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illation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39초

오과다가 쥐의 폐섬유화 모델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kwada on the Lung Fibrosis Mouse Model)

  • 이해자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3-240
    • /
    • 2009
  • Objectives To evaluate that Okwada affected which factors for treatment of lung fibrosis. Methods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model made in mice. After Okwada lyophilized, power sample obtained and melt in distilled water. Okwada solution administered mice through oral route on 21 days after bleomycin instillation and this procedure performed once a day for 7 days. We divided by three groups; normal (control),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without treatment (experimental), bleomycin induced lung fibrosis with treatment (treatment). On six weeks after bleomycin instillation, mice sacrificed and removed lung. Weperformed Western blot analysis for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4,5,13) and compared therapeutic effects of Okwada. Results On western blot analysis, all normal and experimental mice detected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4,5,13. The amount of band of TGF-beta, phosphodiesterase 5A, interleukin 5 in experimental and treatment group was similar. However, interleukin 4,13 of treatment group decreased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s Okwada would be effected the lung fibrosis through suppression of interleukin 4,13.

  • PDF

Delayed periocular dermatitis as a rare side-effect of topical anti-glaucoma eyedrop instillation in two Shih-Tzu dogs with atopic dermatitis

  • Jaeho Shim;Su An Kim;Kangmoon Seo;Seonmi Kang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6.1-6.6
    • /
    • 2023
  • Two Shih-Tzu dogs with atopic dermatitis presented with delayed periocular dermatitis (PD) following the instillation of dorzolamide and dorzolamide/timolol combination eyedrops; the development of dermatologic signs took 94 and 104 d in cases 1 and 2, respectively. Hypersensitivity to anti-glaucoma eyedrops was highly suspected, and treatment was discontinued. Delayed PD was significantly relieved in cases 1 and 2, at days 155 and 64 after discontinuation,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ression of delayed PD were described to inform clinicians who may encounter this rare side effect.

Intravesical bacillus Calmette-Guérin-induced myopathy presenting as rhabdomyolysis: a case report

  • Chae Hun Lee;Byeong Joo Choi;Jung Hun Kim;Tae Woong Yang;Gi Jeong Kim;Ha Young Shin;Se Hoon Kim;Seung Woo Kim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4호
    • /
    • pp.430-434
    • /
    • 2023
  • Intravesical bacillus Calmette-Guérin (BCG) instillation is an adjuvant treatment for non-muscle-invasive urinary bladder cancer. Although most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BCG immunotherapy are mild and self-limiting, rare albeit serious complications have been reported. Only a few cases of BCG-related rhabdomyolysi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present the case of a 72-year-old woman who developed severe weakness and hyperCKemia following intravesical BCG instillation. A muscle biopsy was performed, and a diagnosis of drug-induced myopathy was made.

골반경 수술시 골반내 도포한 Morphine, Morphine-Bupivacaine의 술 후 진통 효과 (Intra-pelvic Morphine, Morphine-Bupivacaine Instillation for Pain Relief after Endoscopic Pelvic Surgery)

  • 이은주;박정출;이소영;김지희;박희권;김홍순;장영진;이경천;조영례;김용욱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3권1호
    • /
    • pp.49-54
    • /
    • 2000
  • Background: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opioids can produce potent antinociceptive effects by interacting with opioid receptors in peripheral tissues. Bupivacaine has a potent analgesic effect with early peak onset in the postoperative period. The combination of intrapelvic bupivacaine and morphine has been suggested as an ideal analgesic after endoscopic pelvic surgery. Methods: Sixty patients scheduled for endoscopic pelvic 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allocated randomly to three groups. Group 1 received normal saline 20 ml, group 2 received morphine 5 mg in normal saline 20 ml, and group 3 received morphine 5 mg in 0.25% bupivacaine 20 ml into the pelvic cavity. Postoperative pain was assess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at 1, 2, 4, 8, and 24 hours after the intrapelvic instillation. Supplemental analgesic requirements, vital signs, and side effects were recorded for 24 hours. Results: Intrapelvic morphine and bupivacaine produced significant analgesia after endoscopic pelvic surgery. The patients in group 3 had lower pain scores than those in the group 1 and 2 at 1, 2 and 4th hou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in scores at 8 hours and 24 hours postoperatively between group 2 and 3. Supplemental analgesic requirem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groups 1 and 2 than the group 3 for 24 hours. No significant side effects occurred. Conclusion: The intrapelvic instillation of morphine and bupivacaine is effective for the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pelvic surgery.

