research : 1985-1997.2)

  • 임선옥;홍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57-870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12 years of patient-related oncology nursing research in Korea, identifying various nursing interventions, and asse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s, through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accumulated research papers. One hundred and seventy-nine studi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se were mostly descriptive in design (69.2%). Of the 179 studies, 25 met the criteria for meta-analytic treatment. Twenty-five experimental studies were found in theses and dissertations (68%), 92% used convenience sample, and the median sample size was 40. Subjects were predominantly i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76%). Most studies(68%) were not derived from a theory base, with only 8% reporting use of a nursing theory. Results of the meta-analysis are as follows. The effect size of the nursing intervention typ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effective.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ranged from a high positive of 2.55 to a low negative of -0.22. Direct personal nursing intervention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indirect group method. Two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were more effective than one. The greatest effect size was thyxical intervention. The greatest mean effect size was scalp hypothermia technique. Teaching was a frequent intervention after 1990, although a wide range of treatments were studied. Effect size of intervention for symptom management was largest in relieving pai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for relieving anxiety was exerci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