  • PDF

맥문동(麥門冬)이 C57BL/6J 생쥐의 Bleomycin 폐섬유화(肺纖維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Inhibitory Effects of Liriopis Tuber on the Bleomycin-induced lung fibrosis in C57BL/6J mice)

  • 이형구;정승기;정희재;이병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3-104
    • /
    • 2004
  • Objectives : The aim was to identify the inhibitory effects of Liriopis Tuber on bleomycin-induced lung fibrosis by analysing the changes of imflammatory cell cytokines and SHI(Semiquantitative Histological Index), Materials and Methods : In this study fibrosis prone C57BL/6J mice were used. Control group was treated with blomycin(0.06mg/0.1 ml) by IT(intratracheal) instillation which is a popular method of inducing lung fibrosis and sample group took Liriopis Tuber water extract(38.0mg/10g body weight) orally for 14 days after IT instillation of blomycin. We measured the total and differential count of WBC, $IFN-{\gamma}$ & IL-4 in mice BALF and SHI(Semiquantitative Histological Index) from lung tissues of mice. BALF and lung tissues of mice were taken 14 days after IT instillation of blomycin. Results : In sample group total WBC count, proportion of neutrophil, SHI and IL-4 significantly(p<0.05) decreased, proportion of macrophage significantly(p<0.05) increased and proportion of lymphocyte, $IFN-{\gamma}$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Liriopis Tuber has an inhibitory effects of pulmonary fibrosis by attenuation of inflammation and Th2 immune response. To determine whether this herbal medicine contribute to cure and prophylaxis of pulmonary fibrosis, further studies on the role of $IFN-{\gamma}$ relating to fibrosis are required.

  • PDF

중심정맥포트 삽입 후 의인성 속목정맥 천공에 의한 화학적 늑막염과 혈흉의 중재적 치료: 증례 보고 (Interventional Treatment of Chemical Pleuritis and Hemothorax Caused by Iatrogenic Internal Jugular Vein Perforation after Central Venous Port System Implantation: A Case Report)

  • 김도우;김영환;강웅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6호
    • /
    • pp.1459-1465
    • /
    • 2020
  • 항암치료를 위해 흉강 내 속목정맥의 천자를 통한 피하매몰 중심정맥 케모포트(implantable central venous chemoport) 도관의 설치 중 발생할 수 있는 의인성 속목정맥 천공은 매운 드문 합병증 중의 하나로 혈흉이나 출혈성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며, 부적절한 항암제 주입으로 인한 늑막삼출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항암제 주입 전 조기에 진단하여 응급 개흉술을 통해 천공된 속목정맥을 봉합하는 것이 치료 원칙이다. 저자들은 우측 속목정맥을 통한 피하매몰 중심정맥 케모포트의 설치 후 발생한 속목정맥 천공 환자에서 부적절한 항암제 주입으로 인해 발생한 늑막삼출과 혈흉을 개흉술을 시행하지 않고 경피적 배액술 후 코일과 N-butyl cyanoacrylate를 이용한 색전술을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BCG 접종에 따른 화농성 림프절염의 rifampicin 국소투여 효과 (The effect of local rifampicin instillation on the treatment of suppurative BCG lymphadenitis)

  • 김민선;조대선;강미경;김상재;김정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호
    • /
    • pp.40-45
    • /
    • 2006
  • 목 적 : BCG는 생균 백신이므로 국소궤양이나 림프절염은 물론 BCG균에 의한 전신감염도 보고되고 있다. 특히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은 치료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저자들은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의 양상과 그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세침흡인 후 rifampicin 국소투여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4년 6월까지 2년 3개월간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BCG 접종 후 화농성 림프절염이 발생한 32례의 환아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세침흡인 후 rifampicin 국소투여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는 32례였으며 남아가 19례(59.4%), 여아가 13례(40.6%)였다. 1례(재태연령 30주)를 제외하고 모두 정상 만삭아로 출생하였다. 접종받은 BCG 백신은 모두 French 균주 제품(대한결핵협회)이었고, BCG 접종장소는 보건소가 13례(40.6%)로 가장 많았고 그 외 개인의원이 4례, 종합병원이 2례, 대학 병원이 2례였다. 접종시기는 30례(93.8%)가 생후 4주 이내였으며, 모두 피내접종으로 접종부위는 오른쪽 엉덩이에 접종한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좌측 삼각근(96.9%)에 접종하였다. 화농성 림프절염의 발생시기는 BCG 접종 후 1개월에서 10개월까지 다양하였으며 대부분 1-6개월 사이에 발생하였다(27례, 78.1%). 총 32례 중 28례(87.5%)에서 한 개의 림프절이 침범되었는데 발생한 위치로는 좌측 액와 림프절이 24례(75.0%)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좌측 견갑부가 3례, 좌측 쇄골 상와 부위가 3례, 좌측 액와와 좌측 쇄골 상와 부위가 함께 발생한 1례, 우측 서혜부가 1례 있었다. 우측 서혜부에 발생한 경우는 우측 둔부에 접종을 받은 경우였다. 32례 중 4례(12.5%)에서 두개의 림프절이 침범되었는데 3례는 좌측 액와에서 발생하였고, 1례는 좌측 액와와 좌측 쇄골 상와 부위에서 동시에 발생하였다. 치료는 20 gauge의 주사기로 흡인한 후 rifampicin 용액(결핵연구원 : rifampicin 1 mg/mL)을 종창 내에 주입하였고. 치료 후 2-4주 간격으로 재치료의 필요성 및 치료효과를 관찰하였다. 치료결과 17례(53.1%)는 1회 투여로 완치되었으며, 13례(40.6%)는 2회, 2례(6.3%)는 3회 투여 후 별다른 부작용이나 후유증 없이 완치되었다. 결 론 : BCG 접종 후 발생한 화농성 림프절염은 병변이 진행되어 누공이 형성된 후에도 입원이나 전신마취 및 수술이 필요없이 세침흡인과 rifampicin 국소투여가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생각된다.

합병성 흉막 삼출에 대한 국소적 Urokinase 주입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Intracavitary Urokinase Instillation in Complicated Pleural Effusion)

  • 손동현;윤수미;김정미;박익수;손장원;양석철;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57-364
    • /
    • 2000
  • 목 적 : 삼출성 흉악염의 치료는 원인질환을 치료하고 동반된 흉막액을 배농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는 단순히 흉관 삽입 만으로 치료한 경우 소방 또는 응괴 형성 등으로 배농에 제약이 따른다. 원활한 배농을 위하여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흉관 시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흉막강내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합병된 흉막 삼출을 치료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X-선 투시(image-guide)하의 배농을 시행한 합병된 흉막 삼출 환자를 대상으로 urokinase(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소방이 형성된 흉막 삼출에서 이의 치료 효과 및 예후를 알아보기 위해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등으로 소방 등이 존재를 확인한 20명의 흉막 삼출환자에서 X-선 투시하의 경피적 흉관 또는 pig-tail catheter를 이용하여 배농을 시행하고 25만 단위의 일정량의 UK를 흉막강내에 국소적으로 투여하여 이의 치료 성적, 합병증 유무 등을 관찰하였다. 결 과 : UK 투여는 본 연구 방법에서 정한 데로 하루에 25만 단위를 분할 투여하였고, 투여횟수는 $1.63{\pm}0.1$회 이었으며 투여 후에 흉막 삼출 배농은 향상된 양상을 보였다. UK 투여요법 시행 후 $212.9{\pm}194.5$일의 추적관찰을 시행한 바 20명의 환자 중 19명 (95.0%)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고, 1명 (5%)에서만 재발을 확인하였다. UK 투여 요법에서 관찰된 합병증으로 흉통이 11명 (55.0%)에서, 경도의 발열이 2명 (10.0%)에서 관찰되었으나, 치료를 중단해야 할 특이한 이상 소견은 없었다. 결 론 : 결론적으로 흉강내 소방 형성 등으로 흉막액 배출이 용이하지 않은 합병성 흉막 삼출에서 경피적 도관을 통해 25만 단위/일의 흉막내 UK 투여는 불필요한 수술을 피할 수 있으며 심각한 합병증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 PDF

기관내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폐손상에서 surfactant의 치료효과 (The Effect of Surfactant Therapy for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Intratracheal Endotoxin Instillation in Rats)

  • 강윤정;박용범;지현석;최채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87-499
    • /
    • 2000
  • 연구배경 :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으로 유발된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투과성 증가로 폐부종이 발생하여 저산소성 호흡부전이 유발되는 증후군으로, 여러 종류의 surfactant의 이상이 관찰되어 외부에서 기관을 통해 surfactant를 공급하는 치료방법이 많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대상으로 기판내로 내독소를 주입하여 급성 폐손상을 유발한 다음 기관내로 surfactant를 투여하여 치료효과를 알아보았다. 방 법 : 흰쥐를 각각 5마리씩 네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기관대로 생리식염수를 30분 간격으로 주입하였고, 제2군은 기관내로 내독소를 주입한 이후 30분 뒤에 기관내로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으며, 제3군과 4군은 기관내로 내독소를 주입한 후 각각 30분과 5시간 뒤에 기관내로 surfactant를 주입하였다. 결 과 : 생리식영수만 기관내로 주입한 제1군에 비해서 내독소를 기관내로 주입한 제2군과 3군, 4군에서는 호흡수가 증가하고, 흡기유량이 감소하였으며, 기도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인 Penh은 제2군에서만 증가되었다. 동맥혈액산소분압은 제 2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기관내 내독소 투여후 24시간에 얻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단백농도는 제 2군에서만 증가하였다. 기관지폐포세척액내의 세포수는 내독소를 투여받은 제2군과 3군, 4군에서 모두 증가하였고 구성세포는 다형백혈구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폐조직검사에서 제2군의 폐포내로 다형백혈구를 위주로하는 염증세포의 침윤과 폐포벽의 비후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제3군 및 제4군에서도 비슷한 염증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염증의 정도는 제2군에서 제일 심하였다. 결 론 : 기관내 sufactant 투여는 기관내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폐손상에서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비뇨기과 복강경 수술 후 국소마취제 점적의 효과 (Effect of surgical site instillation after laparoscopic urologic surgery)

  • 황용;신상열;오태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200-206
    • /
    • 2018
  • 본 연구는 비뇨기과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부위에 국소마취제인 Ropivacaine을 침윤주사 하였을 때 수술 후 발생하는 어깨 및 상복부 통증에 대한 진통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5년 3월부터 2017년 6월까지 본원 비뇨기과에서 복강경하 신절제술을 시행 받은 97명의 환자 중에서 수술 부위에 Ropivacaine 침윤주사를 시행 받은 5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통증을 수술 직후, 술 후 24, 48, 72시간의 간격으로 시각 통증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수술시간, 수술 후 식이섭취 시작, 수술시간, 술 후 재원기간 등을 비교하였다. 어깨와 상복부의 통증 점수가 두 그룹간에 수술 직후와 수술 후 24시간 뒤에 의미 있는 차이가 발생 하였다. 국소마취제를 침윤하지 않은 그룹에서 수술 후 24시간까지 이산화탄소량의 증가에 따라 통증에 차이가 있었으나, 국소마취제를 침윤한 그룹에서는 수술 중 사용한 이산화탄소 양에 따른 통증 차이는 없었다. 국소마취제 주입에 따른 환자들의 보행시기, 식사 시작, 입원 기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 결과 국소마취제 Ropivacaine의 침윤 사용이 복강경 수술 후 24시간까지 어깨 및 상복부 통증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 중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경우에는 복강경 수술 부위에 Ropivacaine을 사용한 주입법이 술 후 조기에 발생하는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